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5 Download: 0

고졸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고졸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regarding the influence on the good job transi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Authors
임유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본 연구는 실업의 장기화, 불안정한 일자리 고착화, NEET화 등 고졸 청년 노동시장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고자 고졸 청년의 일자리 이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고졸 청년이라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이질적인 생애주기적 특성을 가진 남성 청년과 여성 청년의 이행 과정 차이를 규명함으로서 성별 맞춤화된 좋은 일자리 이행 촉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시간 경과에 따라 좋은 일자리 이행 확률이 성별 간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좋은 일자리 이행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개인가족 요인, 일자리탐색 요인, 인적자본 요인, 노동시장환경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일자리를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인 한국교육고용패널 4차~10차(2007~2013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건사 분석에 기반한 카플란-마이어 분석과 콕스 비례적 위험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 확률을 분석한 결과, 남성 청년은 평균 45.4개월(중위수 56.0개월), 여성 청년은 27.9개월(중위수 7.0개월)로 나타나 두 집단의 생존확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 청년은 졸업 이후 초기 1년과 군제대 전후인 4~6년차의 이행확률이 높고, 여성청년은 초기 1년 내 절반 이상이 이행하지만 이후부터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취업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남성 청년의 경우 군 입대가 이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여성 청년의 경우 졸업 직전 ․ 후에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음의 시간의존성을 보여 이행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좋은 일자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녀 공통으로 전문계고 출신일수록, 실업률이 낮을수록 이행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외 다른 요인은 차이를 보였다. 개인가족 요인의 경우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여성은 성격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이행이 어려웠고, 일자리 탐색 요인의 경우 남성은 외부 도움인 진로 상담이, 여성은 내적 동기인 진로성숙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적자본의 경우 남성은 졸업 후 직업훈련과 시간제 일 경험이 있을수록, 여성은 졸업 후 전일제 일 경험이 있을수록 이행이 어려웠고, 노동시장환경 요인은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시읍면에 비해 특별시 거주가 이행을 더 어렵게 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좋은 일자리 이행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중등교육 차원의 직업교육 전략과 노동시장 환경조성 전략을 펼치는 동시에 성별 간 차별화 된 개인 및 인적자본 축적 전략, 일자리 탐색 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졸 청년 남녀의 일자리 이행 기간 및 영향요인은 전체 청년과도 상이하며, 고졸 내에서도 성별 간 상이하므로 대상별 특화된 이행 지원시점과 전략 모색이 시급해 보인다. 따라서 고졸 남녀 청년의 좋은 일자리 이행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먼저 성별 간 집중 이행 지원 시점과 전략을 달리 해야 한다. 남성 청년은 졸업 후 초기 1년과 군 제대 이후 이행이 밀집되어 있기에, 입대 이전에는 경력단절이 없도록 산업기능요원제, 취업 맞춤형 특기제도를 적극 활용 할 수 있도록 수요에 맞는 공급 및 홍보가 필요하며, 군 제대 이후에는 맞춤형 취업코스 설계를 통해 훈련과 좋은 일자리 취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할 필요가 있다. 여성 청년의 경우 졸업 직후에 이행이 밀집되어 있고, 전일제 일 경험이 이행 저해요인으로 지적되었기에 질이 좋지 않은 일자리 경험을 하기보다는 좋은 일자리로 즉시 진입할 수 있도록 재학 중에 진로설계 및 취업알선을 지원받거나 산업수요 연계형 학교로의 진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녀 모두 이행에 있어 중등교육기관에서의 직업교육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는 마이스터고는 그 대상을 더욱 확대하고, 특성화고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일․병행학습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마이스터고의 경우 여학생 비중이 매우 낮고, 남성 중심 직종에 편중되어 있어 여학생의 적성 및 선호에 맞는 좋은 일자리 발굴 및 연계 방안이 모색 될 필요가 있다. 한편 직업교육을 선택한 학생들 외에 일반계고등학교 출신이나 자율계고등학교, 마이스터고를 제외한 특수목적고를 졸업한 청년들에 대한 일자리 이행대책이 거의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진로상담이나 훈련 및 취업 알선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좋은 일자리로 이행한 고졸 청년의 일자리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편중되었다는 분석에 착안하여 고졸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직종의 양질의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 직종의 한계 때문에 자기개발기회나 승진, 임금상승의 가능성이 배제되므로, 새로운 직종의 민간 기업이 고졸일자리 사업과 연계 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일자리 내에서도 자기개발기회나 승진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임금이 낮아지는 고실업상태에서 이행이 더욱 어려울 것을 감안하여 고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이 대한 기업보조금이나 단기적 대안으로 일자리 창출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행이 어려워짐에 따라 소득보전이 어려울 것을 감안하고, 인적자본의 감가상각에 대한 훈련지원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소득지원을 전제로 한 세부 프로그램과 재원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실업의 영향이 더 강하였음을 고려할 때 불경기일 경우 여성 인력이 노동시장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성 친화적인 산업을 개발하거나 현재 받고 있는 임금수준을 낮추지는 않으면서 노동수요를 높이는 보조금을 여성 고졸 청년에 대해 우선 적용하는 등의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이 많이 몰리는 특별시가 오히려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이 어렵다는 여성 청년의 결과는 서울특별시 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가 많으나 청년 동원이 어려운 시읍면지역의 일자리에 청년들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특히 노동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를 막기 위해 지역 노동수요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여 청년들에게 지역별 취업정보를 보다 면밀히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지역일자리와의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적극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analyzes the job transi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to seek a better solution for the labor market of high school graduates facing long-term unemployment, permanent unstable careers, NEET, and etc. Especially, the research tri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the transitional status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parate life cycles to find out the better way for gender centered good job transition. First of all, the research figured out the difference in the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between genders as time pass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n, it cross examined the four main factors for the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 personal and family, job search, human capital, and labor market environment factors - to figure out which one would show the gender differences. This research used the 4th~10th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007~2013) for time series data on jobs for