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와 삶의 변화 연구

Title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와 삶의 변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in Happiness Sports Program and Changes in Their Lives
Authors
김재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행복 스포츠 참여과정과 그에 따른 삶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의 참여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체험이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삶의 행복감 즉 인간관계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그들에게 스포츠 활동을 통해 피할 수 없는 당면한 상황들을 긍정적으로 이겨내는 삶의 전환점을 갖는 계기를 마련해주고자 가칭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이라는 스포츠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삶이 즐겁고 행복하도록 하기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우선 문헌을 통하여 행복 증진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청소년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변인을 고려하여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은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행복 스포츠와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프로그램 참여자 40명 중 자발적인 인터뷰 참여자 10명의 청소년을 최종 연구 참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과 삶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학교 교사 3명과 프로그램지도자 2명, 프로그램 총괄 지도자 1명, 참여자 어머니 3명, 총 19명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참여일지, 개인면담, 그룹면담, 참여관찰, 행복일기, 지도자일지, 사진, 비디오, 보고서, 차량운행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범주화를 위해서 개방 코딩된 자료들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법(triangulation)과 구성원 간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식 과정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심적 부담감’, ‘스포츠 경험을 통한 몰입-극복-성취감 획득’, ‘스포츠 체험이 행복-자신감-결심 단계로 발전’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심적 부담감’은 신체활동의 두려움(물이 무서워 바닷가에 한 번도 간적이 없어요), 다양한 스트레스(모두 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이에요), 관계성의 어려움(엄마랑 말을 잘 안 해요)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경험을 통한 몰입-극복-성취감 획득’의 세부적인 내용은 몰입(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두려움 극복(핼퍼 뺄 때 상쾌하고 물에 뜨는 게 신기했어요), 성취감, 유능감 체험 후 도전(다른 스포츠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으로 나타났으며‘스포츠 체험이 행복-자신감-결심 단계로 발전’은 행복감(너무 좋아서 소리를 지를 뻔 했어요), 자신감과 용기(다른 일도 거뜬히 해낼 수 있는 힘이 생긴 것 같아요), 결심(운동은 죽을 때까지 할 것 같아요) 등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이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행복 스포츠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관계 변화, 신체적 능력 변화, 인지적 관점 변화, 정서적 변화 등 네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를 도출해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관계의 변화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배려심 함양, 공동체 의식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또래친구끼리의 말수가 많아지고 속마음을 드러내는 이야기(그만 좀 때렸으면 좋겠다고 얘기 했어요)를 시작하였고, 상호 소통하며 어려운 관계가 개선되어 화해(쉽지 않았는데 수영하면서 마음이 풀리고 화해가 됐어요)하는 분위기로 이어져가고 있었다. ‘배려심 함양’은 서로를 격려(이야 너 진짜 잘한다)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행동(엄마를 화나지 않게 하려고 노력해요)으로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공동체 의식의 향상은 두 가지 측면으로 나타났다. ‘가족 공동체성의 변화’와 ‘또래 공동체성의 변화’이다. 가족공동체성의 변화 내용은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돈 많이 벌어 엄마 운동 시킬 거예요), 스포츠로 하나 됨(가족과 친구들이 한마음이 된 것 같아요), 관계회복의 기쁨(엄마가 막 웃으셔서 저도 기뻤어요)의 세 가지로 정리되었고, 또래 공동체성의 변화로는 함께 한 활동과 시간(모두 친해져서 좋아요), 친밀한 추억과 우정(친구들이랑 자서 너무 좋고 캠프파이어 처음 했어요)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체적 능력 변화는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로 구분되었다. 주관적 평가는 대인이 느끼는 체력 증진(체력이 세진 것 같아요), 객관적인 평가는 미비한 체력의 증진과 수영 능력 향상으로 도출되었다. 인지적 관점의 변화는 ‘스포츠가 행복이 됨’(자신감 공장, 즐거움, 건강, 행복, 스트레스 해소, 에너지, 재미, 기쁨, 사랑, 여유, 따뜻함, 자유)와 ‘행복을 준 스포츠 이야기’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변화는 정서적 건강이 향상되다(해내서 희망이 생겨 좋았어요)와 다양하고 즐거운 경험으로 분류되었고 후자는 다양한 프로그램 체험담(엄마들이랑 댄스파티 대박이었어요)과 신나는 프로그램 체험담(차타고 수영 가는 자체가 소풍이에요)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행복 스포츠 참여과정과 그에 따른 삶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이 다른 국가 청소년들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을 통한 행복감 인식과 삶의 긍정적 변화에 관한 연구 결과가 교육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participation process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 in happiness sports and changes in their lives according to it.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 perceive happiness sports program, how their participations in happiness sports program affect them, and how experiencing happiness sports program contributes to their happiness in life, that is,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designed a sports educational program provisionally called ‘happiness sports program' to offer them a chance to make a point to covert a life overcoming unevitably critical situations. This program is a sport program making adolescents' lives joyful and happy. The program was designed after review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about enhancing happiness and considering variables to raise the sense of happiness perceived by adolescent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appiness sports program and adolescents' sports activities were reviewed, and among 40 participants for the program, 10 voluntary interviewe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participants for the study. And then, to get aids to review the perception in and changes on the program in multiple perspectives, including three school teachers, two program coaches, one supervising program coach, and three mothers of the participants, total 19 people were also included for the in-depth interviews. For the