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승태-
dc.contributor.author김정경-
dc.creator김정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40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s on power and state through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by Michel Foucault, and to investigate what we can do here now as subject. Since Foucault pays attention to the matter of subject and regard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subjectivation is power, the question of power occupies the major part in his analysis. Thus, this study analyzes Foucault’s genealogical power analysi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govermnetality which links the question of politics-ethics of Foucault. The methodology in Foucault’s power theory is worthy of notice, which is the theory of power per se. The genealogical power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an attempt to transform the question for power, which explores the operational method of power phenomenon itself based on multiple power relations rather than the origin, essence, or legitimacy of power. Unlike juridico-discursive analysis of power that emphasizes prohibition and restric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Foucault’s genealogical analysis reveals productive aspects of power. According to Foucault’s analysis, the technologies of power have changed depending on its targets and objectives. It appears as sovereign power,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Sovereign power deals with territory, established upon law for its justification. Disciplinary power controls individual bodies in terms of time and space to internalize the power, and creates docile bodies. Biopower deals with population, groups of people. To constantly maintain the population, biopower engages in life and death of individuals. In the period of biopolitics began with the emergence of pop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wer technologies are to individualize and totalize. Such power technology is derived from the technology of pastoral power to take care of the flock. Although Foucault is criticized for lacking state theory in his power analysis, he utilizes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to cover the macropolitical question of the state. The history of govermnetality is largely classified into pastoral power, reason of state, liberalism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First, pastoral power is examined as an origin of governmentality.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did not implicate to govern a territory or state for the first time. Rather, humans were the targets of being governed. In pastoral power for governing people, the pastoral took charge of caring groups. The pastoral should look after the entire group and do his best for individual sheep at the same time. Such pastoral power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church, and the government of men and conduction as a duty of pastoral power was entered into politics. New political rationality appeared in addition to the secularization of pastoral power, which was called reason of state. Reason of state took state itself as its origin and purpose. To reinforce state, diplomatic-military system and police were required. In particular, police exercised regulatory controls on population and objects surrounding population. However, the police power was criticized and deconstructed as facing economic problems such as food shortage. Those who devised a new governing technology are economists. They claim that a state should intervene at a minimum and maintain the nature of population and exchange mechanism of market. Nevertheless, only with this liberalistic governmentality, it could not appropriately cope with new economic problems. Therefore, interventionism and socialism policies appeared and neo-liberal economic policies appeared simultaneously. Foucault criticizes this neo-liberal governmentality. According to him, neo-liberal governmentality re-organizes all social things into the economic, makes fundamental units of society enterprise. In order to survive from the competitive logics of neo-liberalism, individuals have no choice but to change themselves as an entrepreneurial subject, and the misfits are marginalized from the society. Foucault emphasizes to autonomously construct the self against neo-liberal governmentality that has dogmatically highlighted economic rationality. The original meanings of govermentality explained by Foucault include the government of the self as well as the government of others. By focusing on these meanings, it is found that the power theory and governmentality concept by Foucault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concept of power and the concept of domination are distinguished. The power concept by Foucault can be expressed as power relation. Since it sets the existence of free subjects as its possible condition, it always has the potentials to change circumstance, while the state