young people, and also ran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based on event history analysis. In result of the analysis of good job transition probability as time passed after the high school graduation, two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urvival probability with male candidates recorded 45.4 months in average (median 56.0 months) while females showed only 27.9 months in average (median 7.0 months). The male graduates showed high chances of job transition in the first year after the graduation, or 4 to 6 years when they finish the military service duties. On the other hand, more than the half of the female candidates moved within the first year, but they had less and less job transition probability as time passed. The result predicts that the military duty is one of the main factors for lowering the job transition for male graduates, whereas females would face long-term job transition because they show negative duration dependence unless transit right after the grad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good job transition, both male and female candidates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with less unemployment rate showed higher transition probability, however, the other factors had a few differences. Women with good personalities and married had difficulties in job transition while the personal and family factor had no effect on males. Career counseling, one of the main external factors in job search, affected males, but career maturity, an internal factor, affected females in positive ways. For the human capital factor, male graduates experienced vocational training and part-time jobs, and the females who had worked full-time had difficulties in job transition.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only female graduates from metropolitan cities showed less job transition probability than those from other areas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male graduat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of vocational training in secondary education and labor market environment development for all genders, as well as personal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strategy, the job search factor for each gender. Overall, the factors and the length of job transition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are differ from those of the whole young people, and between the genders, so that targeted specialized job transition support and strategies are urgently required. Therefore,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considered to promote good job transition for male and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First, intensive transition time and strategies have to be directed differently for each gender. Since male graduates have higher job transition probabilities within one year after the graduation and after the military service, they need supply and public relations regarding the demand to maximize the job centered skill system and industrial skilled personnel system before the duty. Personalized job counseling is needed to train and to find good employment after the service for male graduates. Since female graduates mostly find jobs shortly after their high school graduation, and full-time work experiences hinder their job transition, they need career counseling during their school period or they have to be encouraged to go to the industry demand connected schools for their good job transition. Secondly, we need to reinforce the vocational training in secondary school since it had been proved effective for both genders. Meister Schools have to increase their possible studen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need to introduce market for apprenticeship and Work Based Learning Dual Systems. Particularly, Meister Schools have only few female students and they are mainly focused on male-centered occupations, so they have to find more female preferred and female aptitude focused jobs and related programs. On the other side, career counseling and training, or job placement plans are required for graduated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 Self-Regulatory High schoo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except for Meister Schools as there are almost no job transition programs in those schools. Third, various available jobs and quality positions are needed because a large percentage of high school graduates have started their work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s the limitation of available number of jobs prohibits self-development opportunity, and salary increase, private businesses have to provide different kinds of occupations and also need to link them with job opportunity programs for high school graduates.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or promotion chances within the existing job places can encourage business environment. Next, subsidies for job opportunity plans which change temporary employment to permanent one for high school graduates are required since job transition is harder for decreasing salaries in high employment status. Additional detailed programs are necessary for income support and budget to support the depreciation of human capital as the job transition would be getting harder. Plans that develop women-friendly industry or apply subsidies increasing the labor demand with keeping the current pay rate for female high school graduates are specially advised to maintain female workforce in the current labor market in terms of their higher unemployment rate during depression. Finally, metropolitan cities have to consider the ways to connect high school graduates to the available job opportunities in other areas since transition for the better job in the metropolitan city is difficult. In particular, data base for local labor demand has to be prepared to offer local job openings to the high school graduates and support them to smoothly connect with the local job opportunities as well to prevent the mismatch of the supply and demand of labor marke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