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혜-
dc.contributor.author양희주-
dc.creator양희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4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도자 예술 작업을 통해 개인 공간(personal space)의 조형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조형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근대 이전의 개인은 주체적 자아로서의 역할보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이 강했었지만, 현재는 자기 자신이 삶의 주체임을 인식하고, 개개인이 독특한 개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적 존재이기도한 개인은 각자가 처한 환경이나 물리적 상황 때문만이 아니라, 자신과 사회 간의 심리적 괴리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의 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도자 조형으로 사적 공간을 제작, 표현하였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식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스트레스를 자기 내면에 쌓아두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본인은 도자조형으로 혼자만의 공간을 만들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사적 공간의 형상화 작업을 통해 본 연구자가 경험한 도예와 자기 내면세계간의 연관성을 방법적, 조형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사적 공간이란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공간이다. 자신의 신체가 충분히 머물 수 있는 충분한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장 본질적인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심리적 요소가 충족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내면의 공간은 개인의 자아와 주체성 등을 성찰하는 공간이다. 요즘처럼 많은 정보가 범람하고 변화가 빠른 시대에는 종종 타인의 의견에 휩쓸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쉽게 상처를 받거나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혼자일 수 있고, 내면의 치유와 휴식을 경험할 수 있는 사적 공간의 필요성과 특징을 논고하였다. 사적 공간은 홀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상처받은 곳을 치유하고, 다시 사회 속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재충전을 위한 공간이다. 이러한 사적 공간은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소를 위한 시간성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Ⅱ장에서는 사적 공간의 형상화를 위한 이미지적 요소와 방법적 요소, 조형적 요소를 논하였다. 본인이 선택한 코일링(coiling)과 핀칭(pinching) 기법에는 반복과 몰입의 특성이 있어 이를 통해 치유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태토와 질감에 의한 표현은 사적 공간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이 되었다. 조형적 요소에는 주로 세 가지의 특성이 있는데 각각의 요소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작업 과정에서의 작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Ⅲ장에서는 본인이 제작한 대표 10작품에 사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본인은 그간 만들어온 일련의 작품을 통해 제작에 있어서의 기술적 요소가 사적 공간의 시간적 요소와 연계될 수 있고, 또한 조형적 요소는 사적 공간의 심리적 요소와 연관될 수 있음을 작품과 함께 제시하고자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gn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personal space through ceramic art. Individuals before modern society had their character as a social member rather than being subjective. However, in modern society people hold more subjective self-awarenes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 individuality. Nonetheless, since each individual is still a member of a society, they face stress due to both the environment and physical situation they are in, and additionally, due to psychological dissoci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society. Based on the critical mind towards individuals’ stress in modern society, the author expressed personal space through ceramic molding. Mean of relieving stress certainly varies per individual. However, the author crafted her own personal space through ceramic art as one of the methods for relieving stress, rather than keeping it in one’s min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eramic art, that the author experienced through personal space forming work, and individual’s inner mind in artistic point of view. Personal space is a psychological space each individual experiences. It is a space where, not only the physical elements that provide sufficient physical space for one to stay in, but also psychological elements that enables individuals to reflect their inner mind are fulfilled. Such “inner space” is a space where people can reflect their character and identity.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where great amount of information spread, people are often driven by others’ opinion and get easily stressed or even scarred. In Section Ⅰ of this thesis, regarding this problem, we address the necessity for personal space where one can be left alone and undergo inner mind peace, and also its characteristics. In one’s personal space, individuals can spend sufficient time to heal their scars in psyche, and recover themselves to get back to the society. Temporality, hen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such personal space. In Section Ⅱ, we describe technical and artistic elements for physically forming people’s personal space through ceramic art. From the coiling and pinching techniques that the author chose to apply, one could feel healing of scars in psyche due to their repetitive and immersing characters. In addition, by using clay as a mean to express unique texture, it was made possible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 in detail. Further research on the meanings and application of ceramic art’s four main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In Section Ⅲ,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thor’s 10 representative work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sonal space is provided. Finally, as a conclusion of the thesis, the author aims to propose that both artistic and technical aspects used for creating her artistic works can be connected with temporal aspect of personal space, and also that ceramic art can be related to psychological elements of personal asp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작품의 배경 사상과 제작 동기 1 A. 사적 공간의 필요성 1 1. 개인주의의 시대 1 2. 사회 속 개인의 스트레스 3 B. 사적 공간의 특징 4 Ⅱ. 사적 공간의 형상화 6 A. 이미지적 요소 6 1. 고치 6 2. 개미집 8 3. 동굴 9 B. 방법적 요소 11 1. 반복적 쌓기 - 코일링과 핀칭 11 2. 태토와 질감에 의한 표현 12 C. 조형적 요소 13 1. 안과 밖 13 2. 숨구멍 15 3. 돌기 16 Ⅲ. 작품설명 18 Ⅳ. 결론 47 참고문헌 48 ABSTRACT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53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도자 조형에 있어서의 사적 공간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ng personal space through Ceramic Art-
dc.format.pagev,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