of domination with unbalanced condition of force is irreversible. Secon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state is not the political universals which is ultimate and mystified, but merely an accidental effect of various governing practices. Such perspective on state enables flexible thinking on changes of state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ird, Foucault’s point on subject and power is associated with the question of ‘how not to be governed like that’. In these contexts, the questions of politics and ethics are inseparable. We should not just accept reality given to us uniformly, rather we should produce a variety of power relations and subjects through continuous self-practice, resistance, and critical attitude.;이 논문은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통해 권력과 국가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확장시키고 궁극적으로 권력 주체인 우리가 지금 여기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푸코는 주체화 양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권력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그의 연구에서 권력문제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 논문은 푸코의 권력론과 특히 푸코의 정치-윤리 문제를 연결하는 통치성 개념의 의의를 드러내기 위해 그의 계보학적 권력분석 내용 자체를 먼저 분석하였다. 푸코의 권력론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방법론인데 이 방법론 자체가 권력론이기도 하다. 계보학적 권력분석은 권력에 대한 질문 자체를 바꾸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권력의 기원이나 본질 및 정당성을 탐구하는 대신 다수의 권력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권력현상 자체의 작동방식을 탐구한다. 금지와 억압만을 권력의 속성처럼 내세우는 법적권력분석과 달리 푸코의 계보학적 권력분석은 권력의 생산적인 측면을 드러내준다. 푸코의 권력분석에 따르면 권력은 그 대상과 목적에 따라 기술을 변화시켜왔다. 그것은 크게 주권권력, 규율권력, 생명관리권력으로 나타난다. 주권권력은 영토를 대상으로 하고 법을 그 정당성의 기반으로 삼는다. 규율권력은 개인의 신체를 시간·공간적으로 통제하고 이 권력을 내면화시켜 순종적인 신체를 만든다. 생명관리권력은 인간의 무리인 인구를 대상으로 하고 이 인구를 항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개별 생명의 삶과 죽음에 특정한 형식으로 관여한다. 인구의 등장으로 시작되는 생명관리정치의 시대에 근대권력기술의 특징은 그 대상을 개별화시키고 전체화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권력기술은 양떼를 보살피는 사목권력의 기술에서 기원한다. 푸코는 자신의 권력분석에서 국가이론이 결여되어있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거시적인 국가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통치성 개념을 든다. 이 통치성의 역사는 크게 사목권력, 국가이성,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으로 나타난다. 먼저 푸코가 통치성의 기원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이 바로 사목권력이다. 본래 통치의 개념에는 영토나 국가를 통치한다는 의미는 없었다. 그보다 통치의 대상이 되는 것은 인간이었다. 인간의 통치인 사목권력에서 목자는 무리를 보살피는 임무를 맡고 있다. 목자는 전체 무리를 보살펴야 함과 동시에 개개의 양들을 위해서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사목권력은 교회를 통해 제도화되었으며 사목권력의 임무인 인간에 대한 통치, 인도의 문제가 정치의 영역으로 유입된다. 사목권력의 세속화의 한편에 새로운 정치합리성이 등장한다. 이것이 국가이성이다. 국가이성은 국가 자체를 그 근원이자 목표로 삼는다. 국가의 강화를 위해 외교, 상비군, 내치의 장치가 필요한데 특히 내치는 인구와 인구 주변의 사물에 대해 통제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이러한 내치권력은 식량난과 같은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여 비판받고 해체된다. 새로운 통치술을 고안한 것은 경제학자들로 이들은 인구의 자연성과 시장의 교환메커니즘의 자연성을 해치지 않도록 국가가 최소한의 개입, 조절적 권력을 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통치성만으로는 또다른 새로운 경제적 문제인 불황 등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었다. 이에 개입주의, 사회주의 정책이 등장하고 동시에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도 등장한다. 푸코가 비판하고 있는 것은 이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이다. 푸코에 따르면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은 사회적인 것을 모두 경제적인 것으로 재편하고 사회의 기본 단위를 기업화한다. 신자유주의의 경쟁 논리에서 살아남기 위해 개인은 기업적 주체로 변모할 수밖에 없으며 살아남지 못한 개인들은 사회에서 배제된다. 푸코는 경제적 합리성만을 독단적으로 내세우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에 맞서 자기 자신을 주체적으로 구성해야함을 역설한다. 푸코가 살펴본 통치성 개념의 본래 의미에는 타자에 대한 통치 뿐 아니라 자기에 대한 통치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이에 주목할 때 푸코의 권력론과 통치성 개념은 다음의 의의를 지님을 알 수 있다. 첫째, 권력과 지배 개념이 구분된다. 푸코의 권력 개념은 권력관계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권력관계는 자유로운 주체의 존재를 그 가능조건으로 삼기 때문에 비가역적인 힘의 불균형 상태인 지배와 달리 항상 상황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둘째,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따르면 국가는 절대적이고 신비화되어야 할 정치적 보편자가 아니라 여러 통치실천의 우연한 효과일 뿐이다. 이러한 국가관은 현대의 국가 문제의 변화에 대해 유연한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주체와 권력에 대한 푸코의 문제 의식은 ‘어떻게 이런 식으로 통치당하지 않을 것인가’ 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통치성 개념의 맥락에서 특히 정치와 윤리의 문제는 상호불가분한 것으로, 우리는 획일적으로 주어지는 권력 현실에 순응할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실천과 저항, 비판적 태도를 통해 다양한 권력과 주체를 생산해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푸코의 권력분석 방법 6 A. 3 차원적 권력론과 푸코 6 B. 법담론적 권력분석 비판 12 C. 계보학적 권력분석 18 III. 생명관리정치와 통치성 23 A. 주권권력과 권력기술의 변화 23 B.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27 1. 규율권력과 개인 28 2. 생명관리권력과 인구 30 3. 통치일반의 문제 32 C. 통치성의 역사 34 1. 사목권력의 계보 35 2. 국가이성과 내치권력 39 3. 정치경제학과 자유주의 통치성 46 4.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51 IV. 결론 : 통치성 개념의 정치-윤리적 의의 56 참 고 문 헌 62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4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ichel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dc.creator.othernameKim, JeongGyeong-
dc.format.pageiv, 67 p.-
dc.contributor.examiner양승태-
dc.contributor.examiner민병원-
dc.contributor.examiner윤지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