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

Title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
Other Titles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Authors
박선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 부처가 영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해 개발한 부모교육 자료를 시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배경 및 개발 주체, 부모교육 주제, 대상, 형식, 평가, 구성 등의 요소별 특성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배경은 시대에 따라 어떠한가? 2.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요소별 특성(개발 주체, 주제, 대상, 형식, 평가, 자료 구성)은 시대에 따라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1981년부터 2014년까지 중앙정부 부처 및 지방정부 부처에서 개발한 부모교육 자료 102편이다. 정부 부처의 부모교육 자료 개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머리말과 서론 등이 기술되어 있는 71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고 색인어별 빈도와 연결정도, 중앙성값, 중심화지수를 산출하였다. 각 요소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도 미상 자료를 제외한 88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빈도와 백분율, 연평균 개발 빈도를 산출하였다.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의 시대적 분석을 위해 유아교육 정책의 주요 변화를 기준으로 시대를 1981년에서 2000년, 2001년에서 2010년, 2011년-2014년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연결망 분석 및 빈도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부처가 개발한 부모교육 자료는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각 시대별 교육 정책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 정책을 부모교육 자료에 반영하는 경향도 증가하였다. 1981년-2000년에는 부모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의 자녀 양육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자료가 개발되었다. 2001년-2010년에는 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증가하는 가운데 가정과 기관의 일관성있는 교육을 위해 부모교육 자료가 개발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2011년-2014년에는 유아교육 선진화 방안으로 대표되는 국가의 유아교육 정책 변화를 반영한 부모교육 자료가 개발되었다. 또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사회 문제와 관심사 등이 부모교육 자료의 개발 배경이 되었다. 이에 따라 1981년-2000년에는 환경, 2001년-2010년에는 통합교육 및 성폭력, 2011년-2014년에는 인성교육 및 녹색성장 등의 주제가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 시대에 걸쳐 교육부 및 유관 기관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개발하고 있었지만 2001년 이후부터 다양한 정부 부처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의 주제로는 일반적 부모 역할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 발달 영역 관련 주제에서는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주제가 가장 많았다. 부모교육 자료의 대상은 모든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료가 많았으나 2001년부터 특수한 요구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료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었다. 자녀의 연령에 따라서는 유아기에 해당되는 자료가 많았으며 점차 영유아기를 모두 포함하는 자료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부모교육의 형식 중 전달 방식에서는 모든 시대에서 단순 전달 방식의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자료가 가장 많았으며 이에 따라 회기를 명시하지 않은 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2001년 이후 가정 방문 및 집단 교육 방식의 부모교육 자료가 점차 증가하면서 10회 이하의 복수 회기로 실시되는 부모교육 자료도 증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부모교육 자료에 제시된 교수학습방법 역시 가정통신문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으나 점차 강연과 토론과 같은 교수학습방법이 증가하고 있었다. 부모교육에 대한 평가를 계획하고 있는 부모교육 자료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주체에서는 강연자와 부모 모두 포함되는 경우가, 평가 영역에서는 부모교육 활동 및 전반적 운영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았고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폭도 높았다. 부모교육 자료의 구성 자료로는 부모용 자료가 가장 많았으며 포함 횟수의 증가폭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매뉴얼 자료와 강연자/교사용 자료의 포함 횟수도 증가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자료가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타 자료로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이 포함되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폭도 높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를 시대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이후의 정부 개발 부모교육 자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부의 부모교육 자료 개발 경로의 다양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한 자료 개발, 부모교육의 본질과 목적에 따른 일관성 있는 부모교육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This research aims for chronologically analysing the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for young children's parents, in order to look into the background and main body of developmen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elements such as main body of development, theme, target, form, evaluation and format etc., and to suggest remed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background of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2.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elements(main body of development, theme, target, form, evaluation and material format)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102 volumes of parent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by the central or municipal government from 1981 to 2014. In order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the government parent education materials, text network analysis aimed at 71 volumes was conducted and the frequency and degree of indexes, the centrality values, the centralization index was calculated. In order to find out each characteristics per element, frequency analysis aimed at 88 volumes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annual development frequency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ynthesis and analysis of the text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were increasing chronologically, and the tendency of reflecting various national policies including educational policies of the era increased accordantly. From 1981 to 2000, parent education materials aiming to support child-rearing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parent education were developed. From 2001 to 2010, programs developed in order to support the curriculum gradually increased while parent educ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he consistency between home and kindergarten. From 2011 to 2014, parent education materials reflecting the policy changes represented as the Early Childhood Advancement Plan were developed. Besides, social matter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ety were also the backgrounds of development. Hence from 1981 to 2000 the environment, from 2001 to 2010 inclusion and sexual violence, from 2011 to 2014 character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themes that were stressed at that time. Second, across all era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oncerning agencies were the most active developer, but since 2001, other various ministries were also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The most popular theme were those concerning general parent roles, and among those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 area themes about physical development was most popular. The target of the materials used to be general parents, but on and after 2001,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parents with special need is increasing. Previously the materials were mainly for parents who raise infants, but recently the materials tend to include parents who raise not only infants but also toddlers as a target. In delivery method, regardless of era a great portion of materials were passed by in a one-way communication, so most materials did not clearly state the sessions. But on and after 2001, as the growth of parent education materials using methods such as home visiting or group education, the number of materials conducted in ten times or less sessions is increasing as well. In this context,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teaching method used to be written messages, but recently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and discussions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parent education materials that include plans to evaluate the program was very small, only 13 among the 88 volumes. The main body of evaluation included both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evaluation area included the parent education activity and general operation, which increased accordingly to the flow of the times. The format of parent education materials were mostly materials for parents, and the growth rate of included sessions was the highest. But as the inclusion of manuals and materials for lecturer/teacher is increasing as well, it can be noticed that the materials are formed to be conducted in a more systematic way. Other than those, multimedia materials were included a lot and the more recent, the higher was the growth rat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as chronologically analyzed the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that was never conducted before, and it provides basic data for upcoming research of government developed parent education material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diversification of the parent education materials development path, development of material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the need for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and purpose of paren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