methods to collect data for the study, participation diary, individual interviews, group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happiness diary, coach's diary, photograph, video, report, and record about driving vehicle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categorize them,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compare open-coded data repeatedly. Then, through open-coding, categorization, and checking categories, the results were deduced. To secure feasibility of the study, the deduced contents were verified by triangulation of data and cross-checking between the members for credibility. Like this, in this study, focusing the set two research question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nd methods, the analyz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process of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 in happiness sports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of ‘psychological burden from inferior environment', ‘acquiring flow-overcoming-achievement through sports experiences', and ‘development of sports experiences to happiness-self-esteem-determination'. ‘Psychological burden from inferior environment' were seen as fear of physical activities(‘I have feared water and I have never been at sea.'), various stresses(‘Everybody are stressful to me'), an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I barely speak with mum'). Detailed contents of acquiring flow-overcoming-achievement through sports experiences' included flow(‘I did not notice time passed so fast'), overcoming of fear(‘When I removed helper, I felt fresh and it was wonderful that I was floating on water'), and challenging after experiencing achievement and ability(‘I want to do other sports').‘Development of sports experiences to happiness-self-esteem-determination' showed the sense of happiness(‘I am so happy to be about to shout.'), self-esteem and courage(‘I have an ability to do other things as well.'), and decision('I will do exercises until the end of my life.'). As a results, the adolescent participants in the happiness sports program from vulnerable group became to perceive positively physical activity program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econd, through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s participation in happiness sports program, their changes were deduced into four as follows: Changes in social relations, physical ability, and perceptional and affective perspectives, respectively. For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ey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created sense of caring and strengthened their sense. of community. For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they became to talk a lot with their peer group and started to reveal their inner heart(‘I said I did not want to be bitten any more.') and communicated each other and improve their difficult relationship leading to reconciliation(‘It was difficult but when we swam together, we reconciled.'). For ‘creating caring', it started to appear as encouraging each other(‘Yes! You're really wonderful') and caring each other(‘I am trying not to make mum angry'). For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it appeared in two perspectives: ‘Changes in family community' and ‘those in peer community'. For the content of changes in family community, it included the following three: love for family(‘I will make a lot of money and help my mother exercise.'), solidarity through sports(‘my family and friends have one heart.'), and joy of recovery of relationships(‘I am happy that my mother is laughing'). For the content of changes in peer community, it was classified into together-ness activities and time(‘I am happy we all become close.') and intimate memories and friendship(‘It was so good to spend night with friends and campfire was the first time experience.'). Next, for physical changes, it was divided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For subjective one, it was improvement of physical ability(‘I feel my physical ability become strong.'). For objective ones, their weak physical ability was enhanced and swimming capacity was also improved. For changes in perceptional perspective, ‘Sports makes happiness'(higher self-esteem, merry feeling, health, happiness, resolving stress, energy, fun, joy, open-mind, warmth, and freedom) and ‘Sports story that makes happiness'(individual sports story) were analyzed. Finally, for changes in affective perspective, they were classified into enhancement of affective health(‘I could do it and I have hope now. It's good.') and merry and diverse experiences. The latter was divided into various program experience episodes(‘It was great. Dance party with mothers!') and fun program experience episodes(‘Going to swim by car, itself is picnic.'). This study explored about participation process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 in happiness sports and changes in their lives according to it. It is reported that Korean adolescents have very low perception of the sense of happiness, compared to those in other countries, and now the importance of their sense of happiness is increasingly focu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of sense of happiness and positive changes of life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group, verifi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effectively for establishing educative policies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