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혜림-
dc.creator김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40-
dc.description.abstractEnglish has become used as a lingua franca in the world. English is not only used as an ESL but also learning English as an EFL. Consequently, due to the situation of EFL in Korea communicating in English has become a crucial ability. In Korea,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did not really give a chance to students to b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because of only focusing on grammar. Due to the repetition of practicing grammar and transferring the teachers knowledge, a negative perception of grammar by L2 learners has increased. Additionally, while communicating in English, L2 learners through focusing on fluency and not committing to grammar were missing the foundation of speaking ability. The exact translation of English means the ability to improve high level discourse, which is caused by the need for accurate speaking abili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learn grammar. In existing curriculums, they offered the language forms to develop accuracy and fluency of communication at all school level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Relation to these curriculums it is recommended to attend every day English class learning by getting exposed to authentic materials. To learn authentic material we can understand English in the correct context, if we teach English to students through applying the concordance program to class, this will be a useful effect for learning grammar of the L2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explicit and implicit instruction focused on grammar using a corpus has significant effects on English grammar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a middle school in Ulsan and research was conducted for 4 weeks in the following method. First of al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e was a control group that taught grammar in a traditional method. Others ar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randomly alloted into two homogeneous group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 explicit and implicit.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 lesson to observe any changes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at uses grammar learning materials taken from pedagogic corpus. The findings acquir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ammar area from the explicit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of the implicit group and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group, Which can be inferred that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using the corpus materials might help improve Korean middle student's English grammar ability with regard to the ways of grammar instruc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grammar test in both gramma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states that the most progressive group was the explicit group using corpus material, The implicit group using corpus material and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group were ranked in order according to grammar test scores. From this result, it is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to use corpus material for improving both grammar comprehension ability and production ability. Lastly, the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 survey indicated that the explici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pride, attempt, anxiety, interest, motivation and grammar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the both of implicit group and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group st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parts of affective domain. It implies that corpus-based explicit grammar learning gives positive effect to learner. The study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of all grammar learning has the advantage of giving authentic material such as corpus with which we can do learner centered education without explaining grammar like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Since the learner’s grammar system is very complicated they gradually and intrinsically make a connection and then their grammar system is developed, even if they did not understand everything despite the fact the teachers taught them everything. Also, according to a survey that the attitude about corpus-based teaching methods in the case of a corpus -based explicit group considering all parts of the attitude have significant change. Therefore, if the English teacher edits the material meeting the learners level and while teaching language in use in school it is effective. Lastly, based on the point that a group which uses both Corpus material and various other imput materials has a significant change compared with other groups in their comprehensive ability and production ability, while teaching grammar, giving students Corpus material as well as various other teaching materials it is very beneficial to improve learners production ability.;영어가 세계 공용어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외국어로써 영어를 배우는 나라 즉, EFL상황의 우리나라에서도 영어로 의사소통을 잘하는 것이 필수적인 능력이 되었다. 