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하이데거의 근본개념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고독한 가운데」에 관한 연구

Title
하이데거의 근본개념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고독한 가운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In the Midst of Solitude」 based on Fundamental Concept of Martin Heidegger
Authors
김다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역사의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은 자아실현에 대해 의문을 품고 그 답을 찾고자 방황하고 있다. 현대인은 어느 때 보다 개인주의가 만연한 사회 속에 살면서 자기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다. 세계가 경제적으로나 과학적으로 계속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정서적, 심리적으로 고독감을 느끼는 개인이 늘고 있다는 것은 산업화 이후에 인간 소외 현상과 같은 사회적 병폐가 더 해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욱이 사회적 지위와 명예, 권력과 부와 같은 세속적인 성공을 위해 인간 관계나 소유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며 주체성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는 사회의 문제점들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존재론적 관점에서 고독의 긍정적 태도에 대한 필요 가치와 그 중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독을 근본기분으로 다룬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근본개념을 바탕으로 안무된 무용창작작품「고독한 가운데」(2015)에 대한 분석이다. 하이데거가 의미하는 존재론적 삶의 태도는 대중과 세상의 것들에서 벗어난 유일무이한 자기자신을 ‘근본기분(Grundstimmung)’을 통해 찾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고독을 본래적인 자기로서의 존립과 가능성을 부여하는 근원적인 것이자 인간이 실존할 수 있는 가능성의 조건이라고 보았으며, 인간은 그 안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과 자각을 통해 존재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독의 의미를 재발견하여 고독이‘벗어나야 할 단절의 시간’이라는 일반적 관점에서 벗어나‘일깨워져야 하는 기분'임을 드러내고, 이 고독을 통해 회복되고 성장된 자아가 자신의 존재와 더불어 타 존재자들에 대한 이해로 뻗어 나가게 됨으로써 더욱 나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무용창작작품 「고독한 가운데」에서는 근본기분인 고독을 통해 주체적 자아를 찾아가며 자기동일성을 회복해 나아가는 과정을 총 세 개의 장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움직임의 형태로 표현하였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각 장면의 주제 및 내용,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와 조명으로 나뉘어 행해지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은 외롭고 권태로운 생활의 연속적 시간 속에서 존재로부터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표현하고자 오브제인 사각 틀과 그 크기에 맞춰진 조명을 통해 공간상의 범위를 제한하여 단절과 억압의 이미지를 나타내었고, 고독에 대한 무용수의 부정적인 심리태도는 보라색 조명과 창살무늬 고보 조명에 반영하여 표출하였다. 또한 손바닥으로 공간에 그려나가는 길과 같은 시각적 이미지로 세계를 향한 갈망의 심리를 나타내었다. 음악은 사건의 계기가 되어 그 시작과 함께 무용수는 틀에서 벗어나고 움직임의 속도가 빨라지며 이동경로가 복잡해지는 급격한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것은 소유에 대해 집착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상기시키려는 의도이다. 팔 다리를 강하게 뻗는 움직임은 요구의 표현을, 급작스런 동작의 정지와 연이은 손가락의 떨림은 고독이 거듭되는 심리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 이를 통해 움직임의 범위와 표현력을 확대함으로써 소외된 자아의 심리를 극대화하였다. 2장은 자신의 존재에 물음을 던지며 고독을 통해 잃어버린 자아를 발견해 나가는 인간의 갈구를 표현하였다. 무용수가 무대 뒤로 이동함에 따라 공간을 제한하고 오브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드러내었다. 또한 고독의 긍정성을 시청각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음악과 조명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는데, 그 예로 몽환적인 사운드에 종소리와 같은 청각적 자극은 존재를 일깨우는 소리의 역할을 하고, 조명의 연장된 길이와 확대된 크기, 밝게 변화된 색채는 개현 가능성의 의미를 내포한다. 3장은 주체적 인간을 회복하기 위해 선택한 고독이 타자와의 건강한 소통으로 뻗어 나갈 수 있다는 내용을 전한다. 조명을 단계적으로 확장시켜 존재의 주체적 성장을 형상화 하였으며, 절정부에서는 무대 전체를 조명하여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고독과 소통의 조화적 관계와 의미를 담고자 하였다. 회복의 과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움직임의 빠르기를 가속시키고 신체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에너지의 사용을 높여 큰 도약으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후 끝 장면에서 무용수는 다시 고독의 공간 안에 들어가 손을 길게 밖으로 뻗어내는데, 이 상징적 표현으로 실존의 고독을 통해 세상과 열린 장에서 마주서게 된 존재를 묘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작품「고독한 가운데」를 통해서 고요의 울림이자 사유의 근원이 되는 침묵이라는 고독은 존재적 삶의 긍정적 태도를 가능하게 하는 근본기분이며, 인간이 세계에 던져진 존재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상호 연결되어 소통과 열림의 세계를 형성하는데 건강한 관계의 통로가 됨을 전하고자 하였다.;People become skeptical of self-realization and are wandering to seek answers as the time of history passes by. Contemporary people are confronted with confusion over their self-identity and independence in the society where individualism is rampan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experienc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loneliness amid ongoing economic and scientific advancement worldwide, suggesting that the social malady, such as alienation of human beings, has become severer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ial problems have come to the fore everywhere as contemporary people are seeing their independence eroded by their excessive focu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 possession deemed vital for secular success such as social status and prestige, power and wealth, etc. Thus, this researcher intended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auses leading to emergence of such social problems and shed light on the necessity value and importance of positive attitude towards solitude from the standpoint of ontology