View : 18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태제-
dc.contributor.author손준녕-
dc.creator손준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3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342-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an interest in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is increasing worldwide. This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works from an early age in order, skills development, and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about the occup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considering career to the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n their career decision. But there are a few students who have specific interests in particular occupation.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vocational interest assessment can be used to search for jobs that match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he usage of vocational interest assessment is to giv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careers. It is useful because it can motivate to explore careers that interest them. In order to provide vocational interest assessment pertinent information to students, it must be connected reasonable to a job that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 interest profile. However, the most of domestic situation in vocational interest assessment just has followed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foreign countries, or has not validated occupations in accordance with Holland's type yet. For this reason, convergence validity of Holland occupational codes is low in domestic vocational interest assess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location of occupation groups in map based on the Holland's theory of vocational choice and the Prediger's theory of work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t rating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job search tools and personal interests linked. It used the expert rating data conducted twice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Experts evaluated against 200 jobs in CACV's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Holland 3-code was granted in accordance with relevant to Holland type of each job. Each types of occupation of Holland, vocational environment was also reclassified occupation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n addition, the Holland 3-code of each occupational groups converted to T/P, D/I coordinate shown in world of work map, existing comprehensive occupational groups through the angular difference within the position of CACV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re-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loc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there is generally a strong correlation in the results of expert rating data. The final results according to each job classification expert rating results, 175 occupations were classified as Holland 6 type(Investigative Type, Artistic Type, Social Type, Enterprising Type, Conventional Type, Realistic Type) and 26 groups of occupations. The final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and job listings wer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After reviewing the validity with respect to the list of occupations and professions, the experts were generally agree on each occupation and job listings. Reclassified results of occupations by experts's ratings create a world of work map of each occupation and location of job appeared to be consistent the degree that occupations are related to the type of Holland and Prediger type. The sam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in pairs figure of occupations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in angle, position in the occupations of the reclassification within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world of work map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found generally adjacent. In world of work map, repositioning in the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were also found to be reasonable. However, the four occupational groups out of the 26 occupational groups, 'employment-related services', 'regulation and protection' and 'medical technology', 'Computer and Information', have changed the type of Holland. The angular difference within the occupation groups were represented by more than 60˚ is 'regulation and protection' and 'medical technology', it showed that occupation groups to be careful when interpreting the test results. Therefore, from all of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checks the possibility of an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the Holland's theory and the Prediger's theory and world of work map can be used as a job search tool in career education inspection results. Consequently, when students choose a career in order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it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compliance with the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job.;최근에는 미래사회를 대비하려는 교육적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개인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며 삶을 영위해나가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직업세계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기회를 가지면서, 생애에 걸쳐 자신의 능력을 관리․개발하고, 직업 선택 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진로결정의 초기 단계에 있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고민하고, 경험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인이 원하는 진로 또는 관심 있는 직업분야가 뚜렷하지 않은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진로교육 현장에서는 개인의 특성에 맞는 직업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검사도구를 활용한다. 