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현식-
dc.contributor.author윤성경-
dc.creator윤성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7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학생들의 문제행동 증가에 대한 사회적 우려는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성교육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었고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인성교육을 시도하고 있으나 인성교육의 실효성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실시되는 학교 인성교육이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인성교육에 대한 교육철학적 검토를 통해 학교 인성교육의 실효성이 확보되자면 가정과의 연계가 필수적임을 인식하였다. 특히 부모가 인간으로서 내적 성숙이 확립되어야만 자녀 인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모의 인간적 성숙과 자녀 인성발달의 상관성을 본 연구는 부모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다. 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에서 자녀 인성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부모의 역할을 명료화 하고 부모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부모의 삶의 태도가 자녀의 인성함양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가정에서의 부모역할은 재인식되어야 한다. 부모역할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학교 인성교육이 시행된다면 학교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이 왜곡될 소지가 있다. 이는 자녀의 전인적 성장 특히 인성발달을 부모가 거부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녀의 학업 성취에 주력하는 가운데 인성함양을 위한 교육적 환경구성에 소홀하거나 역행하는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는 의미다.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이 강화된다 하더라도 학교에서 배운 것과 다른 태도를 부모가 취한다면 자녀의 인성함양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는 자녀 인성함양을 위해 부모에게 요구되는 자질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특히 실존적 인간관계에 눈뜨는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부모의 인간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는 자녀 인성함양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성인학습자로서 부모에게 요구되는 인간이해 교육은 사회적 존재로서 개인이 겪는 삶의 문제와 연관된다. 인간이해 의식이 일깨워진 부모는 자기 삶의 문제에 대해 성숙한 반응을 하게 되어 자녀의 인성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부모에게 요청되는 인간이해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사회속의 자연인 양성을 주장한 루소의 교육론을 검토하였다. 루소는 인간존재의 본질적 특성을 자연인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개인은 사회의 편견에 휘둘림 없이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의식이 확립되어야 자연성이 보존된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루소의 자연인 개념에 기초하여 현대사회에서 주체적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인식하게 하고 주체성을 확립하는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인간이해의 부모교육은 부모 스스로가 주체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태도형성과 관련된다. 부모가 자기 마음을 돌아보지 못함으로써 빚어진 고통을 자기 삶에서 중요한 문제로 의식하고 내면에서 작동하는 기존 인식을 반성적으로 검토하는 태도를 형성하고자 한다. 타인 의존적 태도로 인해 발생하는 인간소외의 심각성을 깨닫는 것에서부터 부모의 주체적 삶의 태도는 회복된다. 주체성 회복을 위한 부모교육의 가능성을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무지자각 교육에서 찾았다. 소크라테스는 대화를 통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 앎의 모호성을 발견하도록 하여 잘못된 인식이 빚어내는 삶의 문제를 점검하도록 이끈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상대방을 무지자각으로 이끌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함으로써 성숙한 의식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이것은 인간이해 부모교육의 원리를 제공한다. 인간답게 잘 사는 삶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한 소크라테스의 교육론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성인으로서의 부모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 인간으로서 부모 자신이 성숙하지 않는다면 자녀의 인성함양에 기여하기 어려울 것이다.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인성발달을 조력함에 있어 인간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결여된 부모는 자녀와 소통하는 일에 있어서도 곤란을 겪는다. 인간이해가 편협한 부모가 자녀를 교육한다면 자녀는 부모의 미성숙한 태도로 인해 오히려 갈등을 겪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부모교육의 핵심을 무지자각을 통한 주체적 자기성찰의식 계발이라고 보았다. 이 교육은 부모로 하여금 인간 존재 자체를 존중하는 성숙한 의식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인간이해 부모교육은 오늘날 부모가 편협한 욕심으로 자녀의 삶에 개입하는 것은 아닌지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부모의 주체적 자기성찰은 자녀를 하나의 인간으로 존중하는 의식발달을 가져오며 인간관계를 성숙하게 맺는 태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자녀 인성함양을 위한 인간이해의 부모교육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자녀 인성발달은 부모의 삶의 태도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학교 중심 인성교육의 특성과 한계를 논하였다. 학교에서 실행되는 최근 인성교육 방향인 핵심역량 중심의 인성교육 개념과 실천중심 인성교육을 검토하고 이러한 교육의 실효성을 분석하여 인성교육에서 부모 역할의 중요성이 무엇인지 논하였다. 부모는 교육의 본질인 인간됨의 형성 차원에서 자녀 교육에 참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모에게 인간에 대한 성숙한 이해가 요청된다. 인간이해 의식이 발달한 성숙한 부모는 자녀의 행동이면에 있는 인간마음을 존중하며 자녀와 관계를 맺는다. 이와 같은 부모의 태도는 자녀 인성을 함양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인성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자녀 인성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모교육인 인간이해 교육의 가치를 성인교육의 맥락에서 논하였다. 성인교육의 최근 동향을 분석한 결과 삶의 의미 찾기와 인문학적 사고력 함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인간은 무엇이든 주어진 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존재라는 점에서 인간의 의미화 방식은 삶의 질에 깊이 연관된다. 따라서 복잡한 사회맥락에서 형성된 의미화의 경로를 분석하여 부모의 의미화의 틀을 검토하는 것은 부모가 주체적 존재로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한 사고과정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부모 자신에게 형성된 의미화의 틀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여 자기행동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성찰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V장에서는 인간이해 교육의 의미를 명료화하기 위해 루소의 자연인 개념으로 인간이해의 교육철학적 의미를 밝혀보았다. 루소는 부패한 사회에 살면서 사회악에 휘둘리지 않고 인간의 선한 본성을 발현하는 자연주의 교육을 주창하였다. 