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중-
dc.contributor.author양정순-
dc.creator양정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24-
dc.description.abstract도시공원의 밤은 도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삶의 가치와 실천을 수용하는 중요한 도시공간으로 인식되어 다양한 의미공간으로 재해석되며, 이는 생태 환경적 향유와 더불어 도시 문화적 요소이자 정서적 공간이 된다. 야간 도시공원 조명환경은 공간의 질서를 형성하여 그 곳의 특성을 규정하고 이를 지각하는 이용자들의 행위 기준이 되어 사람들의 행태 패턴을 형성하는 장소적 특성으로 발현된다. 이에 공원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야간 도시공원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디자이너의 직관 및 경험에 의존해 온 설계방법에서 이용자 중심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설계방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용자가 인식한 디자인의 수준을 객관화하는 도구인 이용 후 평가(Post - Occupancy Evaluation)의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이것은 이용자의 공간 지각과 인식에 대한 정성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대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통계분석과 같은 정량적 기법을 적용하여 당면한 문제의 해결방안이나 타당한 결과를 도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대한 중요성과 이용 후 평가 연구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 야간 도시공원 이용에 있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공간적 문제 파악이 어려우며 조명디자인 과정에서 질적 수준 제고의 관점이 이용자 중심이 아닌 디자이너 혹은 사업집행자의 주관에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있어 이용자 중심 계획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명디자인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둘째, 이용 후 평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시공원 야간경관디자인의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도시공원 야간경관 디자인의 질적 제고를 위해 활동 주체인 이용자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과정을 통해 야간 도시공원과 조명환경과의 관계성을 고찰하고 이용자의 야간 도시공원 이용에 있어 다양한 행태 지원성과 풍요로운 정서적 편의성을 충족하는 야간 도시공원 조명조건을 찾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평가척도는 결국 그 곳의 디자인 기준을 제안하고 방향성을 제시한다. 연구 범위 및 방법에 있어 공간 대상은 국내에서 공원이 적극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1980년대에서 최근까지 이용자의 다양한 행태가 예상되는 110,000㎡이상의 대규모 서울시 도시공원 6곳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 및 방법은 먼저 도시공원 야간경관 의미 고찰과 관련 규정 및 절차, 조명기구 설치현황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사회적 중요성을 표명하고 이용자 중심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설계방법이 적용된 도시공원 조명계획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국외 경관조명 기준 고찰을 통해 야간 도시공원 공간 분석기준 체계화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공원 야간경관디자인 접근방법을 구축하였다. 이 접근방법은 이용후 평가에 있어 평가요인으로 적용하였으며 도시 경관적 측면, 공간 구조적 측면, 공간 지각적 측면, 이용 행태적 측면이다. 셋째,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평가방법을 구성하고,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학술적 및 실무적 측면으로 접근하여 연구결과의 객관적 타당성과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넷째, 도출된 분석틀에 의해 조명환경 분석 및 주간과 야간에 이용자의 이용후평가(POE) 설문조사 및 이용자 행태반응에 관한 관찰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용 빈도와 이용전․후의 평가 차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면밀하게 분석하고 행태패턴을 조사하여 조명환경과 이용자 평가 결과와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야간 도시공원 이용후 평가 연구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 및 연구의 의의, 그리고 한계점을 밝히고 있다. 연구 결과로 빛에 의한 지각과정과 인지과정의 도식화를 통해 다양한 행동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이용자의 다양한 행태로 표출되어 그 곳의 운동성을 창출하고 야간 도시공원의 장소적 특성이 규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빛을 통해 미학적, 인지적 그리고 물리적 차원으로 공간을 지각하여 행태 반응으로 형용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경관조명디자인은 야간 도시공간에 있어 대상공간을 빛과 공간과의 관계에 따른 이용자들의 행태반응에 대한 상호 관계성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시경관적 측면에서는 조망 위치・방향・거리・배경의 밝기 등의 조건에서 그곳의 운동성이 반영된 면밀한 계획이 중요하며, 공간 구조적 측면은 빛 분포에 따라 공간요소의 관계성을 명확히 하여 야간 공원의 구조적 공간 질서가 형성된다. 공간 지각적 측면은 야간 도시공원의 입체적 공간 질서를 형성하여 이용자의 공간 지각과정을 체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즉 이용자는 야간 도시공원을 먼저 2차원적 경관이미지로 지각하고, 공간 구성요소들을 수직 수평적 다양한 차원으로 공간구조로 인지하여 다양한 공간규모로 공간 지각하는 인식하는 절차를 통해 그 곳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행태패턴으로 표현한다. 더불어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있어 조도 기준보다는 조도분포가 이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조도보다는 휘도 중심의 계획이 중요하며 수직 ․ 수평적 밝기의 관계성에 대한 계획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조명환경에 대해 이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상황에 따라 그 평가 반응이 확연히 차이가 나고 그 공원의 정기적 이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공간을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원의 밤은 도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삶의 가치를 제시하고 그 도시민의 삶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인간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조명 조건을 찾아내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과정은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새로운 디자인 연구방법론으로 활용되어 야간 도시공원 디자인 개선방안을 위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The night of urban park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urban structural element that adds value and fulfillment to more elevated quality of life of citizens. It is reinterpreted as a meaningful environmental element of the city, which becomes both brings both emotional and cultural benefits. The nighttime environment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forms the order of space, which defines a spatial character and builds behavioral patterns of the park users. Thus, in order to accomodate a variety of park users’ demands and the quality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at nigh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ational scientific design method apart from the design method that depends on a designer’s intuition and experience. Thus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research method, which objectifies the standard of design recognized by the user. This is a process that materializes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user’s space perception and awareness to quantitative value and draws a valid conclusion and provides the means to resolve this subject’s problem by applying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a statistical analysi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and the value of POE, there are very few past researches conducted in Korea related to this topic. It led to a challenge in understanding the users’ demands and the realistic environmental problem of using the urban parks at night, therefore, the decision on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ghting design has been mostly based on the hypothesis of a designer or influenced by project’s executional challenges, rather than being rooted in user insights. 