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4 Download: 0

도시·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도시·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social network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and urban elderlies :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uthors
고금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Erica Yoon Kyung Auh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노인과 농촌노인 각각의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시·농촌 간의 차별화된 노인복지정책 및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4차 기본조사 원자료로 조사대상은 65세 이상인 노인 4,134명을 도시노인 2,877명과 농촌노인 1,257명으로 재분류하였다. 독립변수는 사회적 관계망(구조적 특징: 배우자 유무, 자녀와의 접촉빈도, 사회활동 참여개수; 기능적 특징: 부부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매개변수로는 건강증진행위, 종속변수로는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변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 두 집단의 회귀계수 차이 검정을 위해 Chow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남자이고, 고학력일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고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학력이 높고, 월평균 소득이 높으며, 인지기능이 좋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더욱 수행하였으며 농촌노인의 경우 여자가 건강증진행위를 더욱 수행하였다. 주요변수 기술분석에서는 매개변수인 건강증진행위에서 도시노인의 평균은 2.21, 농촌노인의 평균은 1.99였고 삶의 만족도의 경우 도시노인은 평균 5.60, 농촌노인은 평균 5.68로 나타냈다. 건강증진행위 세부항목에서는 두 집단 모두 규칙적 식사, 금연, 규칙적 운동 순으로 건강증진행위가 잘 실천되고 있었다. 매개효과 검증은 Sobel test를 포함하여 총 4단계로 나누어 실시했으며, 먼저 주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도시노인은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변수인 사회활동 참여개수, 부부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가, 농촌노인은 사회적 관계망의 모든 하위변수(배우자 유무, 자녀와의 접촉빈도, 사회활동 참여개수, 부부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도시노인의 경우는 사회활동 참여개수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관계의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농촌노인의 경우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두 집단 모두에게서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므로 노인의 여가활동·자원봉사·노노케어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넓히도록 한다. 둘째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된 도시노인집단은 사회적 관계망을 높이면서 건강증진행위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전체 차원에서의 포괄적인 접근으로 WHO가 내세운 고령친화도시(age-friendly cities)를 전국적 도시 단위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노인의 경우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하고 건강증진행위의 수행 정도를 높여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 등 다학제팀이 집단프로그램을 만들어 농촌에 정기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도시노인과 달리 농촌노인에게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것은 측정된 매개변수인 건강증진행위는 규칙적 인 운동과 식사, 금연 여부로 개인적인 특성만을 고려한 것으로 농촌 노인들의 특성인 공동체성을 본 연구에서 살펴보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는 본 연구의 페널데이터 사용의 한계로서 후속연구 시 이를 보완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촌의 경우, 낮은 정보의 접근성과 교육수준 등으로 인해 삶에 있어 건강증진의 중요성에 대한 낮은 인식과 건강 활동 개념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부터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사회적 관계망, 삶의 만족도, 건강증진행위, 도시노인, 농촌노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variable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relations to how social networks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derlies generally caused the rising need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derlies, which was contingent upon social network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al data for more tailored social policies for various elderly populations throughout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data for this study derived from the 4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 targeting 4,134 individuals aged 65 or abov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ife satisfaction scores for the urban elderly and rural elderly were 5.60 and 5.68, respectively, in the scale of 0 to 10. The averag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s for the same populations were 2.21 and 1.99, respectively, in the scale of 0 to 3. When each parameter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more closely examined, 88.6% of the urban elderly and 84.7% of the rural elderly regularly engaged in more than two health promotion behaviors; such as disciplined diet, no smoking, and physical exercis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il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for social networks wer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urb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while all sub-factors for social networks, (existence of spouse,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il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After verify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n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fil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urban elderly. However,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ditating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could not be verified due to insufficient statistic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e study, following propositions were presented. 1. Social networks enhanced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urban and rural elderlies; therefore the elderly’s social networking opportunities must be further expanded via increasing leisure activities, volunteer work accesses, and implementing social care programs such as Senior Companions. 2. Social network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the urban elderly must be improved as their mediating effects had been verified; to achieve this, the society as a whole must approach the issue holistically and implement the age-friendly cities, recommended by WHO, nationwide. Keywords: social networks, life satisfa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urban elderly, the rural elder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