사회적 맥락에서 주체적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자율성을 회복하여야 함을 강조한 루소의 교육철학은 인간이해 부모교육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본 장에서는 루소의 교육론을 통해 사회적 존재로서 부모가 인간됨을 실현함에 있어 겪는 갈등의 근원을 인식하여 주체적 삶의 태도를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인간이해 교육임을 논의하였다. V장에서는 인간이해의 부모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한 교육원리를 탐색하고자 소크라테스의 교육론을 검토하였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가진 앎의 한계를 인식할 때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탐구 태도로의 전환은 실존자로서 타인과 관계 맺는 가운데 자기성찰적 사고가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 교육론의 근간인 공동탐구를 통한 무지자각을 인간이해를 위한 부모교육의 기본 원리로 채택하고 그 의미를 논하였다. VI장에서는 인간이해의 부모교육 원리를 적용하여 실제 부모교육의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자녀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부모의 왜곡된 신념이 무엇인지 밝히고 부모의 의식전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부모는 자녀 인성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지만 그 문제는 학교가 해결하기를 기대하며 가정에서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주된 관심을 두는 것을 부모의 역할로 여기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부모가 자녀의 학업성취를 조력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모의 비교육적 태도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인간이해의 부모교육 원리를 적용하여 부모에게 형성된 신념의 근거를 반성적으로 검토하도록 유도하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 인성함양을 저해하는 부모 문제의 핵심을 명료화 하고 자신의 태도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부모의 의식 변화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Social concerns on increasing juvenile delinquencies have motivated schools to reinforce character education. This thesis, as a measure to get actual results, discusses the characters of parent education which can promote children’s human character development. Parental role is worth reconsideration on the relevance between parental attitude towards life and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The achievement of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can be impeded, if taken without thorough reflection on parental role at home when parent’s main focus of attention on scholastic achievement can be at odds with the pursuit of children’s holistic development in schools. It is difficult to get what school education aims for if schools and parents have incompatible attitude towards children’s development. This thesis deals with the parental qualities needed to help develop children’s human nature. Parent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can affect children’s development as children begin to seek the existential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them. Education of human understanding, which is required to a parent as an adult-learner is associated with problems of a life, which one should go through, in existing as a social being. For this issue to be reviewed, this thesis examines that parents as adult learns also need to be educated on understanding of humans based on the education theory of Rousseau. According to Rousseau, who insisted that humans are good in nature, nature should be reserved against the social prejudices in order to live with independenc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an in the natural status of Rousseau, this thesis agrees on the difficulty of parent’s being a main agent in his or her life and asser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reserve the human nature. Education of human understanding is about forming an attitude which reflects whether one is living independently or note. Attitude for living independently begins by realizing severe human alienation caused by dependent life on others. To make education of human understanding work properly, the method of Socratic dialogue is reflected that is to form an inquiring attitude through being aware of ignorance. Socratic dialogue leads the other party to find out one’s vague understanding and to inspect whether one’s problems in life may stem from one’s own biased awareness or not. Considered should be parent’s life attitude which constitutes an independent and non-alienated life. Inspecting one’s life attitude starts reflecting relationship one is making with others.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 education, which clarifies that parents themselves should mature to contribute children’s growth in the point of Socratic method which searches what is a good life. Parents lacking in fundamental human understanding has difficulty in communicating their children. If parents with a narrow human understanding educates children, it is likely that parents and children are in the conflict due to the parents’ attitudes. Thus, an existential reflection is required to the parents. Parent’s mature conversion of awareness of respecting the being itself is required in education of human understanding. Based on community inquiry, realizing self-awareness of ignorance b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makes a reflective attitude accompanied by conversion of awareness. Education of self-awareness of ignorance leads parents to reflect whether they are forcing their children to follow parent’s certain point of view. Parent’s existential self-reflection through education of human understanding can help parents accept their children as who they are. This thesis discusses parent education for nature development of children as follows. In a chapter II, this thesis analyzes school-centered character education in the respect of effectiveness of nature development education and concludes that a role of parents at home is considered critical for children’s nature development. It also discusses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realize being a human, examining the concept of nature education and practice-focused nature education. Moral knowledge is reviewed as a way of having practice-focused nature education realized in schools. Taking moral knowledge as knowledge of respecting, what is required to the parents at home is discussed.