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김유진-
dc.creator김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3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347-
dc.description.abstractToday’s society has made rapid advancement in cutting-edge scientific technologies such as IT, bio-engineering, nano-engineering and etc. thanks to industrialization. Scientific technology advanced by human needs and desire has brought about convenience and abundance for humans but by having them fall into technical tools through gradual objectification of them, humans got to lose the value of their original being, passively thinking, feeling the confusion of their inner values, which leads to the prevalence of mental issues such as insecure and empty feeling. In such a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raise the need for re-awareness of our own being through mental growth so that we can be the doers of our own life and recover humanity and be aware of the problems of contemporaries living in a passive way, having lost their nature and the values of their life amid the era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that, as owner of the current era, governs humans and their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dance work of「Self-Portrait」(2015) choreographed on the basis of the ideal view on humans of 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1900), who presented how to overcome our self through our mental growth. He, saying that humans have fallen into objects of life, losing their existential value in the process of their settlement in the established values and norms, saw humans as a being situated on the middle line to be overcome. He also said that a genuine noble human is one trying to establish one's true self and overcome one's self to acknowledge and create life through the change of one's self-consciousnes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purposed to present a directionality necessary for growth into a genuine human by re-finding the values inherent in humans as active doer of our life by critically seeing non-active humans lacking in self-thinking. The dance work of「Self-Portrait」tried to depict the possibility to grow into mentally mature humans through introspection by quickening their active awareness and resolution necessary for contemporaries by finding out the problems of humans obediently living in subjection to the current technological era and is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chapter; camel, lion, child's with its motifs borrowed from Nietzsche's mentally overcoming stages. Its theme, contents, spatial use, by-scene composition, dancer's moving route and movement, meaning of symbolic objets used are separately analyzed in a try to effectively convey its subject and unfolding process. Chapter 1 of a camel's mind depicts humans passively living in obedience to the society-presented values and norms, having lost the ability to actively think with their humanity having been devastated by the current scientific technologies that rapidly advances. For such depictions, the upper backside of the stage is set as A Zone emphasizing passive and mechanical humans, who are in limited space made with cubic lighting. Dancers express negative feelings such as insecure and empty sense and etc. of contemporaries through repetitive walk and fast-moving eyes using changes of stage patterns in the same area of the stage. Also, using orderly and repetitive melodies and monotype beats and sound effect, mechanical and passive humans are emphasized. Chapter 2 of lion's mind depicts how to be humans willing to be active doers of their life by exploring and reflecting inner values as an expression of their resolution beyond the society-presented values and norms. The lower part of the stage is set as B Zone for inner space lit blue to emphasize the beginning of concentration in a positive mood. The last part of chapter 2 uses LED lighting in straight line to hint a hopeful atmosphere of marching toward mentally overcoming the self. Dancers keep mumbling to express humans' mental resolution and through their legs uplifted or strongly kicking, active resolution to overcome the self is depicted and using the vinyl, an object, symbolizing a tunnel connecting humans to their inner space, their strength to ventilate their attention to overcome the self and for mental growth through movements using features like brushing off and clustering. Chapter 3 of a child's mind depicts the overcoming to be an active being and regain the original values of existence through active free will. Objects placed in A Zone in the upper backside of the stage give meaning to changed space to show positive and creative humans as a result of self-overcoming. Using blue lighting, dancers give a positive and hopeful meaning to the middle of the stage, where they blow balloons, which touch their body in a try to express how humans have regained their identity and lead a positive life. Also, its music sounding like freely floating creates an hopeful mood, emphasizing humans who have overcome their self through introspection and as brightness decreases along with the music, only dancers and objects are lit in a try to convey a hopeful conclusion through the positive aspects of humans, who have overcome their self. Through the dance work of「Self-Portrait」depicting the figure of contemporaries living in unhuman manner in the loss of human existence because they have fallen into tools of today's scientific technologie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warns the danger of un-humanization, helps their self realization as active doers holding mental values dear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overcoming through their ability to acknowledge their inner will, their being and their world in a positive way.;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산업화에 힘입어 정보통신, 생명공학, 나노공학 등과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루었다. 