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6 Download: 0

몬드리안의 작품을 응용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Title
몬드리안의 작품을 응용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Authors
정인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임선
Abstract
우리는 21세기를 살면서 피에트 몬드리안 (Piet Mondrian)의 신조형주의 이론을 표현한 디자인을 여러 방면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그의 작품의 특징적인 요소인 수직·수평선에서 많은 디자이너들이 영감을 받았다. 몬드리안은 어떤 사물이라도 단순화시키면 똑같은 조형적 결과가 나온다는 사실을 깨달아 선과 색채의 표현만으로 작품을 완성하는데 이를‘신 조형주의’라 불렀다. 이 구성적 이미지는 회화만이 아니라 모든 조형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현대 산업사회의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건축분야에서 몬드리안의 이론은 건축가의 사고에 철학적 기반을 만들었으며, 건축가 리트벨트는 신 조형주의 원리에 입각한 대표적인 건축물 슈뢰더 하우스를 지었다. 디자인 에서 몬드리안의‘신 조형주의 이론‘은 장식적이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 단순함을 강조하면서 계산된 완벽함을 추구하는 디자인의 표본이 되었으며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몬드리안의 작품을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에 접목시켜 연구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디자인 운동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몬드리안의 작품을 분석하여 수직·수평선과 기하학적 형태의 점·선·면 분할의 조형적인 특성을 응용해서 패브릭 디자인의 모티브를 개발하고 작품제작을 하여 인테리어 패브릭 용도로 제안 하였다. 본 논문은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작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목적과 그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을 분석하고 본 작품의 모티브가 된 몬드리안의 작품 가치관인 신조형주의가 회화와 건축에 미친 영향과 다양한 방면에서 몬드리안의 디자인이 선행된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몬드리안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수직·수평과 점·선·면을 응용하여 패브릭 디자인을 진행했다. 넷째, 디지털 프린팅 작업을 하여 작품 7점을 제작했다. 본 연구와 작품제작을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형상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선과 선의 교차를 통해 사각 면을 얻을 수 있었다. 몬드리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섬유 디자인을 하면서 건축이라는 분야에서 영향을 받은 인테리어 패브릭을 개발하는 가능성을 제안했으며, 섬유와 건축 분야의 상호 보완적인 시도를 하였다. 둘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작업을 린넨 소재와 망사 소재에 하여 창문이나 공간과 공간사이를 나눌 때 올 사이로 들어오는 은은한 빛의 효과와 어느 배경과도 어울릴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는 몬드리안의 조형적 요소의 기본인 수직·수평과 점·선·면을 이용하여 패브릭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인의 작품과 건축의 공사과정을 기하학적 형태의 면으로 나타내고 이를 중첩시켜 섬유의 기능적 요소와 예술적 기능을 갖춘 패브릭 디자인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이에 본 연구는 몬드리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제시한 작품이 예술과 건축, 섬유 디자인을 하나로 융합시켜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During the course of the 21st Century, we were able to find Piet Mondrian’s Neo Plasticism theory from designs in many aspects of our lives and numerous designers were inspired b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from his works. Mondrian realized that any objects can be simplified into same plastic results and he completes his artworks by expressing straight lines and colors, which was later named, ‘Neo Plasticism.’ This organizational image can not only be applied to paintings and plastic arts, but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vast area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Within the architecture, Modrian’s theory formed a philosophical basis of architects, such as Gerrit Rietveld who built the Schröder House under the principles of Neo Plasticism. In the world of design, Mondrian’s Neo Plasticism became a model for designs emphasizing simplicity by discarding decorative and unnecessary elements and pursuing calculated perfec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ease of mass production. Based on above facts, it became evitable to the researcher that Modrian’s theory of Neo Plasticism can also be fused into interior fabric design research. This research analyzes Mondrian’s artworks and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nd geometrical shapes of points, lines, and surfaces to develop an artwork for interior fabric purpose. The purpos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presented. Second, Piet Mondrian’s artworks and influences of Neo Plasticism to paintings and architecture designs are analyzed. Third, based on the plasticity deducted from the researches above, fabric designing was conducted using points, lines, and surface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earch of buildings’ shapes, rectangular surfaces were yielded. While designing a fabric that incorporates Mondrian’s plastic characteristics, an possibilities of developing an interior fabric influenced by architecture was proposed and an attempt of mutual supplementation between fabric and architecture was made. Second, digital textile printing on linen and mesh materials allowed soft light effects through strands of fabrics when used for windows and partitioning spaces. Third, Mondrian’s basic plastic elements, such as vertical and horizonal lines and points, lines, and surfaces are used in the research.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an opportunity in developing a fabric design that can graft the textile fabric’s function and artistic elements with an architectural geome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