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child education in terms of being human, a primary goal of education, and for this, mature human understanding is needed to the parents. Parent’s mature human understanding is to respect the children’s underlying mind which is revealed by their behaviors. Such attitude of parents promotes child’s nature development and contributes to maintain a consistency of nature education at home and in schools. In a chapter III, parents need to be educated on human understanding to help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The recent trend of adult education is analyzed, in an attempt to think over what education parents need to take, and two points are stressed; one is the search for meaning of life and the other is the cultivation of humanistic thinking. Humans do not passively accept the meaning of life but constitute that of their own, for which the way of constituting meanings is deep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For this reason, this thesis tries to reflect what could be obstacles in becoming independent by analyzing meaning process formed through the complex social context. In this aspect, the education theory of Rousseau, which points out the difficulties of being independent and the necessity of recovering subjectivity, is expected to expand the human understanding parents have. This thesis tries to search what human education means by analyzing the theory of Rousseau that seeks to make a natural man in a society. He demands that education should nurture the good human nature, withstanding the social evil in a corrupted society, and suggests sensitivity education. The educated man in his idea develops reason through sensitivity education in his childhood and is able to think autonomously. He deepens the human understanding,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human mind to which attention was not fully paid. The education theory of Rousseau enlightens the root of difficulties in being natural and independent in a society and helps recover the independent attitude towards life. In a chapter IV, the education theory of Socrates is adopted to sho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Socratic theory, realizing the limitation of awareness leads to the attitude to search for the truth. Realizing own ignorance does not directly leads to the inquiring attitude itself. Conversion of realizing one’s ignorance into inquiring attitude is attained by self-reflection brought out in the course of build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s an existential being. Self-awareness of ignorance through community inquiry is not just to recognize that one does not know anything but awaken to examine the root of conflicts that were caused by ignorance and its main goal lies in changing life attitude. An unreciprocated instruction or correction is not able to make this kind of a change of view. Education for realizing self-awareness of ignorance can be achieved not by any teachers who have confidence in their answers to living a life but by those who stimulate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becoming a human being together. For this, this thesis examines the principle of the principle of Socratic metho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reflective thought, lateral relationship by listening attentively, emotional factors,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are analyzed as adaptable principles. Self-reflective attitude can be attained when these principles are achieved in paren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humans. In a chapter V, parental conversion of awareness is reviewed by adapting the principle of parent education to parental belief on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It is common that although par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they suppor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stead of developing character, expecting schools to be in charge of this duty. The fault lies not in parents’ supporting children’s academic results but in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which conflicts with school education. The principle of human understanding education is applied to understand this fault and to reflect the issue. When parents examine how they made their belief, they can clarify the cause of problem and finally get to the point of changing their awareness and reflecting themselves. Through this course of realization that we are not inferior just because we are ignorant, and that all human have a limitation of understand what human is and how one becomes, parents can accept the independent inquiring attitude. This parental attitude benefits the students acting as a good sample of a character development of children. Acquiring an inquiring attitude of becoming a human being enables self-reflection and the growth of parent awareness, as a result, promotes children’s growth of awareness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C. 연구대상 8 Ⅱ. 기존 인성교육의 특성과 한계 11 A.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13 1. 핵심역량 중심 인성교육 13 2. 실천 지향적 인성교육 24 B. 가정에서의 인성교육 35 1. 도덕적 앎과 삶의 불일치 문제 35 2. 부모의 편협한 교육적 관심 38 3. 자녀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역할 45 Ⅲ. 성인교육에서 본 인간이해 부모교육의 가치 47 A. 성인교육의 최근 동향과 부모교육 47 1. 인적자원개발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51 2. 평생교육과 인문학적 사고 54 B. 인간이해 부모교육의 필요성 57 Ⅳ. 루소의 자연인 개념과 인간이해의 의미 63 A. 교육목적으로서 자연인의미 69 B. 무한경쟁 사회에서의 인간인해 77 1. 문명사회와 인간이해 77 2. 현대사회와 인간이해 83 C. 부모교육에서 인간이해의 의미 87 Ⅴ. 소크라테스 교육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원리 92 A. 교육내용으로서 무지자각 93 1. 자기성찰을 통한 무지자각 95 2. 부모교육 내용으로서 무지자각 102 B. 교육방법으로서 공동탐구 105 1. 공동탐구의 대화 방법 105 2. 공동탐구를 통한 부모교육 107 C. 인간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원리 111 Ⅵ. 인간이해 부모교육 원리의 실제 적용 127 A.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편협한 관심과 인성교육 문제 127 B. 소크라테스 교육원리를 적용한 부모교육 방안 132 Ⅶ. 결론 143 참고문헌 147 ABSTRACT 1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6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자녀 인성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방안-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소크라테스 교육론에 기초한 인간이해 교육-
dc.format.pageviii, 164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055-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contributor.examiner곽삼근-
dc.contributor.examiner홍은숙-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