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인종-
dc.contributor.author한소현-
dc.creator한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9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92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xts of an absurd society faced by individuals and their attributes in a structural manner, thus examining the conditions of human being making up contemporary times. Since individuals could not exist by themselves, the study began its discussions by figuring out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ntire life of an individual. Existential human beings are confronted with all sorts of difficulties under life conditions that cannot be foreseen, and they end up remaining as problems that are not easily solved or neglected. People make efforts based on their own value criteria in the midst of life uncertainty in which nothing can be asserted with no known beginning and end, but they eventually reach a conclusion that the world itself is far from reason. Being aware of this absurd society is to highlight that our daily lives have unexposed relations with the society and are, as a matter of fact, based on certain social systems and conditions that influence daily life. Why are we anxious? Where do the problems surrounding us come from? What does it mean to live in contemporary times? Asking such self-mocking questions, the investigator could not help paying attention to the situations behind the reality and emphasized that individuals should look at their issues from a more fundamental and total perspective, living in an absurd society. The investigator thus set out to analyze the creation processes of discourses, systems, and contexts penetrating life from a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perspective to see how the understanding of society to which the acts of individual subjects were oriented had been formed as a world view. As it has been known, the present study made an attempt at analyzing the world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discourse. The study sought after contemplation within a framework of discourse because discourse itself had an inherent meaning of looking at things in a contextual fashion. Reality is the totality of discourses, and human beings live in reality via such discourses. Discourses widely vary in forms and uses from private discourses to public discussions and require analysis in a complex and structural dimension. One, for instance, needs to recognize consciously that daily discourses, which are considered as a personal dimension, have their discussion and agreement with the social power structure necessarily implied at the base. Discourses are stories of infinite possibilities and encompass numerous contact points with daily life and society, thus being able to serve as a powerful medium of interpretations to look at the world. Absurd reality today traces its roots back to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takes the combined form of discourse and ideology, being achieved and maintained as a social structure. The body of the study thus explained that the ideological discourse was attached to the principle of sameness and created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apitalist ruling class and analyz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it being projected onto our lives and naturally internalized by individual subjec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ositions of Situationist International, which mentioned human alienation, which was caused by the expansion of ruling ideological discourse into all areas of modern life in a commodity economy and by the severance from original life, and raised an issue that it was because society was dazzled by spectacular images. Situationist International maintained that there should be the possibilities of resolving a spectacle in the "daily life" where we live here and now. Daily life is a space where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e order of capitalism is melted, which means that the human subjects should not be buried under daily facts comprised of ideological signifiers but instead bring them into the realm of consciousness, thus seeing, feeling, and thinking about daily life. As the subjects to enjoy a discourse, they should overturn dailiness with the creativity of art. They need to be alert about the reality that has become a discourse due to the spectacular society or ruling ideological discourse, restore their subjects, and overcome human alienation and absurdities. The attempts to cast doubt on the social contexts not to accept insensitively the old world views scattered around intuitively and to arouse the meanings of contemporary life by showing the values behind what is alienated, what is disappearing, and the invisible world are applied intact as the attitudes and methods of the investigator for her works, which were to look at and explore many different layers of life at the boundary points between absurd daily life and society and presenting