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선-
dc.contributor.author김아현-
dc.creator김아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2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205-
dc.description.abstract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inquires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social factors(childhood trauma, post-traumatic growth, ego-resilience, empathy, and social support) of hospital nurses and their burnout, and comprehends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affect burnout. Data was collected from 220 nurse subjects who were working i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 B and G between June 22 and August 31, 2015. The research tools included a burnout scale(MBI; Jung, 2008), to measure the burnout of the nurses, a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Song, 2009) to measure post-traumatic growth, a traumatic antecedents questionnaire to measure childhood trauma(TAQ, Goh, 2008), an ego-resilience scale(ER, Yu & Shim, 2002) to measure ego-resilience, a social support scale(MSPSS; Shin & Lee, 1999)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an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Cho & Lee, 2010) to measure empath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means of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earch subjects were 220 in total, with 94.1%(207) being female and 5.9%(13) being mal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3.34±9.01 years old and 61.4%(135) of the subjects were unmarried. Concerning academic attainment, 48.6%(107) of the subjects graduated from university, while the average clinical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8.42±6.97. The position of 79.5%(175) subjects was clinical nurse. 2. The average burnout score of the subjects was 60.56±9.17. For psychosocial factors, childhood trauma was 25.41±14.47, post-traumatic growth was 62.91±18.32. and ego-resilience was 36.95±0.78. Concerning the criteria of empathy, cognitive empathy scored 46.70±5.12, emotional empathy, 45.36±3.84, and social support, 47.83±6.96. 3. The burnout of subjec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social factors of variables including post-traumatic growth(r=-.248, p<.01), ego-resilience (r=-.438, p<.01), cognitive empathy(r=-.325, p<.01), and social support(r=-.244, p<.01), bu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ariable of childhood trauma(r=.197, p<.01). 4. An examination on the effect of subject burnout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ego-resilience(β=-.346, p<.01) as the greate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childhood trauma(β=.157, p<.01), and cognitive empathy(β=-.155, p<.05).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amination is 22.6%. In summary, an increase of the psychosocial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ego-resilience, cognitive empathy, and social support lowered burnout, but the increase of childhood trauma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higher burnout.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ego-resilience, childhood trauma, and cognitive empathy influences the burnout of nurses. A nurse intervention program, capable of improving ego-resilience and cognitive empathy, must be developed to prevent the burnout of hospital nurses, as well as a nurse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s improvement programs that can overcome and respond to the vulnerability of nurses with childhood or past trauma.;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요인(아동기 외상 경험, 외상 후 성장, 자아탄력성, 공감, 사회적 지지)과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6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S시, B시, G도에 소재한 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 간호사의 소진은 소진 척도(MBI; 정혜연, 2008), 외상 후 성장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송승훈, 2009), 아동기 외상 경험은 외상 경험 척도(TAQ, 고나래, 2008), 자아탄력성은 자아탄력성 척도(ER, 유성경, 심혜원, 2002),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 척도(MSPSS; 신준섭, 이영분, 1999), 공감은 대인관계반응지수척도(IRI, 조한익, 이미화, 2010)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총 220명으로 여성이 94.1%(207명), 남성이 5.9%(1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3.34±9.01세이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61.4%(135명),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48.6%(107명)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평균 8.42±6.97년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9.5%(175명)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소진의 평균은 60.56±9.17점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은 25.41±14.47점, 외상 후 성장은 62.91±18.32점, 자아탄력성은 36.95±0.78점, 공감 중 인지적 공감은 46.70±5.12점, 정서적 공감은 46.70±5.12점, 사회적 지지는 47.83±6.96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소진과 각 변수와의 관계는 외상 후 성장(r=-.248, p<.01), 자아탄력성(r=-.438, p<.01), 인지적 공감(r=-.325, p<.01), 사회적 지지(r=-.244, p<.01)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아동기 외상 경험(r=.197, p<.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을 때, 자아탄력성(β=-.346, p<.01)이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으며, 아동기 외상 경험(β=.157, p<.01), 인지적 공감(β=-.155, p<.05) 순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과 정서적 공감, 사회적 지지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22.6%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병원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요인 중 외상 후 성장, 자아탄력성, 인지적 공감, 사회적 지지가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아동기 외상 경험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탄력성, 아동기 외상 경험, 인지적 공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인지적 공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증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1 B. 연구 목적 3 C.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병원간호사의 소진 7 B. 소진의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10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설계 19 B. 연구 대상자 19 C. 연구 도구 20 D. 자료 수집 24 E. 자료 분석 24 F. 윤리적 고려 25 G. 연구의 제한점 25 Ⅳ.연구결과 2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B. 대상자의 소진, 심리·사회적 변수의 수준 28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30 D. 소진과 심리·사회적 변수와의 상관관계 38 E. 소진의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40 Ⅴ. 논의 42 Ⅵ. 결론 및 제언 47 A. 결론 47 B. 제언 49 참고문헌 50 부록 62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1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병원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psychosocial factors of hospital nurses on burnout-
dc.creator.othernameKim, A-Hyeon-
dc.format.pagev, 74 p.-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김경희-
dc.contributor.examiner김석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