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라금-
dc.contributor.author김양희-
dc.creator김양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8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d i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which were implemented by ‘the donors’ including the bilateral organizations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multilateral organizations, were implemented to the project targets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MCH(mother and child) project, and the Birth Spacing Campaign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MCH project umbrella. this study was tried to find out how the MCH projects were implemented in the project areas, how the structures of the projects were constructed, and how the recipient women were accepted for the projects. With those findings, it was tried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projects, the way of implementation, and finally tried to draw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 for the MCH projects in OD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focused on the Birth Spacing Campaign which was being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MCH project in Laos. The reasons Lao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country was as follows. First, Laos was the one of the latest developing countries in ODA, because Laos have being opened and accepted ODA since late 1990’s. Unlike other south Asian neighborhood countries like Vietnam, Cambodia, and Thailand, Laos was opened and accepted ODA relatively late in the region. Second, Laos is included as one of the 24 focus partnership countries sele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some Asian developing countries and invested about 50% of ODA social development budget to the region. With this reason, Lao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country to observe the common and universal phenomenon of the birth spacing campaign as a part of ODA projects. The main reasons the birth spacing campaign was chosen as the research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target of the campaign was women in rural areas. women farmers in rural areas in the southeastern Asian region were regarded as a ‘subaltern’ or ‘sub-agent’ because they seemed to be the lowest class in gender, classes, poverty in their social hierarchies. Second, the campaign mainly was focused on women sexuality, dealing with abortion and contraceptions. Third, historically, the states/donors have intervened and controlled women reproduction and sexuality, so it was expected that it was found out state/donors’s control of women fertility and women’s agency regarding it. That is to say, this study mainly was focused on subaltern women in the social hierarchies in Laos, and was tried to find out how the rural women accept, compromise, resist and act with the campaign through their agency. In this study, it was defined women ‘agency’ as “women’s acts with full of intentions to fulfill their own needs and interest which were compos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e society.” Though the definition of the agency has some limitation, in which it can not be overcome the obstacles of the men 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sometimes it might be contributed to lasting patriarchal structure of the society. Nevertheless, in women agency, we can found out women’s own ‘choice’ and ‘practice’ to realize with their own needs and