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경-
dc.contributor.author노일순-
dc.creator노일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0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William & Mary College의 ICM(Integrated Curriculum Model)에 기반한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영재에게 적용하여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와 관계를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ICM 기반의 영재통합교육과정을 어떻게 설계하고 적용하였는가? 둘째, ICM 기반의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경험한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창의성은 어떻게 발현되는가? 이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개발된 영재교육과정모형을 검토하고, ICM 기반의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수업의 적용은 A 대학 부설 영재원의 초등수학논리과정 20명의 영재들을 대상으로 3주, 12차시의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업은 영재교사이면서 현직 초등학교 교사인 Y교사에 의해 실행되었고, 연구자는 수업에 참여하여 교사의 수업을 보조하고 관찰함으로써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육과정 실행 전후 실시한 TTCT 창의성 검사(언어, 도형), 수업 및 조별활동 녹화자료, 학생 및 교사 인터뷰, 활동지 자료 수집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양적 분석의 경우 TTCT 검사 결과와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평가 결과인 CAT 평가 점수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 분석은 수업 참여 관찰, 학생 및 교사 인터뷰, 활동지 분석 등을 통해 성취가 차이나는 극단사례(Extreme case)와 성취가 뛰어난 조의 단일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인의 창의성이 모둠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William & Mary College의 영재교육과정 모델인 ICM에 기반하여 주제 설정, 세 가지 영역 구성, 관련 교과개념 구성, 대상 활동 계획, 세부 수업 계획, 평가 계획을 통해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A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수학영재에게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국내 영재 수업과는 다르게 3주에 걸쳐 연속적으로 실행된 영재통합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개념을 계속해서 확장하고 깊이 있게 학습하였다. 둘째, 과정 속에 포함된 속진과 심화 내용은 단계적으로 활동을 진행하여, 참여한 영재들의 교과 개념 이해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개인별 활동, 모둠별 활동, 전체 발표 및 교사의 정리로 이어지는 수업방법은 영재 개인의 문제해결 능력 고취, 모둠의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협동, 다른 모둠의 발표를 통한 반성으로 이어지면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TTCT 언어검사와 도형검사, 최종 산출물에 대한 CAT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영재들의 언어검사 결과는 창의력 지수의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의 결과가 향상되었고, t 검정 결과 유의미하였다. 둘째, 도형검사 결과는 창의력 지수의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 결과가 향상되었고, t 검정 결과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양상은 모둠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 2모둠이 고급 개념의 이해와 오토마타 기계 제작, 미래문제 해결 모두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4모둠은 세 가지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영재들의 창의성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창의력 지수와 CAT 평가 결과 간의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성취결과에 차이가 나는 극단 사례(Extreme case)에 대한 다중사례 연구와 성취가 뛰어난 모둠의 단일 사례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창의력 지수와 CAT 평가 결과 간의 상관분석 결과 기계 제작과 언어 검사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두 과제의 CAT 평가 평균값과 언어 검사도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창의력 지수의 평균값과 미래문제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이와 같은 상관분석 결과가 나오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극단사례(Extreme case) 연구를 실시한 결과 모둠의 문제해결 단계에서 고르게 창의성의 요소가 발현되고 문제 해결과 관련되었을 경우 높은 성취를 보였다. 또한 창의성이 있는 영재라 하더라도 대상영역이 분명한 산출물에서는 관련되는 개념과 지식, 기능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창의성을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창의성이 어느 수준 이상인 경우 영재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위해서는 고급 개념의 이해와 협동, 과제집착 또는 몰입이 가장 필요하고, 이것이 모두 갖춰졌을 때 높은 성취가 보장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통합교육과정을 통해 영재들은 자신이 가진 창의성의 강점 요소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점 요소도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가 가장 뛰어난 2모둠은 모둠원이 고르게 창의성 요소를 발현함으로써 결국 우수한 성취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ICM에 기반한 영재통합교육과정은 영재에게 필요한 속진과 심화를 모두 고려한 영재교육과정모형으로써 영재교육에 적용할 경우 영재성과 창의성 모두를 발달시킬 수 있다. 둘째,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 활동을 실제 문제 해결 활동으로 구성하고 개념의 이해, 심화, 적용과 같이 단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영재의 창의성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창의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관련 교과 지식과 기능이 깊이 있게 학습되어야 하고, 모둠의 협동을 바탕으로 한 과제몰입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영재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검사에서 언어 검사는 영재통합교육과정으로 인해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도형 검사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둠활동을 통해 뛰어난 성취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둠원의 창의성이 고르게 문제해결 영역에서 발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영재의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 영재교육을 계획하는 정책 관련자는 다양한 영재교육 형태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과 영재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 둘째, 영재교육과정 개발자는 국내 영재교육원에서 표준으로 삼을 수 있는 국가 영재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영재교육 연구자는 국내 영재통합교육과정의 모델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영재교사는 영재교육 실시 전 개별화 교육 계획 및 수업 보충,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마련 등의 다양한 지원을 계획해야 한다. 다섯째, 영재들이 자신들의 영재성을 기반으로 미래 국가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창의성과 영재성을 실제 사회 문제에 적용하여 연구해 보는 과정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Integrated Curriculum Model) of William & Mary College, it has to apply i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guided this study: First, how did design and apply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Second, how did appear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of gifte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Third, how the creativity found i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reviewed the curriculum model for gifted education. A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20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for 3 weeks, 12 lessons. Classes are run by the gifted teacher who is currently a elementary teacher. The researcher observed a class while assisting the lessons of the teacher. TTCT test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class. Data analysis was used to collect TTCT results, CAT results of final products, video file of lessons and group activities, worksheets of students, interview.