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5 Download: 0

중년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한 전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중년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한 전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of Middle-aged Women through Divorce Experience
Authors
박현옥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애전환사건으로서의 이혼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 속에 나타난 전환학습을 탐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년여성이 체험한 이혼경험은 어떠하며 그 현상 내면에 자리한 맥락적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였고, 이혼경험 속에서 중년여성의 전환학습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앞서 분석된 중년여성의 전환학습에 대한 해석과 논의를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여 서술하였다. 이혼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이혼으로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과 사회문제를 강조하고 이혼을 선택하는 성인 개인의 상황적 맥락이나 내재적 의미에 대하여는 소극적으로 접근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을 경험한 중년여성들이 직면했던 상황적 맥락과 이해구조를 중심으로 이혼경험을 살펴보고 그 속에 나타난 가정, 신념체계, 태도 등의 변화가 갖는 심연의 의미를 이들의 목소리와 지각을 통해 밝혀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혼경험에 나타난 전환학습을 발견하기 위하여 이들 각각의 내면세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해야 하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이혼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므로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혼을 경험한 중년여성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자녀가 없는 상태로 이혼하였고, 이혼 후 재혼하지 않았으며, 현재 직업을 가지고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들로서, 이혼사건이 자신의 삶을 강력하게 뒤흔들었다고 회고하는 여성들로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4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 6개월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내용은 A4용지 10포인트로 하여, 총 512장의 분량으로 전사본이 만들어져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이 겪은 이혼경험을 참여자별로 기술하였고, 그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이혼현상에 내재한 맥락적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들이 체험한 이혼경험의 이야기는 ‘자기성찰의 집중훈련 시간’, ‘보지 않고 겪지 않아야 할 사건’, ‘인생 공부의 과정’, ‘정신적 도약을 위한 시간’으로 축약되었다. 또한 그들이 말하는 이혼경험의 맥락적 의미는 ‘통제 불능의 아노미(anomie)’ ‘나를 알아차리게 하는 트리거(trigger)’ ‘타인의 고통을 헤아리게 되는 전환점’ ‘독립적 생활인으로서의 훈련 기회’ ‘긍정의 내러티브를 세분화하는 계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혼경험의 의미는 이혼결정 및 상황의 주도여부를 지각하는 참여자의 기준에 따라 이혼의 심경, 어려움 등에 있어서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혼경험 속에 나타난 중년여성의 전환학습을 단계적, 유형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환학습의 단계적 측면을 살펴본 결과, ‘일정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학습의 양상’ 그리고 ‘비판적 반성 또는 이성적 담론을 건너뛰는 학습의 양상’두 가지로 나타났다. 이혼경험을 통한 전환학습에서는 ‘새로운 역할의 탐구부터 대안의 시도’에 이르는 일련의 단계를 순환하며 집중하는 독특한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성인학습영역에 따른 유형적 측면을 살펴본 결과, 주체적 삶을 위한 도구적 학습, 포용적 삶을 위한 의사소통적 학습, 단독자(單獨者)가 되기 위한 해방적 학습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혼경험에 나타난 중년여성의 전환학습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에 대한 해석과 논의를 위하여 ‘이혼에 대한 시각’ ‘이혼과 생애발달’ ‘이혼을 통한 전환학습’으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전환학습은 혼란스러움을 주는 경험이 무엇인지에 따라, 또는 동일한 경험이라 할지라도 그 세부사건의 내용이 어떠한가에 따라, 또는 상황으로부터 개인이 느끼는 감정의 성격에 따라, 다른 학습의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이 연구의 해석 및 논의를 통한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성인학습 및 상담 차원에서 이혼경험을 통한 전환학습 지원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인문학 교육과 직업교육 영역의 프로그램을 융합적으로 구성해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혼 후 적응과정에서 긍정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전문화된 지원프로그램을 편성하고, 개인의 특성 및 조건에 맞게 운영하기 위한 전문상담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정책적 차원에서, 이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범위를 이혼 후 적응과정으로 확장시켜 이들의 건강한 재도약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혼 후 어려움을 ‘선택에 따르는 책임’이라는 관점에서만 해석하여 ‘그들의 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관계적 상실에 의한 생애전환기 고통 속에서도 삶을 지속시켜야하는 인간주체의 ‘학습권(the right to learn) 보장’의 차원에서 ‘공동체적 시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혼 후 회복과 적응을 지원하고 교육과정을 체계화할 수 있는 전담센터 및 기관을 설치하고, 선(先)경험자들의 이야기를 회원들끼리 개방하고 공유하며, 오프라인 지원프로그램에의 참여로까지 이끌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혼 후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강점을 지닌 사회접점기관(종교기관, 상담기관 등)들과의 연계를 통해 위탁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폭넓게 홍보함으로써, 개방적이고 공동체적인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eply and describe the divorce experience as a life transformation event among middle-aged women and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the divorce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pecific directions are investigated: 1) understand the lived divorc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and explore contextual meanings inside the divorce phenomenon a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2) analyze how transformative learning was revealed inside their divorce experience. In addition, the separate paragraph was arranged to provide comprehensive description as discussion and an interpretation about the results.