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정호정-
dc.creator정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5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547-
dc.description.abstract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that have continu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North Korea has aggressively introduced new science and technologies to forge a new way for economic development. This also serves as a means to strengthen their Socialist regime and signifies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ir need to preach and educate ideology and foster more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workforce talent. The goal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to strengthen their government which currently mandates the accelerated fostering of scientists and technicians that are necessary to achieving economic prosperity in the modern world. In this way North Korean education has the mission of needing to fulfill two fundamentally different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explore the reasoning behind the initiation of this intelligence education curriculum in 2000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o explore the exact details of this curriculum and in what way this education policy is being implemented by the regime. This is a research study on the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that is being implement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target materials for analysis were the intelligence education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and the 『People`s Education』. The educational policy of North Korea has its roots in the teachings of its supreme leader. The supreme leader points out issues that are currently relevant, and not only presents a resolution direction but also detailed educational policies. These details are announced through public discourse or through speeches after which periodical publications and newspapers repeatedly reproduce this news. Therefore the target literature for this research are intelligence education related articles in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and the 『People`s Education』, which repeatedly reproduce the various education policies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time fram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publications from January of 2003 to October of 2015. Because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can be found from volume 1 of 2003 and the 『People`s Education』 can be found from volume 1 of 2004 the beginning of the time frame was set to January of 2003. Because the most recent issues of the target publications are volume 3 of 2015 of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and volume 5 of 2015 of the 『People`s Education』, the end point of the time frame for analysis was set to October of 2015. In this research, with a focus on the publication materials issued in North Korea, literary analysis was mainly conducted. 51 volumes of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were analyzed from volume 1 of 2003 to volume 3 of 2015, and 71 volumes of the 『People`s Education』 were analyzed from volume 1 of 2004 to volume 5 of 2015. Articles that included the keyword ‘intelligence education’ were select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Theory and Methods of Intelligence Education’, where the keyword ‘intelligence education’ appeared in the main title, even if the keyword did not appear in the secondary title of the article, the article was selected for analysis. Because the North Korean regime emphasizes ‘intelligent teaching’ as a method to implement intelligent education, articles with the key word ‘intelligent teaching’ were also included in the target article pool for analysis. As a results 32 articles from the 『Teacher’s Propaganda Notebook』 and 139 articles from the 『People`s Education』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has the objective of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 of creative and innovative talent in preparation for economic prosperity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ge. According to the line taken by the North Korean regime to focus on science and technolog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this is significant in showing the intent of North Korea to quickly cultivate intelligent manpower with high levels of logical capacity and skills which will serve as the driving force to strengthen their government. Second,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is an education policy that fosters the development of logical capacity that enables exploration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By fundamentally increasing brainpower and enhancing intelligence, this is a new education that can increase creative abilities that can create and apply new knowledge. The core fundamentals of intelligent education are developing observational, memory related, imaginative and logical capacity abilities, which serve as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intelligence. Third,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shows a different implementation from that of other previous education policies of North Korea in that it focuses more on the philosophies of basic sciences and languages and liberal arts relative to the teachings of the political regime. This new educational policy is especially closely tied to the subject areas of basic sciences such