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of all, to raise the awareness of user-centric plans in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at night and set up a foundation for lighting design; and secondly,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of the nightscape lighting design through the POE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ight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arks at night and nightscape through the systematic research process about the user’s POE and seeks a lighting condition of urban parks at night that satisfies various behavioral patterns and builds emotional connections while using the urban parks at night. The evaluation scale developed during this study suggests the standard and direction of the design. In the range and method of research, six urban parks, over 110,000㎡ in size, within Metropolitan Seoul have been chosen as the subject space. These parks are expected to have had a wide range of user behaviors since their construction in 1980s to present. During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firstly, the significance of the lighting design, relative regulations and the procedure of building nightscapes in urban parks, as well as the installation status of the lighting equipment,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out the process,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nightscape of urban parks has been stated, and the needs of an urban park lighting plan that is based on user-centric rational and scientific design method has been raised. Secondly, the analysis criterion of urban park space has been systematiz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overseas landscape lighting standards, and the method of night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has been forg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is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the evaluation factors in POE as the analytical standards of cityscape, spatial structure, spatial awareness and user behaviour. Thirdly, the assessment method has been guided by preceding research. The objectivity of validation and research reliability have been improved by academic and practical approach of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survey of specialists’ opinions. Fourthly, the analysis of lighting environments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of user POE and observations were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s on users’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day and n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ed environment and user responses has been assess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e, the evaluation of discrepancy before and after use, and the variation of behaviors by gender and age group. Finally, the result disclo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OE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that has been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 has proved that there are a variety of behaviors made possible through the schematization of perception and cognitive processes by light. This establishes the movement based on users’ varied behaviors and defines the character of place.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can also be established through users’ behavioral reactions to the space’s aesthetic, cognitive perception and physical dimensions under the effect of the lighting design. Thus landscape lighting design can be read as a process of explaining the subject space in the urban space at night and re-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ship of users’ behaviors. In the process of cityscaping, it is important to plan what reflects the movement within the space in terms of the location, direction and distance inbetween and the brightness of background. From a spatial structure perspective, light forms and defines the urban parks’ structural space order at night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of space elements depending on light distribution. From a spatial awareness perspective, it reveals the systematization of the user’s spatial awareness process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order of urban parks at night. In other words, the user recognizes the urban parks at night as a two-dimensional landscape image; is aware of the space structure as various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s; and finally embraces and utilizes the space as part of his/her behavioral patterns by recognizing and estabishing the spatial awareness defined by the light from various space scales. The illuminance distribution affects the user satisfaction more than the recommended level of illuminance in nightscape lighting in urban parks.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plan should be focused on luminance rather than illuminance, and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a supplementary plan with the relationship of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of light.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evaluation responses about the lighting environment clearly vary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users’ gender and age. Regular users give more accurate evaluations about the lighting environment. The night time of a park provides citizens with valuable extended lifestyle op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pply the lighting condition that contributes to the quality of various usage occa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and proces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new design research methodology of the urban park’s nightscape, and will give empirical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plans in the nightscape of urban park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의미 고찰 및 현황조사 6 A. 도시공간에 있어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의미 6 1. 도시공원의 의미와 역할 변화 6 2. 야간경관과 경관조명디자인의 의미 9 3. 도시공원 경관조명디자인의 역할 12 B. 도시공원 야간경관 현황 16 1. 조명설치 측면 17 2. 제도 및 절차적 측면 23 C. 소결 및 문제제기 31 Ⅲ. 도시공원 경관조명 기준 및 디자인 접근방향 33 A. 도시공원 조명 기준 고찰 33 1. 도시공원 경관조명 기준 33 2. 도시공원 경관조명 기준 비교 및 광학적 분석기준 도출 41 B. 도시공원 야간경관디자인 접근 고찰 44 1. 도시 경관적 측면 47 2. 공간 구조적 측면 50 3. 공간 지각적 측면 53 4. 이용 행태적 측면 59 C. 소결 63 Ⅳ. 평가 방법 및 항목 도출 과정 65 A.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평가 방법 도출 65 1. 이용후 평가(Post-Occupancy Evaluation)에 대한 고찰 65 2.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66 3. 평가방법 도출 과정 72 B.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평가 항목 도출 74 C. 종합 및 분석틀 도출 80 Ⅴ. 야간 도시공원의 이용 후 평가 분석 83 A. 대상지 선정 및 평가분석 방법 83 B. 분석내용 87 1. 이용 형태에 대한 분석 87 2. 이용 후 평가 분석 90 C. 결과 및 해석 133 1. 도시공원 야간경관과 이용자 반응과의 관계성 133 2. 도시공원 야간경관 디자인의 방향성 136 Ⅵ. 결론 147 참고문헌 152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96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도시공원의 야간경관디자인 이용후 평가-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in Urban Parks-
dc.format.pageix, 161 p.-
dc.contributor.examiner김연정-
dc.contributor.examiner심은주-
dc.contributor.examiner조지연-
dc.contributor.examiner최정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