topics of thinking and reflection. They were accompanied by the psychology of expectation that an attempt to reach the essence of life as close as possible, however incomplete it wa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at an anxious individual worries about, has doubts about, and denies the conditions of a given reality would be a meaningful chance in itself or offer some clues to make an insight into a slightly more transparent world. Attempts to stare at the reality of "here and now" and think over and record the seemingly self-evident daily experiences as contemporary portraits are on the extension of an attitude to maintain the life perspective of contemplating how to live a life with intensity.;본 연구는 개인이 직면하는 부조리한 사회의 맥락과 그 속성들을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동시대를 구성하는 인간의 조건에 대해 고찰한다. 개인은 오롯이 외따로 존재할 수 없음에 개인이 사회와 어떻게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한 개인이 삶 전체를 파악하기란 어렵다. 예감할 수 없는 삶의 조건들 앞에서 실존적 인간은 갖가지 어려움들에 부딪히지만, 이는 쉽게 해결되지도 않고 외면할 수도 없는 문제들로 잔존한다.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그 무엇도 단언할 수 없는 삶의 불확실성 속에서 나름의 가치기준에 따라 노력해보지만, 세계가 그 자체로 합리적이지 않다는 결론에 다다를 뿐이다. 부조리한 현실을 인식한다는 것은 우리의 일상이 사회와 드러나지 않은 관계를 맺고 있음을, 실은 일상이 이미 어떠한 사회적 체계와 조건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역설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왜 불안한가? 우리를 둘러싼 문제들은 어디에서 왔는가? 동시대를 살아간다는 것은 과연 무슨 의미인가?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자조적인 물음들 속에서 현실 이면의 상황들에 대해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고, 한 개인이 부조리한 사회를 살아가면서 보다 더 근본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기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인 주체의 행위가 향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세계관으로 형성되어 왔는지 알기 위해, 삶을 관통하는 담론과 체계, 그리고 맥락의 생성과정을 보다 더 구조적인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본 연구는 담론이라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세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담론이라는 분석틀로 바라보기를 추구하는 것은 담론이 그 자체로 맥락적으로 바라본다는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현실은 담론들의 총체이며 인간은 그 담론들을 매개로 하여 현실을 살아간다. 담론은 사적인 담화에서부터 공적인 논의까지 그 형태와 쓰임이 다양하여,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의 분석을 요한다. 이를테면 개인의 차원으로 여겨지는 일상의 담론들 기저에 사회 권력 구조와의 담합이 필연적으로 함축됨을 의식적으로 인지해야 하는 것이다. 담론은 가능성이 무한한 이야기로써 일상과 사회의 무수한 접점들을 포괄하기에 세상을 바라보는 강력한 해석의 매개로 작용할 수 있다. 오늘날의 부조리한 현실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로 거슬러 올라가 담론과 이데올로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형태로, 사회 구조로써 성립되고 유지되어 왔다. 이에 본론에서는 이데올로기 담론이 자본주의 지배계급의 이해에 따라 동일성의 원리와 유착하여 생성되어왔음을 설명하고, 어떤 형태로 우리 삶에 투사되어 왔는지 개인 주체에게 어떻게 자연스럽게 내면화되었는지 전개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상품경제 하에서 지배 이데올로기적 담론이 현대의 모든 생활 영역으로 확장된 결과로 인해 본래적 삶으로부터 단절되어 겪게 되는 인간소외에 대해 서술하고, 그 원인으로 사회가 스펙터클한 이미지에 현혹되었기 때문이라고 문제를 제기한 상황주의 인터내셔널(Situationist International)의 입장을 살핀다.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은 바로 지금 여기(now and here),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 스펙타클을 타개하기 위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일상은 자본주의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질서가 녹아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인간 주체는 이데올로기의 기표로 구성된 일상적 사실들에 함몰되지 아니하고, 인식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일상을 보고, 느끼고, 생각해야 한다. 담론을 향유하는 주체로서 예술의 창조성으로 일상성을 전복시켜야 한다. 스펙타클한 사회, 즉 지배 이데올로기적 담론에 의해 담론화된 현실을 경계하여 주체를 회복하고 인간 소외와 부조리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다. 선험적으로 만연해 있는 기존의 세계관을 무감하게 수용하지 않으려 사회적인 맥락을 의심하고, 소외된 것들, 사라져 가는 것들, 보이지 않는 세계의 이면의 가치를 현시하여 동시대의 삶의 의미를 환기해보려는 시도는 본 연구자가 작업에 임하는 태도와 방식으로 고스란히 적용된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부조리한 일상과 사회가 맞닿는 경계의 지점에서 삶의 여러 층위들을 응시하고 탐색하여 사유와 성찰의 화두를 제시하고자 한다. 불안한 한 개인이 주어진 현실의 조건에 대해 고민하고 의심하고 부정해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삶의 본질에 대해 불완전하지만 가깝게나마 도달하려는 시도를 할 때, 그 자체로서 의미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혹은 세상을 향한 통찰이 조금 더 투명해지는 단초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심리가 동반되는 것이다. ‘지금 여기’의 현실을 응시하고, 자명하게 여겨지는 일상적 경험을 동시대적 초상으로서 숙고하고 기록하려는 시도는 어떻게 삶을 살 것인가 치열하게 고민하고자 하는 삶의 관점을 견지하려는 태도의 연장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동시대의 담론 연구 6 A. 담론의 맥락적 전개 6 B. 담론과 이데올로기 8 C. 담론과 소외된 주체 12 D. 담론과 창조적 일상 16 Ⅲ. 지금, 여기, 담론의 기록 (작품 분석) 19 A.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19 1.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프로젝트 19 2.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LA, USA) 32 3. MHzscape - 耳鳴 39 B. Blind Spot 48 1. 북아현동 프로젝트 - 서대문구 북아현동 208-10 50 2. 강남 프로젝트 60 Ⅵ. 결론 72 참고문헌 75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896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부조리한 사회 속 개인의 맥락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상 속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xts of Individuals in an Absurd Society : With a focus on the analysis of discourses in daily life-
dc.creator.othernameHan, So Hyun-
dc.format.pagevii, 82 p.-
dc.contributor.examiner박일순-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종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