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미연-
dc.contributor.author최원진-
dc.creator최원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창덕궁의 한옥을 통하여 친환경 건축을 이해할 수 있는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건축의 개념을 3가지의 특성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한옥에 나타난 건축 환경적 특성을 여러 자연 환경 요소로 분류하여 조사 및 정리하였다. 이후 한옥에 나타난 건축 환경적 요소들을 친환경 건축의 특성 3가지와 각각 연결시켜 한옥에 나타난 친환경적 특성이 무엇인 지 정리하고, 창덕궁에서 나타난 실제 사례를 추출하여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문제 제시, 활동 수행, 건축으로의 연결 및 의미생성, 학습 정리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학습 미션을 제작하여 총 8개의 미션으로 이루어진 창덕궁에서의 현장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제는 미션의 개요 형식으로 제공하고, 학생이 수행하는 활동은 다양한 감각적 체험과 측정, 자료 수집 및 해석 등의 과학적 탐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활동 수행을 통하여 학습한 것이 건축적, 환경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 지 의미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그에 따른 모둠별 토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및 답변 제출이 모두 끝난 후 학습 정리 단계에서는 교사가 이미지나 글을 통하여 학습 내용과 의미를 정리하여 학생에게 제공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활동지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하였고, 2~4명으로 구성된 모둠별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학생의 활동 및 답변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참여하는 모둠별 모바일 메신저 채팅 창을 통해 제출하도록 하였다. 현장 활동 후에는 교사와 함께 간단히 학습 내용을 정리하여 마무리 하였다. 학습자의 친환경 건축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 학생들이 활동을 하며 제출한 모바일 메신저 답변 자료들과 작성한 활동지, 학생들의 활동이 녹화된 동영상 전사본을 수집하고, 이를 친환경 건축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 건축이 주거환경으로서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고려했다는 것은 마루의 여러 역할을 토의하고, 실내를 시원하게 하였던 처마 조절과 바람을 불러일으켰던 구조들 탐색하며 한옥이 집 안을 쾌적하고 시원하게 유지했다는 건축임을 학습하는 것을 통해 이해하였다. 두 번째로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했던 친환경 건축의 특성은 마루에 앉아 자연을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음을 상상해보고, 마루에 담긴 조상들의 자연관을 모둠별로 토의하는 활동을 통해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건축이 자연환경의 에너지를 이용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집 안으로 들어오는 태양빛을 조절한 처마와 실내를 시원하게 했던 바람에 대하여 탐색한 뒤, 아파트와 한옥에서 실내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을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이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덕궁에서 한옥을 통하여 친환경 건축을 교육하는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가 전통의 과학적 지혜를 학습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고, 친환경 건축에 대한 이해를 습득할 수 있음을 보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develop field study program for students to understand eco-friendly architecture through Korean-style house of Changdeokgung Pala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categorizes and explains eco-friendly architecture according to its three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study researche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shown in Korean-style house. This study connected thre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and eco-friendly elements of Korean-style house and explained it and developed study contents by suggesting examples that could be seen in Changdeokgung Palace. This study developed study program in four stages, suggesting mission based on developed contents, performing learning activities, connecting it to architecture and creating meanings, and reviewing the learning contents. Activities that students perform in the program consists of various sensory experience and measure, collecting and analyzing materials and e.g., so that students can us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was led to suggest questions for creating architectural meaning of what they found through performing activities and discuss about it in groups. After learning activities by students and submitting answers, in review stage, teacher offered explana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 and meaning of it by using images or article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in groups of 2-4 people and activity sheets were provided. All activity reviews and answers were submitted through mobile messenger group chat that students and teacher participate in together. After the field activity, teacher finished the program reviewing learning contents briefly together with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student's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architecture, this study analyzed how they understood by collecting answers submitted through mobile messenger during activities and activity sheet, and transcript of video taped activities and using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as standard. Based on analyz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learned Korean-style house, eco-friendly architecture, made the inside of the house pleasant and cool through wooden floor, eaves that adjust sunlight, and structure that made breeze blowing in. Secondly,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 of eco-friendly house which aims to make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through imagining that they can feel the nature sensuously sitting on the wooden floor and learning traditional view of nature in wooden floor. Lastly, they learned that eco-friendly architecture uses natural energies by comparing ways of controlling indoor temperatures in an apartment and a Korean-style house.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learners acquire the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architecture through th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2 Ⅱ. 이론적 배경 3 A. 친환경 건축과 한옥 3 B. 전통 건축을 통한 환경교육 10 C. 탐구적 현장 체험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11 Ⅲ. 연구 방법 13 A. 연구 과정 13 B. 프로그램 적용 14 C. 자료 수집 및 분석 16 Ⅳ. 연구 결과 17 A. 학습콘텐츠 개발 17 B. 프로그램 개발 29 C. 프로그램 적용 결과 45 Ⅴ. 결론 52 참고문헌 54 부록1. 창덕궁에서의 한옥을 통한 친환경 건축 교육 프로그램 활동지 57 부록2. 학습 자료 69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56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창덕궁을 통한 친환경 건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Green-building education through Changdeokgung Palace.-
dc.format.pageiv, 79 p.-
dc.contributor.examiner여성희-
dc.contributor.examiner정종우-
dc.contributor.examiner임미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