interest. It can be transformative momentum when it is encountered with something encouraging them. The motivation of the encouragement can be a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bserve women agency in the development projects. Historically, women have always wanted to control their fertility. Actually, many women have used abortion as a way of instinctive birth control methods. With the emerging of the development period in the early of 1900’s, the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and methods were widely spread to women in the world. In that period, the states and the aid organizations tried to control and intervene women fertility to control population.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used qualitative interviews. Through Researching three times in Laos in 2015, three sub groups were interviewed. First, the Korean ODA specialists, activists in Laos and the Laotian government officers were interviewed. Second, the majority Lao-loum women and men residents were interviewed in the suburb farming area and rural area in Vientiane Province. Third, Hmong women and men farmers were interviewed in rural areas in Xiengkhoung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CH projects were implemented like ‘public health’ projects rather than ‘women centered’ MCH projects in Laos. It was erased women sexuality in the project, instead, only focused on women’s reproduction. The main reason of it w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s. Many MCH projects have deeply depended on ‘donor’s aid-effectiveness.’ In many cases, budgets of the projects have flowed from donor countries, so the officials, planners, and implementers could not be free from donor’s monitoring and intervention. Furthermore, the officials from the donor institutions have strong oppression for the ‘good’ results. It made them depended on quantitative results, such as the size and the volume of the recipients rather than ‘invisible’ result, such as the awareness, the attitude, and the education, etc. The other reason why many MCH projects have implemented as ‘public health’ projects rather than ‘women-centered’ projects was that it was planned and implemented as ‘gender-blind’ projects. Many officials and activists in the projects have rare knowledge about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and approaches. The lack of ‘gender sensitivity’ of the projects has resulted in ignorance of the women’s conditions in the society. Second, many rural women in Laos prefer indigenous contraception and abortion than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which came from their distrust in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Their preference for indigenous and natural contraception/abortion, such as rhythm method, herbal medicine abortion, and induced abortion, can be interpreted to two ways. One is that it is the results of women subordination from the hierarchical and men centered social structure. In men centered society, women should take all the responsibility of pregnancy, so poor women can not help choosing abortion to escape from unwanted pregnancy. The other is that women’s abortion practices can be observed as women’s agency against the training and discipline from the donor’s. The rural women’s abortion would be interpreted as women’s ‘invisible and private withdrawal and resistance’ to the donor’s intention of controlling women fertility. Though all the Lao-loum women interviewee in rural areas have knowledge about