as a way to overcome such social problems. This study looked into 「In the Midst of Solitude」(2015), a creative dance work choreographed on the basis of underlying concept postulated by Martin Heidegger(1889-1976) who took approach to solitude as fundamental attunement. The ontological life attitude postulated by Martin Heidegger relates to the search of ego which is unique existence transcending the public and world through fundamental attunement(Grundstimmung). Martin Heidegger considered solitude as the source giving rise to existence and possibility of intrinsic ego and as preconditions for possibility of human existence. Also, he considered that humanity could uncover new existence within such boundaries through questions and self-realization associated with their existence.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solitude so as to show that the solitude would be a “mood to be awaken”, shifting away from stereotyped notion that the solitude is a “disconnected time to be escaped”, and furthermore, and suggest that better environment could be provided when the egos, restored and grown through such solitude, are extended to eventually increase understanding of other existences. 「In the Midst of Solitude」, a creative dance work, consists of 3 Chapters which depict the process of searching independent ego through solitude, the fundamental attunement, and subsequent process of restoring self-identification, which are expressed through various patterns of motions and movements. The analysis of this dance work is based on each area such as themes and contents of respective scenes, path of dancers’ movements, objects, and ligh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apter 1 depicted the humanity alienated from existence in the midst of continuing loneliness and boredom. To express such contents, the image of disconnection and suppression was presented by limiting the spatial range through lighting fit for the square frame, an object, and its size. The negative psychological attitude of dancers towards solitude was expressed through reflection on the purple lighting, lattice patterns, and gobo lighting.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craving for the world was expressed through visual images such as the roads drawn in the space using palm of hand. With the music unfolding, dancers are moving beyond the frame and move fast, showing rapid changes with complicated path of movement, which is reminiscent of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people obsessed with possession. The powerful stretching of arms and legs express the demand, while abrupt disruption of movements and trembling of fingers depict psychological state of repeated loneliness. Through that, the range and expressive power of movements were expanded, maximizing the psychology of alienated ego. Chapter 2 includes the expression of human craving in the course of the search for the lost ego through solitude while presenting a question related to existence of ego. As dancers move towards rear side of stage, the space is limited, and furthermore, close relevance with objects is revealed. Moreover, music and lighting were used effectively in conveying the positive aspects of solitude through audiovisual means. For instance, auditory stimuli, such as dreamlike sound and bell sound, serve the role of sound awakening the existence. Meanwhile, the extended length of lighting, enlarged sized, and colors that became brighter imply the possibility of manifestation. Chapter 3 conveys the message that solitude selected for restoration of independent humanity can be extended through healthy and sou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lighting was expanded in a phased way to embody independent growth of existence. In the climactic part, whole area of stage was illuminated to tear down boundaries of space and express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solitude and communication and its meaning. To express the process of restoration, the motions and movements of dancers were accelerated and physical range was extended. By increasing the use of energy, visual effect was intended to be demonstrated with great leap forward. In final scene, dancers enter the space of solitude again and hold out their hands completely, which is a symbolic expression depicting the existence confronting the world in an open space through existential solitude. In conclusion, this researcher intended to convey through 「In the Midst of Solitude」, a creative dance work, that the solitude called “silence” --hich is the resonance of tranquility and source of thinking -- would be the fundamental attunement enabling positive attitude towards existential life and serving as passageway of thinking which induces healthy relationship to be formed with the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