과거의 수업은 문법만 강조해서 유창하게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많이 제기가 되었다. 또한 과거의 학교 현장에서는 문법 위주의 교사 중심 수업으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학생들이 영어에 노출되는 기회가 희박한 경우가 많았다. 문법 위주의 주입식 수업 및 반복 연습으로 인하여 L2 학습자들은 문법 학습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졌다. 반면 근래의 영어 수업은 유창성만을 강조하는 쪽으로 치우치게 되었다. 또한 의사소통을 할 때, 유창성을 강조함에 따라 말하기 능력의 기본이 되는 문법능력을 소홀히 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문법이 경시되는 쪽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말하기 능력의 기본이 되는 문법 능력이 소홀해지는 현상을 낳고 있다. 그러므로 이 둘을 통합하는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수준 높은 담화능력은 정확한 의미전달을 함으로써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말하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문법 능력을 갖추어 의미 전달의 정확성을 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유창성만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시에 유창성과 정확성을 함께 향상시키기 위해서 초·중·고등학교 별 권장 언어형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문맥에 맞는 실제적인 자료를 접하여 실용영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권장하고 있다.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실제적인 언어자료를 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어민들의 구어와 문어로 구성된 코퍼스를 활용해야 한다. 코퍼스는 원어민들의 실제 언어 정보의 집성체로, 컨코던스(concordance)프로그램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수업에 응용하여 지도한다면 L2 학습자들의 문법학습에 유용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코퍼스 활용 문법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문법학습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이란 교사의 문법 설명 후 코퍼스 자료를 통해 문법 규칙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코퍼스 활용 입력 강화 활동이란 문법적 설명 없이 입력 강화 자료를 통해 문법 규칙을 스스로 도출하고 이후에 코퍼스 자료로 통해 공통된 규칙을 발견하는 교수방법을 의미한다. 위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간에 걸쳐 두 실험 집단에게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인 전통적 문법교수을 실시하여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또한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두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에게 사전 평가, 사후 평가 및 사전·사후 설문지 그리고 개방형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활동이 학습자의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사전·사후 평가에서 코퍼스를 활용한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이 가장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의 이해능력 평가 점수가 코퍼스 활용 입력 강화 활동 집단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제시 활동이 문법의 수용적 이해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법의 생산적 표현능력에 효과적인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을 실험한 결과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이 또한 문법의 생산적 표현능력에 다른 집단보다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설문조사한 결과 세 집단 중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문법 활동의 기여도에서는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활동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코퍼스 활용 입력 강화 활동 집단과 전통적 문법 활동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문법 활동의 태도 영역에서도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활동 집단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코퍼스 활용 입력 강화 활동 집단과 전통적 문법 활동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이 다른 집단에 비해 문법학습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법 학습은 전통적인 문법수업과 같이 교사 위주의 주입식 문법 설명을 벗어나 학습자 위주의 교육을 할 수 있는 코퍼스와 같은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학습자들의 문법 체계는 복잡하고 점진적이며 내적으로 연관성을 가지고 발달해가므로 가르쳐 주면 가르친 것을 그대로 배우지 않는다. 또한 코퍼스 활용 문법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조사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의 경우에 정의적 태도의 대부분의 면에서 학습자들의 태도가 유의미하게 나왔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코퍼스 자료를 편집하여 학교 현장에서 언어형식(language in use)에 대해 지도할 때 사용한다면 효과적이라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코퍼스 활용 명시적 규칙 제시 활동 집단이 이해도 능력 평가와 표현능력 평가에서 다른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나왔다는 점에서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문법수업을 할 때에는 코퍼스 자료 뿐 만 아니라 다른 입력 자료를 함께 제시한다면 학습자들의 표현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법교수 4 1. 문법 지도의 필요성 4 2. 문법 교수 유형 5 3. 형태 초점 교수법 8 B. 코퍼스 11 1. 코퍼스 정의 11 2. 용어색인 13 3. 코퍼스와 영어교육 13 4. 코퍼스와 문법교수 및 학습 16 C. 코퍼스 기반 영어 학습 선행연구 17 1. 코퍼스 관련 영어 학습 17 2. 코퍼스 관련 문법 학습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2 A. 연구 질문 22 B. 연구 대상 23 C. 실험 자료 24 1. 사전사후 문법 능력 평가지 24 2. 문법학습 활동 자료 26 3. 설문지 28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29 1. 실험 이전 절차 29 2. 실험 주요 활동 30 3. 실험 이후 절차 31 4. 자료 분석 방법 32 E. 연구의 제한점 3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4 A.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34 1. 문법 학습도 비교 34 2. 문법의 수용적 이해 능력과 생산적 사용 능력 비교 36 B. 코퍼스 활용 문법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42 1. 문법 활동에 대한 페쇄형 사전, 사후 설문 결과 42 2. 문법 활동에 대한 페쇄형 사후 설문 결과 43 3. 문법 활동에 대한 사후 개방형 설문 결과 45 Ⅴ.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2 부록 59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6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코퍼스 활용 문법 학습 활동이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us-based Teaching Methods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Grammar-
dc.creator.othernameKim, Haelim-
dc.format.pagex, 82 p.-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한종임-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