the modern contraception methods, they hesitated to trust and practice them. Rather, they prefer to indigenous contraception methods such as rhythm method, external ejaculation, etc. They did not believe that the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can be really helpful to keep their reproduction health. With these reasons, they ignored and withdrew from the modern contraception methods, and came back to the old and familiar contraception and abortion experiences. The indigenous abortion experiences were mainly oral knowledge from grandmother to daught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donors have strongly focused on the proliferation of contraception knowledge and method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needs and interest of women who should live in men-centered community and society. Women farmers were hesitated to trust the intention of the birth spacing campaig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Third, it can be found women agency in women pregnancy and childbirth practices. Women with fertility can be recognized and achieve membership in the patriarchal society, but if not, she might be banished from not only husband’s family, but also their community. So, many women in patriarchal society can not stop giving births until having enough boys or many children. Surely, it is the results of women’s subordination, but, in there, it can be found women’s agency to get recognition from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and to secure their later years. It surely is a kind of women’s oppression from the men-centered community, but also it can be found out women’s ‘choice’ and ‘practice’ to achieve their prosperous lives. Fourth, when it was added ‘ethnic groups’ to women’s layered oppression, such as gender, classes, poverty, it is produced a kind of ‘social bias and prejudice’ to minority women’s reproduction. For example, the minority Hmong women who live in the rural and high mountains in Laos, are widely known for fecundity. But, in reality, they are alienated from the donor’s birth spacing campaigns, which means that they are alienated from training and discipline of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and methods. Because many donors wanted to invest regions to get instant, visible and many results, they rarely implemented the birth spacing campaign for women who live in high mountains. the minority Hmong women have a lack of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unlike the majority Lao-loum women in rural area. Though the Hmong women can not help keeping births because of poverty and lack of the modern contracep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s, they are blamed by their fecundity. The fecundity of Hmong women would be the causes and the results of alienation from the development projects. Furthermore, the Laotian communist government has the history of conflict with Hmong people with the Secret War in 1970’s, they excluded the Hmong people from national policies and systems until 1990’s. The Hmong people are excluded from not only national policies and systems, bus also from many ODA projects, and they have remained as the blind spot. Nevertheless, the Hmong women acted to get some good things in her life with her fertility. They keep on births as many children and boys as the patriarchal society requested to them. After fulfilling the patriarchal requests with their reproduction, they enjoyed freedom from reproduction with abortion. For Hmong