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김은나-
dc.creator김은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84-
dc.description.abstract말더듬은 겉으로 드러나는 외현적 문제와 함께 내면의 심리상태와 관련된 내재적 특징을 이해해야만 정확히 파악했다고 할 수 있다. 말더듬과 내현적 특징 중 불안에 대하여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말더듬과 불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심장박동수, 피부전도율과 혈류속도를 비교한 연구에서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 간 심리적 불안의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에, 말더듬 집단 안에서 자기보고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불안과 말더듬의 관계를 알아보는 관점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말더듬 발생에 불안이 끼치는 영향과 역할을 알기 위한 선행연구도 있었다. 여러 연구를 통해 불안이 말더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하지만 불안이 말더듬인에게 끼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 간의 심리적 불안의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국내에서도 김주연(2008)의 경우 자기보고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말더듬 중증도와 사회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자기기술이 아닌 도구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불안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정서장애와 관련한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의 특성을 연구하는 심리학계에서 실험과제로 정서 스트룹 과제(emotional stroop task)를 많이 사용한다. 정서 스트룹 과제는 기존의 스트룹 과제를 변형한 것으로, 과제에 사용된 자극은 정서 관련 단어이다. 불안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과제 수행 결과는 일반적인 중성단어나 긍정적 단어보다 부정적 단어에서 평균적으로 느린 반응시간이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 집단과 일반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말더듬과 불안과의 관계와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정서 스트룹 과제를 사용하였다. 과제는 Neville(2014)의 연구에서 구어로 응답하는 구어 정서 스트룹 과제(verbal emotional stroop task)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말더듬 성인 15명과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성인 15명이다. 모든 대상자에게 상태-특성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점수를 측정하였고,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 Ⅱ(심현섭 · 신문자 · 이은주, 2010)로 말더듬 정도를 파악하였다. 그 후 집단 간 정서 스트룹 과제의 수행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집단 간 시간압박(유/무)조건 및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에 따른정반응율과 반응시간을 비교하였다. 또한, 말더듬 성인집단의 상태-특성 불안점수와 부정단어의 반응시간 및 정반응율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두 집단 간 부정단어에 대한 인지처리과정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서 스트룹 과제의 어떤조건에서 간섭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간압박 유/무 조건을 통제하여 이에 대한 수행정도를 분석하였다.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 간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척도의 점수에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단어조건 및 시간압박에 따른 정반응율과 반응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말더듬 성인의 상태-특성불안점수와 부정단어의 정반응율 및 반응시간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 간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말더듬 성인집단이 일반 성인집단에 비해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특성불안점수가 상태불안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불안점수와 집단간 이차상호작용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에서 정서 스트룹 과제의 시간압박(유/무)조건 및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에 따른 정반응율을 분석한 결과,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 간 정반응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간압박(유/무)조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시간압박이 있는 조건에서 시간압박이 없는 조건에 비해 정반응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에 대한 정반응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시간압박(유/무)조건과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 집단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반면 시간압박(유/무)조건과 집단에 대한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시간압박이 없는 경우가 시간압박이 있는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정반응율을 보였지만, 그 차이가 말더듬 성인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에서 정서 스트룹 과제의 시간압박(유/무)조건 및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에 따른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말더듬 성인집단의 반응시간이 일반 성인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느렸다. 또한, 시간압박(유/무)조건에 대한 반응시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두 집단 모두 시간압박이 있는 조건에서 시간압박이 없는 조건에 비해 반응시간이 빨랐다.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에 대한 반응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간압박(유/무)조건과 집단 간,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시간압박(유/무)조건과 단어조건(부정, 중립, 긍정),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넷째, 말더듬 성인집단의 상태-특성불안점수와 부정단어의 정반응율 및 반응시간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성불안점수와 시간압박유무에 따른 부정단어에 대한 정반응율 및 반응시간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태불안점수와 시간압박없는 조건에서의 부정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말더듬 성인이 시간압박 있는 상황에서 부정적 단어를 인지하는 과정에 정서 스트룹의 간섭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이에 말더듬 성인들이 일반 성인보다 시간압박을 위협적으로 인지하고 불안해함을 알 수 있었다. 불안한 사람들은 일반인들과 달리 환경에서 아주 작은 위협 자극에 과잉경계심(hypervigilance)이 촉진된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말더듬 성인들이 특정상황(시간압박)에서 일반인들에 비해 과잉경계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압박의 상황이 말더듬 성인들에게 큰 위협요소임을 확인하고, 위협적인 상황에서 정서에 대한 인지적 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종합하여, 일반인은 시간압박조건과 부정단어조건 같은 위협자극에 대한 통제능력이 뛰어남에 비해, 말더듬인들은 이에 대하여 비효율적인 주의 통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nxiety on stuttering adults and normal adults. For this purpose,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n negative, neutral, positive words through emotional stroop task were compared between stuttering adults and normal adults in the two following situations: with-time pressure and without-time pressure. Also, the correlation of state-trait anxiety score with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n negative words for stuttering adults was discussed.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fifteen stuttering adults and fifteen normal adults with the same age respectively. The anxiety level of A version of the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as evaluated for all participants. To investigate attentional bias, the emotional stroop task was conducted. All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for pre-exercise session, and the tasks were performed under the two conditions of with-time pressure and without-time pressu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AI scores and performance in emotional stroop task between the two groups, Two-way mixed ANOVA and Three-way mixed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STAI scores with accuracy and reaction time on negative words in stuttering adults, Pearson correl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according to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tween shuttering adults and normal adults, the main effect on th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n the anxiety sco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b)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accuracy depending on time pressure of emotional stroop task conditions (with/without) and word-conditions between shuttering adult group and normal adul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of the accuracy between shuttering adults and normal adult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pressure conditions (with/withtout) and secondary reaction on groups. (c) The analysis of reaction time depending on time pressure conditions (with/without) of emotional stroop task and reaction time on word-conditions (negative, neutral, positi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given that the all of the two groups had faster reaction time under the condition with time pressure compared to the condition without time pressu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reaction time depending on time pressure conditions (with/without). (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f STAI scores with accuracy and reaction time on negative words in shuttering adults revealed that the state anxiety and the reaction time on negative words under the condition without time pressu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o conclude, it is found that stuttering adults have higher anxiety in time-pressured situation than normal adults. Stuttering adults seem to have hypervigilance. In other words, stuttering adults recognize specific situations as threatening and respond more sensitively than normal adults do. Thus, when treating stuttering people, their vulnerable condition of responding to threatening situations should be conside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A. 말더듬과 불안 11 B. 불안과 인지적 정보처리과정 13 C. 말더듬과 정서에 따른 주의편향 17 D. 시간압박이 말더듬에 끼치는 영향 18 Ⅲ.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검사과제 22 C. 연구절차 25 D. 자료분석 27 E. 신뢰도 28 Ⅳ. 연구결과 30 A.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의 상태-특성불안 점수 비교 30 B.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의 시간압박조건 및 단어조건에 따른 정반응율 분석 결과 31 C. 말더듬 성인집단과 일반 성인집단의 시간압박조건 및 단어조건에 따른 반응시간 분석 결과 35 D. 말더듬 성인집단의 상태-특성불안점수와 부정단어의 정반응율 및 반응 시간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38 Ⅴ. 결론 및 논의 44 A. 결론 및 논의 44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3 참고문헌 55 부록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23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정서 스트룹 과제를 통한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의 불안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mparison of Anxiety between Stuttering Adults and Normal Adults using the Emotional Stroop Task-
dc.creator.othernameKim, Eun Na-
dc.format.pageviii, 70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428-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