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don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TTCT and CAT.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with the extreme case study between best group and worst group and with the single case study of best group. Results for each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has developed and applied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ntinuously classes over three weeks, the students were deeply learned to expand the concept in depth. Second, through acceleration and enrichment proceeds step by step activities, students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advanced concept. Third, individual activities, group activities, the presentation and a teacher’s reflection is to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ata 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ult of TTCT language test had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post-test is improved than the pre-test results. This clas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of language by t-test results. Second, the result of TTCT shapes test had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post-test is improved than the pre-test results. This result was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test. Third,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ppear between groups, group 2 got the best score in a understanding of the advanced concepts, making of automata, future problem solving. The third research questi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results of automata and language crea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t .887, the average of two projects and language creativ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963, future problem solving and the average of TTC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t .966. Second, From the extreme case analysis, the group that creativity element was evenly and related to problem solving showed high achievement. Third, through the gifted integrated curriculum, gifted students are shown to further enhance in the element of creativity with their own strengths. Weak element is also shown to enhance if there is a associated with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it was to dra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was to consider both the acceleration and enrichment for gifted students, if it was applied the gifted education could be developed both gifted and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of gifted students, the flow of lessons is effective by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e enrichment of contents and application of real problem. Third, in order to creativity be creatively express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re is a need to learn deep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subjects and immersion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group. Based on the discussion and results, this study propos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experimental studies to be changed to our circumstances and create new model for our gifted curriculum in Korea. Second, to support a variety of individualized differences in gif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lementary classes, a variety of support, online education programs. Third, in order to gifted students be growing a future key personnel of the country, the research that is applied real social problem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영재교육과 ICM 7 1. 영재의 정의와 특성 7 2. 영재와 협력학습 8 3. 영재교육과 융합교육 10 4. 영재교육과정과 ICM 14 B.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22 1. 창의성 22 2. 창의적 문제해결력 27 Ⅲ. 연구방법 31 A. 연구 설계 31 1. 연구 과정 및 절차 32 2. 예비 연구 34 B. 연구 대상 41 1. 참여 학생 41 2. 영재 교사 42 C. 자료 수집 및 분석 43 1. 자료 수집 43 2. 자료 분석 52 3.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한 노력 54 4.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배려 54 Ⅳ. ICM에 기반한 영재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 57 A. 영재통합교육과정의 개발 58 1. 통합주제의 설정과 세 가지 영역 58 2. 영역별 내용 구성 60 3. 주차별 주요 내용과 수업의 흐름 65 4. 수업활동의 평가 계획 71 B. 영재통합교육과정의 실행 73 1. 기어 비의 계산 및 설계 75 2. 오토마타 기계 제작 81 3. 미래문제 해결 84 Ⅴ.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89 A. 창의성의 변화 89 1. 창의력 지수 89 2. 언어검사와 도형검사의 관계 92 3. 창의력 지수와 하위요인의 관계 93 B. 과제별 창의적 문제해결력 96 1. 기어 비의 계산 및 설계 96 2. 오토마타 기계 제작 101 3. 미래문제 해결 103 C.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창의성 발현 106 1.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상관분석 106 2.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창의성 발현에 대한 다중사례 분석 108 3. 개인의 창의성 발현 과정에 대한 단일사례 분석 123 Ⅵ. 결론 131 A. 요약 및 논의 131 B. 결론 및 제언 139 참고문헌 143 부 록 153 ABSTRACT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197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ICM 기반의 영재통합교육과정을 경험한 영재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ICM-
dc.creator.othernameRoh, Il Soon-
dc.format.pageix, 173 p.-
dc.contributor.examiner임미연-
dc.contributor.examiner염현경-
dc.contributor.examiner이경진-
dc.contributor.examiner채유정-
dc.contributor.examiner김민경-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