women, abortion can be interpreted as freedom from the responsibility of childbirths. Based on those findings, it can be given some policy suggestions as follows. The reason why many women targeted ODA projects were implemented gender blind is that it came from the patriarchal structures of the development aid projects. Gender blind projects were used to ignore women sexuality issues and no interest to women’s needs in their social conditions. If it is wanted to gent good results and to gain real effectiveness in women targeted ODA projects, such as MCH projects and family planning campaign, it should be focused on women’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eir society. For example, what women want to get from the ODA projects, what they can be learned and got from the projects. When the ODA projects can be satisfied women’s needs and interest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y can be successful and get higher effectiveness in ODA world.;이 연구는 공여국과 공여기관들을 중심으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획, 실행되고 있는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가 현지의 ‘개인 수혜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공여국과 수원국이라는 국가차원의 분석이 아니라 수원국 개인 수혜자 차원에서 개발원조 프로젝트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차원에서 기획, 실행된 개발 프로젝트가 최종목표인 풀뿌리차원의 개별 여성 수혜자들에게 미치는 성과, 효과, 한계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ODA 프로젝트에 관한 논의들은 대개 ‘공여국(donors)’의 입장에서 양적 측정방식을 통해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고, 더 많은 투입을 통해 다량의 산출과 양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이 연구는 ‘수원국(Recipients)’ 여성 수혜자들을 통해 ODA 프로젝트를 바라봄으로써 현행 ODA 프로젝트를 재고해 보려고 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해당 사회구조의 ‘하위 주체’인 여성들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의 ‘최종 수혜자’로 명명된 여성들이 그것을 어떻게 수용, 저항, 타협, 활용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이 속한 사회 구조를 드러내고, 그 속에서 생존과 번영을 추구하는 여성들의 ‘노력’과 ‘실천’을 나타내고자 했다. 그리고 여성들을 ‘침묵하는 수동적 수혜자’가 아니라,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최선의 것을 추구하는, ‘적극적인 행위자’로 위치시켰다. 여성들을 행위자로 위치시킴으로써 그들의 행위 안에 배태돼있는 ‘변화의 가능성’에 주목하려고 했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 ‘행위성’을 ‘남성중심적 사회구조의 사회, 문화적 규범 속에서 자기 삶의 기획과 이해(interest)를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의도담긴 행위들’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이 행위성은 남성중심적 사회라는 한정적 범위와 그 구조 속에서 삶을 영위할 수 밖에 없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제한적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여성들은 그러한 한계 속에서 어떻게든 자기 삶의 상승과 번영을 추구하며 매 순간 ‘선택’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행위자’라고 부를 수 있다. 여성들의 행위자적 면모는 내외부의 자극과 만날 때 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한 변화의 자극이 개발원조 프로젝트일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개발원조 프로젝트에서 여성들의 행위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여성들이 이를 수용, 타협, 협상, 거부하는 맥락에 주목했다. 연구지역으로는 한국의 24개 중점협력국 가운데 한 곳이며, 아시아에서 비교적 늦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개발원조를 받아들이기 시작한 라오스에 주목했다. 라오스를 연구지역으로 정한 이유는 한국의 주요 ODA 대상국이라는 점, 국제기구들과 선진국들이 모자보건 지표 달성을 위해 대거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ODA 수원국이라는 점, 아시아 개도국가운데 비교적 늦은 1990년대부터 개발원조를 수용해 ODA 프로젝트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관찰하기 용이할 것이라는 점 등을 고려했다. 즉, 라오스가 현행 ODA 프로젝트의 보편적 실행을 관찰하기 용이한 지역이라고 판단해 연구지역으로 정했다. 연구에서는 라오스 ODA 사회개발 프로젝트 가운데 대표적인 여성대상 사업인 모자보건 사업을 중심으로, 특별히 피임, 낙태 등 여성의 재생산 능력 조절과 섹슈얼리티에 중점을 둔 출산조절 사업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역사적으로, 여성들은 근대적 피임 지식이 보급되기 훨씬 이전부터 출산 조절의 욕망을 가져왔으며, 실제로 그것을 실천해 왔다. 