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past on divorce put an emphasis on negative influences and social troubles of divorce, making a passive approach to the situational contexts and intrinsic meanings of individuals choosing a divorce. This study explored the divorc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that went through a divorce with a focus on the situational contexts and understanding structures they faced and delved into the profound meanings of their changes in the process including their assumptions, belief systems and attitudes revealed through their voices and perceptions. As for methodology,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otal four divorced middle-aged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ll of them got divorced with no children, did not get remarried after divorce and currently led a social life with an occupation. They all recalled that a divorce event powerfully shook up their live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m for six months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scribed the divorc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of each participant and the contextual meanings inherent in the divorce phenomenon. The stories of their divorce experiences were described as ‘time of intensive training for self-reflection’, ‘an event that should not be seen and undergone’, ‘a great lesson to learn in life’, and‘time for a spiritual leap’. And their meanings of their own divorce experience were follows: ‘uncontrollable anomie’, ‘trigger for me to become self-aware’, ‘a transition point to consider the pain of others’, ‘opportunity for training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s’, ‘chance to enrich the positive narrative’. Those meanings of divorce experiences varied depending on the emotions and hardship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criteria that made a divorce decision whether they took the initiative in the situation or not.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transformative learning of middle-aged women through divorce experiences in the phased aspects and categorical aspects. As for the phased aspects of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there were two patterns, which include the circular process of specific steps and the process of skipping critical reflection or rational discourse.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through those divorce experiences had a unique phenomenon of circulating through and concentrating on a series of steps ‘from exploration of options for new roles to provisional trying of new roles’. As for the categorical aspects of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the results were determined such as ‘instrumental learning for a subjective life’, ‘communicative learning to embrace life’, and‘emancipatory learning to become a single individual’. Third, ‘perspective on divorce’, ‘divorce and life-long development’,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the divorce’ were delineated for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and analysis. The implications based on its interpretations and discussions suggest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can take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causing confusion, the contents of detailed of the experience, or the nature of emotions felt by individuals in given situations. Some recommend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rst, there is a need to organize and develop programs between humanities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in an integrated design for transformative learning-supportive programs through a divorce experience at the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level. It is also needed to put in a specialized program that can lead to positive changes in the adaptation process after divorce and operate a specialized counsel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Next at the policy level,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ocial interest in divorce to the adaptation process after divorce and establish an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o help with their healthy re-leaps. There is also a need to perceive the difficulties after divorce from a ‘community perspective’ to guarantee the human subject's ‘right to learn’ to maintain life even during a painful period in transition caused by a relational loss instead of interpreting them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responsibility for choice’ and regarding them only as ‘their affairs’. Such an approach requires the installment of a devoted center and institution to support recovery and adaptation after divorce and systemize th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online system for the members to open and share the stories of those who have the experience and to be inspired to participate in an off-line support program.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open community culture by providing a consignment-education program and promoting it broadly through a linkage to social institutions(religious bodies, counseling agencies, etc.) of contact points with their various strengths to support adaptation after divor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