검사도구의 활용은 축적된 자료를 통해 학생의 특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며, 관심 있는 진로를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직업흥미검사도구가 학생들에게 타당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검사도구의 결과인 개인의 흥미유형프로파일과 그에 따라 제시되는 직업이 타당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직업흥미검사도구들의 대부분은 검사결과로서 제시되는 직업목록에 대한 타당성 검증이 부족하며, 국내 검사들이 각 직업들에 부여한 Holland 코드(RIASEC 코드)의 일치 정도도 낮은 실정이다. 또한 국내 검사 결과의 대부분은 직업들을 제시할 때 개인의 흥미유형에 해당되는 직업들을 목록으로 열거하는 형태로 결과를 보고하기 때문에, 직업세계를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에게는 직업들 간의 연결이 쉽지 않으므로 진로지도 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Holland와 Prediger의 직업흥미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의 장점은 진로지도 장면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유형과 직업의 고유한 특성, 직업군의 유사성과 차이점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직업분류도를 검사 결과로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직업 세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흥미유형에 가까운 직업을 스스로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Holland와 Prediger의 직업흥미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의 타당성을 전문가의 평정을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직업분류도 내 직업군 위치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개인의 흥미와 직업의 특성을 연계한 유용하고 현실적인 직업탐색도구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2차에 걸쳐 실시된 전문가 평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전문가들은 Holland와 Prediger의 직업흥미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인 종합진로직업적성검사의 직업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수정․보완을 거친 200개 직업을 대상으로 평정하였다. 1차 평정과 2차 평정을 거쳐 각 직업별로 Holland 유형과의 관련성에 따라 Holland 3-코드를 부여하고, 각 직업들의 Holland 유형과 직업환경의 유사성에 따라 직업군을 재분류하였으며, 분류된 직업군들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각 직업 및 직업군의 위치는 부여된 Holland 3-코드를 사용하여 T/P, D/I 좌표로 변환하여 직업분류도에 표시하였으며, 기존의 종합진로직업적성검사의 직업군 위치와의 각도 차이를 통하여 재분류된 직업군 위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 평정 결과 간에 대체로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직업들을 전문가 평정 결과에 따라 최종 분류한 결과, 25개의 직업을 제외한 175개 직업이 Holland 6유형(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 관습형, 현실형) 및 26개의 직업군으로 분류되었다. 최종 분류된 직업군 및 직업목록은 기존의 직업분류체계의 구성과 유사하였다. 26개 직업군과 직업목록에 대하여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전문가들은 각 직업군과 직업목록에 대체로 동의하였다. 전문가 평정에 의해 재분류된 직업군을 가지고 직업분류도를 작성한 결과, 각 직업군 및 직업의 위치는 대체로 해당 직업군의 Holland 유형, Prediger 유형과 일치하였다. Holland와 Prediger의 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인 종합진로직업적성검사의 직업군과 동일한 직업군끼리 짝을 지어 직업분류도 내 각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재분류된 직업분류체계와 종합진로직업적성검사의 직업분류체계의 직업군의 위치는 대체로 인접한 것으로 나타나 직업분류도 내 재분류된 직업군의 위치 또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기존의 직업분류체계와 비교하였을 때, Holland 유형이 변경된 것으로 나타난 직업군은 ‘규제 및 보호’, ‘의료기술’, ‘고용관련서비스’, ‘컴퓨터 및 정보’였으며, 직업군의 위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규제 및 보호’와 ‘의료기술’은 각도 차이가 60˚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최근의 국내 직업세계의 변화 또는 직업특성에 따라 직업군의 Holland 유형 및 직업군의 위치가 바뀌어 나타난 것으로, 검사결과의 해석 시 주의하여야 할 직업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olland와 Prediger의 직업흥미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 및 직업분류도는 국내 상황에서 진로교육 시 검사결과의 활용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진로교육장면에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직업의 환경적 특성과의 적합성에 근거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할 때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6 Ⅱ. 이론적 배경 7 A. 직업흥미이론 7 1.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 8 2. Prediger의 직업환경이론 16 B. Holland이론과 Prediger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 20 1. 국외 적성검사 사례:UNIACT 20 2. 국내 적성검사 사례:종합진로직업적성검사 31 C. 선행연구 39 1. Holland직업분류체계의 타당성 관련 연구 39 2. Prediger직업분류체계의 타당성 관련 연구 43 Ⅲ. 연구방법 46 A. 델파이 조사 46 1. 전문가 집단 구성 46 2. 질문지 구성 47 3. 조사 절차 및 방법 49 B. 분석 방법 53 1. 평정자 간 일치도 53 2. 직업군 결정 방법 54 3. 직업군 위치 결정 방법 55 C. 연구가설 59 Ⅳ. 연구 결과 60 A. 직업군 분류의 타당성 검증 결과 60 1. 평정자 간 일치도 60 2. 직업군 재분류 61 3. 기존 직업군 분류와의 차이 67 B. 직업군 위치의 타당성 검증 결과 70 1. 직업군 위치 재설정 70 2. 기존 직업군 위치와의 차이 77 C. 시사점 81 Ⅴ.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92 부록 99 ABSTRACT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6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Holland와 Prediger의 직업흥미이론에 근거한 직업분류체계의 타당성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alidating an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Holland and Prediger's theory of Vocational Interest-
dc.format.pagexi,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