낙태는 근대적 피임지식 이전부터 여성들의 원초적인 출산조절 수단으로 활용돼 왔다. 그러한 출산능력 조절은 특별히 개발원조 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활발해졌는데, 이때 국가/국제기구는 여성의 재생산능력에 적극 개입, 통제하여 인구조절을 기획한 주체들로 일컬어진다. 이처럼 출산조절 사업은 ‘국가 또는 국제기구’가 여성의 ‘몸’에 개입하는 대표적인 개발원조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국가/국제기구 등이 제시하는 출산조절의 제안/요구를 어떻게 자신들의 욕망/이해와 연결, 실천하고 있는지, 그리고 여성들의 그런 행위를 가능케 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과 구조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런 것들이 ODA사업의 기획, 실행, 성과 등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필수요소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출산조절 사업이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금기와 배제, 차별적인 성 문화 등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폭넓게 드러낼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이 주요한 선정이유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모자보건 사업의 구조적 속성, 모자보건 사업의 하위 범주인 출산조절 캠페인에 대한 수혜자 여성들의 인식과 태도, 여성 수혜자 범주에서 종족을 추가했을 때 나타나는 차이, 이것들을 종합했을 때 드러나는 출산조절 사업의 한계와 대안 등으로 정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과 면접조사 등 질적 조사방법을 주로 사용했다. 본 연구는 출산조절사업의 성과를 양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기보다는, 실제 사업대상자인 현지 여성들이 이 사업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이들과의 면접조사가 적절한 연구방법일 것으로 생각했다. 연구대상자로는 첫째, 출산조절 캠페인을 포괄하고 있는 라오스 모자보건 ODA를 살펴보기 위해 이 분야의 한국인 ODA전문가, 활동가, 라오스 전문가와 활동가 등 총 23명을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s) 했다. 둘째, 라오스 출산조절 캠페인의 실행과 이에 대한 여성 주민들의 수용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라오스 비엔티안시와 근교 농촌 마을의 최대 종족인 라오룸(Lao-loum)족 주민 2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Interviews)를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종족’ 요인이 출산조절 캠페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기 위해 소수민족 몽(Hmong)족 남녀주민 21명을 면접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오스 최대 종족인 라오룸족 농촌 여성들은 라오스 출산조절 사업인 ‘터울조절 캠페인’을 통해 피임약, 피임주사 등 ‘근대적’ 피임 지식을 습득했음에도 불구하고, 토착적 낙태와 자연 피임을 선호하고 있다. 여성들은 남편, 시어른, 연장자 등 마을의 가부장적 위계의 하위에 위치한 ‘하위 주체’들로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이들의 개입과 간섭을 배제할 수 없는 구조 안에 있다. 마을 여성들은 이처럼 집단적, 위계적, 남성중심적인 억압이 겹쳐진, ‘억압의 중층성’(Collins, 2000) 속에 있다. 혼인관계에서 남성지배 하에 있고, 마을의 위계구조에서도 하위에 있으며, 사회자본이 부족한 빈곤한 여성들이 재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거시적으로 봤을 때, 여성들의 낙태는 집단적, 위계적, 폐쇄적, 남성중심적 문화 속에서, 빈약한 사회자본을 지닌 빈곤한 여성들이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재생산에 관해 내리는 ‘타자화된 결정’이자, ‘구조적인 억압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러나 미시적으로 여성들의 낙태를 단순히 억압의 결과라고만 볼 수 없는 또다른 맥락이 존재한다. 라오룸족 여성들은 정부와 공여기관의 터울조절 캠페인이 제공하는 피임약, 콘돔, 자궁내장치(IUD) 등 ‘근대적’ 피임 지식과 방법 대신, 월경주기 조절법 같은 자연적인 피임방법과, 한약 낙태, 인공중절수술 등 ‘대대로 효과가 검증된’, ‘토착적인’ 출산조절 수단을 고수한다. 여성들은 근대적 피임수단이 낙태보다 건강상의 위험이 적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피임 수단이라고 교육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거부,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근대적’ 피임 지식이 마을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토착적’ 경험을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공여기관과 라오스 정부의 터울조절 캠페인이 수혜자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보다는 피임수단 보급과 확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여성들이 갖고 있는 ‘이해(interest)’와 ‘필요(Needs)’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현행 터울조절 캠페인은 수혜자 여성들에게 근대적 피임 지식의 수용과 실천이 ‘왜’, ‘어떻게’ 여성 건강에 유익한지에 대한 충분하고도 납득할만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여성들은 굳이 근대적 피임 지식을 수용하고 실천할 동기를 찾기 어렵다. 