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3 Download: 0

KAP 학습자를 위한 전략 중심의 한국어 읽기 쓰기 통합 교재 개발 연구

Title
KAP 학습자를 위한 전략 중심의 한국어 읽기 쓰기 통합 교재 개발 연구
Authors
차유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해 우리나라는 ‘Study Korea 2020 Project 사업’을 실시하여 2020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규모를 20만 명까지 확대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주최의 ‘Study Korea 2020 Project’사업을 중심으로 각 지방 대학이나 정부 부처에서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친 결과, 외국인 유학생 수는 해마다 큰 증가세를 보여 오다가 마침내 2014년 8만 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대학 수강을 할 수 없는 수준의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 대학교에 진학하여 학업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학생 중도 포기 현상’에 대한 문제는 2001년 이해영의 연구에 의해 문제점이 제기 되고, 그 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펼쳐졌다. 이에 따라 학습자 요구 조사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 과정 설계 방안 연구 및 교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시중에 출판된 유학생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교재는 두 언어 기능 활동에 대한 연계성이 부족하며 읽기·쓰기 통합 교재 자체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전략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읽기·쓰기 통합 교재도 없다. 학문 목적 한국어(Korean for academic purposes) 학습자는 언어 학습의 목표를 의사소통 향상으로 하는 일반 목적(Korean for general purposes) 한국어 학습자와는 다르게, 한국 내 대학을 진학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게 된다. 즉, 한국어 학습의 목표가 학업 수행이라는 특수한 목적에 있으므로 특수한 목적에 맞는 적합한 언어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본 포트폴리오는 이러한 상황에서 본격적인 대학 교육의 전 단계의 수업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자의 특정 요구에 맞는 내용으로 설계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학습자의 특정 요구에 맞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전공 분야와 관련된 주제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유학생을 세부 전공별로 학습자를 분류하여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 대학의 일반 교양과목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를 바탕으로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읽기와 쓰기 전략을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여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에서 오는 어려움과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전략 바탕의 읽기·쓰기 통합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들은 각 어학기관에서 각 대학이 요구하는 한국어 능력 자격사항을 갖추고 대학에 입학 허가를 받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KAP)학습자들이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유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을 발판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KAP)를 대상으로 한 교육 자료 점검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학문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전략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교육 자료 개발은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이다.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는 읽기와 쓰기 인지적 관계 탐색을 시작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어 국어 교육과 영어교육에서 다양한 적용 방안이 나왔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의 통합 지도가 효과적이라 주장하지만, 정작 읽기와 쓰기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시중에 출판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재를 살펴보면, 교재 안에서 이루어지는 읽기와 쓰기의 각 활동은 서로 상호 작용 없이 단독적인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활동의 유기성 면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이 두 기능을 어떻게 연계하여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읽기·쓰기 통합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제시가 필요하다. 국어 교육에서는 최숙기(2012)가 읽기·쓰기 통합의 방향성을 ‘읽기를 위한 쓰기’, ‘쓰기를 위한 읽기’, ‘읽기와 쓰기의 상호 작용’ 모형에 따른 통합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국어교육은 학습 대상자가 달라 지도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최숙기(2012)가 제시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이 두 언어 기능 활동을 유기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포트폴리오에서 개발되는 교재는 최숙기(2012)가 제시한 ‘읽기와 쓰기의 상호 작용’을 반영하여 읽기·쓰기 주제 및 전략 활동이 유기적으로 구성된 읽기·쓰기 통합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학문적 활동에서 수많은 텍스트를 읽으며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지식을 쌓게 된다. 텍스트 읽기를 통해 얻은 정보는 유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 획득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 대학생들의 경우 전공 관련 읽기는 새로운 정보들과 전문적인 어휘가 있어 읽기의 속도가 더디고 텍스트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학문적 읽기의 경우 모든 텍스트를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 자신이 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읽고 이해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이런 전략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읽기 텍스트를 단어의 이해, 문장의 이해, 문단의 이해에 비중을 두고 텍스트 전체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려 하기 때문에 읽기에 대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읽기는 독자가 글을 읽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며 읽기를 수행해야 한다. 보통 학문적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텍스트는 전공교재나 강의 자료, 발표문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 모든 것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려 한다면 학문적 읽기는 당연히 부담스러운 학습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읽기 전략에 대한 학습이다. 하지만 현재 시중에 출판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교재는 학습자에게 특정 읽기 전략을 소개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재는 없다. 읽기 전략을 명시적인 설명 없이 단순히 문제를 통해 암시적으로 전략을 유추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아쉽다. 따라서 본 포트폴리오에서는 계발되는 읽기·쓰기 통합교재는 읽기 전략을 명시적으로 소개하여 특정 전략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할 것이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학문적 읽기와 쓰기에 대한 부담을 낮춰주어 학업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포트폴리오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쓰기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려고 한다. 위 상황을 종합하여 본 포트폴리오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의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포프폴리오는 학문 목적 한국어(KAP)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전략 개발 향상 위한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대학 학문 활동에서 쓰기와 읽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문 상황에서 전공 관련 읽기와 리포트 쓰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다른 기능보다 읽기와 쓰기 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읽기와 쓰기 통합 교육의 필요성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증명된 바 통합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