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보희-
dc.contributor.author진희란-
dc.creator진희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9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본인만의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임천고치』에서 산수화의 본질을 찾고, 사의를 통한 진경산수의 표현법을 연구해본 내용에 대해 서술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임천고치』의 ‘임천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그린 그림(산수화)’, 사의(寫意)의‘그림을 그리고 싶은 마음’과‘정신과 내용을 담아 실제보다 더 그곳 같은 느낌을 들게 하는 것’, 진경산수의 ‘직접 사생하며 경험한 내용을 그림으로 풀어가는 과정’이다. 산수를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감정에 따라 그리는 것, 이것이 본인이 산에 오르고 사생하게 된 이유고 ‘담경(談景)’이라는 작업방향을 갖고 작업하게 된 동기가 됐다. 본인이 표현하려는 ‘담경’은 ‘이야기가 있는 풍경(산수화)’을 그리는 것으로, 이야기에는 산세의 모습과 사람의 모습을 담으며 『임천고치』 와 사의의 이론을 바탕으로 산에서 겪은 경험과 감흥을 그려 산의 정취와 본인만의 시각을 담아낸다. ‘담경’을 담기 위해 나무와 바위가 있고 사람의 흔적이 있는 땅(평지, 地)과 울창한 숲이나 폭포, 산봉우리 등의 시선이 가는 경물(景物)의 모습(意)그리고 소탈하고 청산한 느낌을 위한 하늘(여백, 天)로 구성하고 표현법에서는 이야기 연출을 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축소)하고 인상적인 부분은 강조(확장)함으로써 산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닌 본인이 경험한 감흥에 맞게 산의 이야기를 구성하고 표현하게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담경’산수의 가능성을 탐구해 작업 방향을 설정하고, 이론에 뒷받침할 표현법을 키우기 위해 산수에 대한 관찰을 계속 하고자 한다.;This article outlines the author’s search of an autonomous expression of sceneries. This was pursued through her analysis of the Chinese medieval text of Imchungochi, through which she studied the essence of landscape art. Imchungochi describes; portraying one’s nostalgia of the observed nature; using ‘the desire to paint’ and ‘the psyche’ to give one a feeling of being in the scene, even more so than while standing in the scene in reality; the narration of one’s own experience through painting. “Walking into the sceneries and reliving the experience with such perceived emotion” was the author’s passion that led to her countless hiking journeys and her theme of Dam Kyung, which translates into ‘the views with stories.’ Using stories that portray the appearance and the behaviors of humans and the nature, the author applies the doctrines of Imchungochi to her work to present her very own experience and point of view through the painted landscape. Dam Kyung composes of objects that attract and voids that exonerate. Objects include trees and rocks, ground with traces of people, dense forestry, waterfall, and mountains. The sky fills the void. To express such, the perceived impressions are exaggerated [expand] and the rest is suppressed [contract]. The scenes are composed and expressed according to a subjective experience, as to recording factual elements. Through such, the art of Dam Kyung was realized. With this in depth study of Dam Kyung, the author has set the direction of her work and established her own theory. The author will continue her endeavor to observe in order to further analyze her theme of Dam Kyung to practice her technical skills to achieve the go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곽희의 화론 4 B. 사의(寫意)와 진경산수(眞景山水) 10 1. 사의 속 진경산수 11 2.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 12 C. 담경(談景) 17 Ⅲ. 조형적 표현 22 A. 담경을 담은 구도 23 B. 사생을 통한 생략과 강조 26 Ⅳ. 작품 분석 29 Ⅴ. 결론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8984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산수화(山水畵)에 담은 ‘담경(談景)’-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am Kyung : Painting Sceneries Embodying Stories-
dc.creator.othernameJIN, HeeLan-
dc.format.pagevi, 62 p.-
dc.contributor.examiner이종목-
dc.contributor.examiner서은애-
dc.contributor.examiner이기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