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53-
dc.description.abstract장애인의 성은 비장애인의 성과 동일한 가치를 가진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주거와 직업 그리고 교육에 있어서 동일한 자유와 권리를 가지는 것과 같다. 또한 장애인은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자기결정의 기회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 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의 목표는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유럽이나 미국의 성인장애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평생교육 기관, 직업훈련 및 장애인 서비스 기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의 성인장애인 성교육은 장애인 복지관의 지역사회적응 프로그램의 일부로 경도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성교육의 대상에서 소외되어온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성인에게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성교육 관련 문헌과 프로그램들을 검토하여,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을 선별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활동은 성에 대한 인식을 습득하고, 자기결정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과 성교육 관련 전문가 5인으로부터 프로그램의 주제, 내용, 활동 구성 그리고 진행 방식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완성된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16회기로, 인간발달 영역 5회기, 관계 영역 8회기, 그리고 오리엔테이션 1회와 성교육 체험관 2회기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지적장애인 성 인식 검사는 McCabe가 개발한 SEX KEN-ID(Sexuality Knowledge, Experience and Needs Scal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994-4판)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국내의 사회·문화적 여건과 지적장애인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한 것이다. 57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지적장애인 성 인식 검사는 3개의 면담과 8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검사가 이루어졌다. 질문과 함께 그림 자료를 제공하여 응답자의 이해를 도우며, 응답 기준을 제시하여 채점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2개의 장애인 거주시설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모집하였고, 실험집단에게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적장애인 성 인식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차이에 대한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고, 생활지도 교사들과의 면담과 연구자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거주시설의 지적장애성인의 성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생활지도 교사들의 면담과 연구자의 관찰을 통하여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성인에게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본 결과, 자기관리의 향상, 선택하기의 증가, 발표력의 향상, 수업 참여도의 증진, 정서적 안정 및 갈등 감소의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령과 인지수준, 그리고 환경 특성으로 인해 성교육에서 소외되어온 거주시설의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성인을 위한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전반에 자기옹호, 지역사회 활용, 자기관리, 선택하기, 스트레스 해소 활동을 적용하여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단계의 세분화,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당사자 참여, 교사 교육 그리고 사적 공간의 확보 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sexual issues of disabled are equally as important as those of non-disabled. This is similar to the case that all people are equal in terms of freedom and rights in living, occupation and education.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entitled to have self-determining opportunities to enjoy an autonomous life. The purpose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o make them to acquire necessary skills to have a satisfying life as a member of society they belong to. In Korea, however, sex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provided only for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as a part of social adaption program offered by local community centers. This is in contrast with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ere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re provided by vast range of institutions, including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job-training centers, or service institutions for disabled pers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for adults with moderate an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mostly neglected and alienated under the current system, on sexual recognition. To develop the program, common and core elements are extracted after review of literatures and programs on sex educati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program are structured to help improve sexual recognition and self-determination capabilities of intellectually disabled. In order to gauge the adaptability of the revised program, five professionals from special education and sex education field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subject, contents, structure of activities, and the method of progress. After the scrutiny by these expert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programs were modified, and consequently a 16 session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consisting of 5 sessions on human development fields, 8 sessions on relationship fields, 2 sessions on sex education experience center, and 1 session on orientation, was developed. The test of sexual recogni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 determinant variable of this study, is based on SEX KEN-ID(Sexuality Knowledge, Experience and Needs Scal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994-4) by McCabe, and is adjusted accordingly for Korea'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leve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exual recognition test consists of 57 questions, with three interviews and eight subjects. The test was carried out via one-on-one, face-to-face interviews. Questions were provided with picture materials to help understanding of test participants. The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were also provided in order to minimize scoring errors. To valid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wo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n the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noticeable changes from test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a two-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results from sexual recognition tests, was conducted for ex-anti and ex-post analysis.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eachers with guidance counselor ro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from ex-anti and ex-post analysis of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the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designed in this study using self-determining process, is indeed able to enhance sexual recognition of participants from residential facilities for disabled. Second,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with guidance counselor role and my observations, regarding how the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affected the participants, reveal that the program enhances self-management ability, encourages autonomous choices, improves presentation skills, promotes classroom participation, raises emotional stability, and reduces confli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adul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that have been neglected from traditional sex education due to their age, cognitive shortfalls and environme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them to live their life in an autonomous way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improve self-efficacy, community activities, self-management, self choices and stress reduction. A follow-up study should be made on further segmentation of program phases, direct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eacher training, and securement of private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장애인의 성 10 1. 장애인의 성 관련 쟁점 10 2. 장애인의 성과 자기결정 13 3. 장애인의 성과 성교육 16 B. 성교육 관련 선행 연구 및 프로그램 19 1. 국외 선행 연구 및 프로그램 19 2. 국내 선행 연구 및 프로그램 27 Ⅲ. 연구방법 32 A. 연구 참여자 32 B. 실험 장소 34 C. 실험 기간 35 D. 독립변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 35 1.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 36 2.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36 3. 성교육 프로그램 46 E. 종속변인 및 측정도구 57 1. 지적장애인 성 인식 검사 57 F. 실험설계 및 절차 61 1. 실험설계 61 2. 실험절차 61 G. 자료처리 및 분석 70 Ⅳ. 연구결과 71 A.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성 인식에 미친 영향 71 B.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에게 미친 영향 74 Ⅴ. 논의 및 제언 93 A. 논의 93 1. 지적장애성인의 성 인식 93 2. 지적장애성인의 변화 98 B. 연구의 제한점 101 C. 제언 102 참고문헌 105 부록 118 ABSRT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892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거주시설 지적장애성인의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lf-determining process on sexual recogni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Joo Yon-
dc.format.pagevii, 148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강혜경-
dc.contributor.examiner이명희-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