인간의 필요와 욕구에 의해 발전된 과학기술은 인간의 삶에 있어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안겨주었지만 점차 인간을 대상화하여 기술의 수단으로 전락시킴으로써 인간은 본래의 존재 가치를 상실하여 수동적으로 사고하게 되었고 내적 가치의 혼란을 느껴 불안, 공허와 같은 정신적 문제가 만연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현 세계의 주인이 되어 인간과 사회를 지배하는 과학기술의 시대 속에서 자신의 본성과 삶의 가치를 잃어버린 채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인간성을 회복하고 주체적인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한 정신적인 성숙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정신적 성장을 통한 자기 극복을 통해 이상적 인간관에 도달하여 자기실현을 이루어간다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의 사상을 바탕으로 안무된 무용창작작품「자화상」(2015)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니체는 인간이 기존의 가치와 규범에 안주하면서 스스로의 존재 가치를 잃어 삶의 객체로 전락하였다고 말하며, 인간은 중간선 상에 위치해있는 극복되어야 할 존재라고 보았다. 또한 진정으로 고결한 인간은 진정한 자아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으로 자의식의 변화를 통해 삶을 긍정하고 창조하는 인간으로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스로 사고하는 힘이 결여된 비주체적인 인간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삶의 능동적 주인으로 인간 본연의 가치를 되찾아 진정한 인간으로의 성장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무용창작작품「자화상」에서는 현대 기술시대에 종속되어 순종적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주체적 각성과 의지를 일깨워 내면 성찰을 통한 정신적으로 성숙한 인간으로의 극복 가능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니체의 정신 극복 단계‘낙타, 사자, 어린아이’를 모티프로 하여 총 세 장으로 구성하였다.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상징적인 오브제의 사용의미로 나누어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의 주제와 전개과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1장은 낙타의 정신으로, 급속도로 발전한 현대 과학기술로부터 야기된 인간성의 황폐화와 능동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잃어 사회가 제시하는 가치와 규범에 순응하여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무대 상수 뒤 구역을 A구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인간의 모습을 강조하고자 사각모양의 조명을 사용하여 공간을 제한적으로 설정하였다. 무용수는 같은 구역을 직선과 지그재그와 같이 무대 패턴의 변이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걷고, 시선을 빠르게 전환하는 움직임을 통해 현대인의 불안, 공허 등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를 표현하였다. 또한 질서정연하고 반복적인 선율의 음악과 일률적인 박자의 효과음을 사용하여 기계적이고 수동적인 인간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2장은 사자의 정신으로, 사회가 제시하는 가치와 규범으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의 의지 표현으로 내적 가치를 탐구하고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능동적 주인이 되고자 하는 인간의 극복 과정을 표현하였다. 무대 하수 앞 구역을 내면의 공간인 B구역으로 설정하였고 파란색 조명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분위기로 내면 집중의 시작을 강조하였다. 2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직선 모양의 고보조명을 사용하여 정신적인 자기 극복으로 나아가는 희망적인 분위기를 암시하였다. 무용수는 중얼거리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인간의 정신적 의지를 표현하였고, 다리를 위로 뻗어 올리거나 강하게 차는 움직임을 통해 자기 극복을 향한 적극적 의지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과 내면의 연결통로를 상징하는 오브제인 비닐과 함께 무대 하수 앞 B구역에서 무대 상수 뒤 A구역으로 이동하는 사선 경로를 통해 내면 성찰을 통한 긍정적 인간으로의 극복을 암시하였으며, 비닐을 사용하여 털기, 떨기와 같은 특질을 사용한 움직임을 통해 정신적 성숙과 자기 극복을 위해 스스로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힘을 표현하였다. 3장은 어린아이의 정신으로, 적극적인 자유 의지를 통해 본연의 존재 가치를 되찾고 긍정적이고 자주적인 인간으로의 극복을 표현하였다. 무대 상수 뒤 A구역에 오브제를 배치함으로써 자기 극복의 결과로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의 모습을 공간에 의미 변화를 주어 나타내었다. 무용수가 파란색의 조명을 사용하여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의미를 부여한 무대 중앙에서 오브제인 풍선을 불고 풍선으로 신체를 터치하는 움직임은 주체성을 되찾아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해나가는 인간의 극복을 표현하였다. 또한 자유롭게 부유하는 듯한 느낌의 음악은 내면 성찰로 자기 극복을 이룬 인간을 강조하여 희망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으며, 음악과 함께 조명의 조도도 서서히 줄어들면서 무용수와 오브제만을 비추어 적극적인 내적 의지로 자기 극복을 이룬 인간의 긍정적인 모습을 통해 희망적인 결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과학기술의 도구로 전락하여 인간의 존재 가치를 상실한 채 비인간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다룬 무용창작작품「자화상」을 통해 비인간화를 경계하고 정신적 가치를 중요시 여겨 주체적 인간으로의 자기실현을 이루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지며, 인간 스스로의 내적 의지와 자신의 존재와 세계를 긍정하는 힘을 통한 자기 극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현대 과학기술시대의 인간 6 1. 현대사회와 인간 6 2. 트랜스휴머니즘과 인간 8 B. 니체의 인간 이해 12 1. 니체의 인간관 12 2. 인간 정신의 극복 단계 20 C. 니체와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극복 27 Ⅲ. 무용창작작품「자화상」의 안무의도 31 A. 내용적 측면 31 B. 형식적 측면 32 Ⅳ. 무용창작작품「자화상」의 분석 34 A. 작품 주제 및 내용 34 B.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37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45 D. 오브제의 사용과 의미 65 Ⅴ. 결론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72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니체의 자기 극복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자화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Self-Portrait」based on Nietzsche's self-overcoming-
dc.creator.othernameKim, Yoo Jin-
dc.format.pagex, 85 p.-
dc.contributor.examiner신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영희-
dc.contributor.examiner조은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