오히려 근대적 피임 지식은 지금까지의 토착적 피임지식과 경험을 위협하는, 불안하고도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인식되어진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라오스 농촌 여성들에게 있어 낙태는 정부와 선진 공여기관이 제공하는 터울조절 캠페인의 ‘계몽과 훈육’을 불신하고, 대신 토착적 출산조절수단인 낙태를 통해 국가/공여국/공여기관 주도의 출산조절 캠페인에 맞서는 ‘비가시적’이고 ‘사적인’ 거부이자 저항의 행위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여성들의 출산은 자기 삶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려는 여성들의 행위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가부장제하의 여성들은 아들을 낳아야 마을의 인정을 받고, 노후 봉양을 기대할 수 있으며, 마을에서의 위신과 평판을 얻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여성들의 다산은 무지의 소산이 아니라, 그녀들이 속한 사회 속에서 생존, 번영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선택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남성중심적 사회구조 속에서 살아가야하는 여성들이 그 사회, 문화의 규범을 따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볼 때, 그것은 분명히 억압적 측면을 갖는다. 하지만 ‘행위자’로서 여성들은 자신의 ‘선택’과 ‘실천’을 바탕으로 가부장적 사회 규범이란 한계와 제한 속에서도 끊임없이 자기 삶의 기획과 이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에, 이를 행위성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여성들을 둘러싼 사회적 억압 구조에 ‘종족’이라는 또 하나의 변수가 더해질 때, 그것은 소수민족 여성의 재생산에 대해 특정한 사회적 ‘통념’을 생산하고, 그 통념이 재생산됨으로써 또다시 소수민족 여성을 억압하는 양상을 보인다. 여성 재생산과 관련해서 라오스 소수민족인 몽(Hmong)족은 ‘아이를 많이 낳아 인구를 퍼트리려고 한다’는 사회적 통념에 노출돼 있다. 몽족 여성의 재생산에 관한 이같은 통념은 역사적 불행에서 시작된 몽족에 대한 혐오를 여성의 재생산과 결부시켜 사회적으로 유통시킨 결과다. 이때 몽족 여성은 출산조절 캠페인의 ‘계몽과 훈육’에도 아랑곳없이 다산을 계속함으로써 그것을 무화시킬 뿐 아니라, 그것에 저항하는 대상으로 이미지화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평지에 가까운 몽족 마을에서조차 출산조절 캠페인의 교육과 훈련이 실행된 적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산조절 뿐 아니라 대부분의 개발원조 프로젝트가 대부분 지역단위로 실시되고 있을 뿐, 별도로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사업을 실행하지 않는다. 소수민족들이 주로 고산지대에 거주하고 있어 프로젝트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도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빈곤, 언어문제, 라오스 공산정부와의 해묵은 갈등, 정보 및 기회의 소외 등 여러 가지 이유들이 중첩돼 몽족을 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사각지대로 소외시킨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몽족 여성들의 다산은 터울조절 캠페인에 저항하는 것처럼 보일 뿐, 사실은 개발에서 소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몽족 여성들의 다산과 터울조절, 예방접종 등에 대한 비협조는 빈곤, 언어문제, 폐쇄적인 정부 정책, 정보 부족과 인식 결여, 접근성 부족 등의 결과일 뿐, 정책에 대한 저항이라고 보기 어렵다. 몽족 여성들은 남성중심적 공동체 규범을 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다산을 거듭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녀들은 가부장제의 요구에 따른 ‘아들 둘’ 출산을 통해 인정과 노후를 보장받고 싶어하는 자기 삶의 기획자이자 행위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낸다. 몽족 여성들의 ‘아들 둘’ 출산에 대한 집착은 남성중심적 문화의 규범을 충족시킴으로써 가부장제 가족제도와 마을의 인정을 받고 노후를 보장받으려는, 적극적이고 의지적인 행위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그녀들은 ‘아들 둘’ 출산으로 가족과 마을내에서 자신의 위치가 공고해졌다고 판단되면, 낙태를 통해 ‘출산의 의무로부터 해방(Liamputtong, 2003)’을 꿈꾼다. 넷째, 공여국으로서 한국의 모자보건 사업은 구조적 속성으로 인해 ‘여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보건’사업화 되고 있다. 라오스 출산조절 캠페인은 라오스 모자보건사업의 일부로 실행되고 있다. 한국은 현재 출산조절 캠페인에는 직접 관여하고 있지 않지만, 모자보건 ODA는 실행하고 있다. 현행 모자보건 사업은 기획 단계부터 여성 섹슈얼리티를 은폐하고 비가시화함으로써 여성의 재생산 능력에만 집중하고 있다. 그리하여 모자보건 사업은 ‘여성’ 대상 사업이라기보다는 ‘공중보건’ 사업의 일환처럼 전개되는 양상을 띤다. 현재 많은 개발원조 프로젝트는 그것의 최종 목표인 ‘개인 수혜자’의 입장에 집중하기 보다는, 프로젝트를 집행하는 측의 입장을 위주로 사업을 기획, 실행, 평가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그러한 국가 ‘집행자’가 ‘여성’, ‘젠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때 모자보건 사업의 방점은 ‘보건’에 찍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모자보건 ODA에서 ‘여성’이 삭제된 채 ‘몰성적(gender-blind)’ 사업으로 변한 것은 ODA 프로젝트에 성주류화 전략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않은 데에도 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 관료주의의 무관심과 인식 부족, 시설위주 사업 관행, 그리고 성과주의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이 논문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여성대상 ODA 프로젝트에서 ‘여성’에 대한 고려가 생략된 채 몰성적인 사업 실행이 계속되는 원인은 기존의 개발원조 프로젝트가 갖고 있는 구조적 속성에 기인한다. 모자보건 ODA는 모성 사망과 아동 사망을 줄이고 안전한 출산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통해 많은 개도국 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온 것이 사실이다. 반면, 모자보건 프로젝트 산하 출산조절사업은 여성을 ‘무성적’ 존재로 치부하고 여성 섹슈얼리티를 은폐하며, 여성 수혜자들의 필요와 욕구에 무관심한 기존의 관행으로 인해 현지 여성들로부터 불신과 외면을 받고 있다. 현재의 사업은 여성들의 ‘이해’와 ‘필요’를 충족시켜 주기보다는 피임지식과 방법의 전국적 보급과 확산에 중점을 두고 있어 마을 여성들의 외면을 받기 쉬운 구조 속에 있다. 대신, 여성들은 할머니에게서 딸에게로 대대로 이어지며 ‘검증’된 ‘토착적인’ 출산조절 수단으로써 낙태를 통해 ‘원치 않는 임신’을 종결한다. 그러므로 라오스 출산조절 사업은 ‘여성 건강’이라는 보편적 가치와, 각각의 여성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특수성’이 모두 고려된 사업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 여성들이 어떤 맥락에서 ODA 사업을 수용, 거부하는 행위를 보이는지 그 맥락을 자세히 살피는 사업 기획과 실행이 필요하다. 여성들의 행위자적 면모는 터울조절 캠페인의 계몽과 훈육을 ‘거부’하고 토착적인 낙태를 통해 자신의 출산력을 조절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고, 다산과 아들 출산을 통한 남성 중심적 사회규범 충족으로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마을의 인정, 노후 보장을 꾀하는 등 자기 삶의 이해와 번영을 위해 출산력을 조절, 실천하는 행위성으로 이어진다. 이는 일견 체제 순응적이고, 일관되지 않고, 산만하며, 하나로 정리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들이 축적되고 결집되면 어느 순간 ‘변화를 가져오는 힘’이 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비단, 터울조절 캠페인뿐만 아니라 여성대상 ODA는 그런 ‘전환적(transformative)’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여성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개발원조 프로젝트 자체가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이해를 고려하는 ‘구조 전환적’ 개발로 바뀌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 B.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13 1. 연구지역 13 2. 연구방법 15 II. 이론적 배경과 수원국으로서 라오스 현황 32 A. 이론적 배경 32 1. 개발의 효과에 관한 연구 32 2. 여성과 개발 41 3. 여성 몸의 재생산 능력과 행위성 47 B. 라오스의 정치, 사회, 문화적 특성과 모자보건 ODA 53 1. 정치, 사회, 문화적 특성 53 2. 모자보건 ODA와 터울조절(Birth Spacing) 55 3. 라오룸(Lao-loum)족과 몽(Hmong)족 62 III. 라오스 터울조절과 여성 70 A. 터울조절 캠페인의 맥락과 실행방식 71 1. 출산조절에서 터울조절로 71 2. 공여기관이 이끌고 정부가 동행하는 방식 72 3. 보건요원 및 하급관료들의 태도와 의식 73 B. 라오룸족 여성의 낙태 77 1. 전통적인 낙태 방법과 인공중절 수술 78 2. 낙태에 대한 도덕적, 사회적 비난 83 C. 중층적인 여성 억압 87 1. 남성중심적 성문화 87 2. 농촌 공동체의 집단적, 폐쇄적, 위계적 성격 94 3. 제한적인 사회 연결망 96 4. 여성 몸에 대한 억압의 결과 98 D. 근대적 피임 지식과 토착적 경험이 충돌할 때 101 1. 살찌는 피임약, 살찔 걱정 없는 낙태 101 2. 구전되는 낙태의 효과성 106 3. 경험을 이기지 못하는 근대적 피임 지식 108 4. 저항으로서 낙태의 또다른 의미 113 5. 앞에서 맞장구치고 뒤에서 딴소리하기 115 6. 불신과 외면 118 E. 소결 122 IV. 몽족 여성 행위자의 다산과 낙태 124 A. 터울조절 캠페인의 사각지대 126 1. 지리적 배제: 사이솜본(Xaisomboun)과 시엥쿠앙(Xieng Khuang) 126 2. 정체성 소외: 편견과 낙인 131 B. 생존과 노후보장을 위한 다산과 아들 낳기 135 1. 몽족 여성의 다산에 대한 사회적 통념 135 2. 근대적 피임에 대한 몽족 마을 여성의 인식 139 3. 남성에게 달린 여성의 재생산권과 아들 선호 141 4. 몽족 여성에게 낙태와 다산의 다층적 의미 150 C. 병원 출산의 꿈 155 D. 소결 158 V. 모자보건에서 여성 건강으로 160 A. 여성을 고려한 사업의 요인 160 1. 젠더문제에 대한 인식과 관심 160 2. 성주류화 164 3. 비가시적인 사업구성요소에 대한 비중 169 4. 성과 평가 173 B. 여성 수혜자 중심 사업으로의 전환 181 1. 기존 모자보건사업의 한계 181 2. 여성 건강에 대한 강조: 선택지의 확대 184 3.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사업 구성과 실행 187 C. 소결 193 VI. 결론 및 제언 194 참고문헌 198 부록 213 Abstract 2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0350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 공적개발원조 모자보건 사업의 수원국 여성 행위자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라오스 터울조절과 낙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cipient Women Agents in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MCH projects : Based on Birth Spacing Campaign and Abortion in Laos-
dc.creator.othernameYangHee KIM-
dc.format.pagexvii, 223 p.-
dc.contributor.examiner허라금-
dc.contributor.examiner이재경-
dc.contributor.examiner김은미-
dc.contributor.examiner강민아-
dc.contributor.examiner김경희-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