as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etc. The emphasis that North Korea has put on its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stemmed from the objective of maintaining its political stronghold and regime, but the detailed educational curriculum confirms that this educational policy is distinctively separated from that of its political ideology teachings. Fourth, the North Korean regime is attempting the realistic implementation of its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at the classroom level through the comprehensi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overhaul in the form of teaching preparation,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and teacher evaluation etc. Intelligent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n education policy that is a teaching method that can serve as the realization of the basis for North Korean education. But at the specific teaching activity level, intelligent teaching methods do not contribute that much more in addition to that of the general teaching methods. Fifth, in the process of nationwide expansion of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North Korea utilized media, children’s animation contents, and periodical education related publications etc. The need for and the direction of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was spread and propagandized through the 「Rodong Sinmun」 and the North Korean regime strategically popularized the detailed contents of intelligent education easily and with impactful through children’s animation contents. Also using periodical education related publications, information was provided so that the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could be implemented in school sites and has been used as a practical training method to re-train teachers.;북한은 장기간 이어지는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현대적인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경제발전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사회주의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상 교양과 더불어 과학기술 인재 육성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의미한다. 북한 당국은 강성대국 건설을 목표로 내세우고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과학자, 기술자를 빠른 속도로 많이 길러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북한교육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북한 당국이 지능교육 정책을 부각시키게 된 배경을 밝히고, 지능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당의 교육정책으로 구현해 나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당국이 제시하는 지능교육 정책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분석 대상 자료는 북한의 교육정기간행물인 『교원선전수첩』과 『인민교육』에 실린 지능교육 관련 기사이다. 북한 교육정책은 기본적으로 최고지도자의 교시에서 시작된다. 최고지도자가 교육 현안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까지도 지시한다. 이런 내용을 담화나 연설문 형태로 발표하고 나면, 각종 신문과 정기간행물을 통해 반복적으로 재생산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당국의 교육정책을 다양한 내용으로 끊임없이 재생산해 내고 있는 교육정기간행물 『교원선전수첩』, 『인민교육』에 실린 지능교육 관련 기사를 분석 대상 자료로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3년 1월부터 2015년 10월 기간으로 한정한다. 분석 대상 자료인 『교원선전수첩』은 2003년 1호, 『인민교육』은 2004년 1호부터 국내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시작점을 『교원선전수첩』2003년 1호가 발행된 2003년 1월로 잡았다. 마찬가지로 분석 대상 자료의 최신본을 『교원선전수첩』은 2015년 3호, 『인민교육』은 2015년 5호까지 입수했기 때문에 종료일은 2015년 10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간행된 일차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교원선전수첩』은 2003년 제1호부터 2015년 제3호까지 총 51권을 대상으로, 『인민교육』은 2004년 제1호부터 2015년 제5호까지 총 71권을 대상으로 목차를 분석하여 기사 제목에 ‘지능교육’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기사를 선별하였다. ‘지능교육 이론과 방법’과 같이 상위 범주 제목에 ‘지능교육’이 등장하는 경우, 하위 기사 제목에 ‘지능교육’이 나오지 않아도 관련 자료로 포함시켰다. 북한 당국에서 지능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지능교수’를 강조하기도 하므로 ‘지능교수’라는 단어가 들어있는 문헌도 분석 대상 자료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교원선전수첩』에서는 32편, 『인민교육』에서는 139편의 기사를 분석 대상 자료로 추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의 지능교육 정책은 정보산업시대에 필요한 창의적인 혁명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한 당의 과학기술 중시 노선 방침에 따라, 강성대국 건설의 원동력이 되는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빠른 속도로 많이 양성하겠다는 의미이다. 이런 점에서 지능교육은 수재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둘째, 북한의 지능교육이란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할 수 있는 사고력을 키워주는 교육이다. 궁극적으로 두뇌의 역량을 키워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을 의미한다. 지능교육의 핵심내용은 지능의 기본요소가 되는 관찰력, 기억력, 상상력, 사고력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셋째, 북한의 지능교육 정책은 정치사상 교양보다 기초과학 분야와 외국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교육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특히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기초과학 분야 과목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북한이 지능교육 정책을 강조하는 것은 체제를 유지하려는 목적에서 시작했지만, 그 안에서 다루는 구체적 교육내용은 정치사상교양에서 확연히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북한 당국은 각급 학교 내에서 교사의 교수준비 · 교수활동 · 교수평가 등 교사의 교수과정 전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지능교육 정책이 구현되도록 시도하고 있다. 지능교육은 북한교육의 근간이 되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을 구현한 교육이라고 강조해 왔다. 그러나 구체적인 교수활동 단계에서 지능교수수법은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섯째, 북한 당국은 지능교육 정책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언론과 아동용 애니메이션, 교육정기간행물 등 매스미디어를 활용하였다. 「로동신문」을 통하여 지능교육 정책의 방향과 필요성을 선전선동하고,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통해 지능교육 내용을 쉬우면서도 감각적으로 전파하여 대중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또한 교육정기간행물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지능교육 정책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교사 재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의 대상과 범위 7 D. 분석 대상 자료와 연구방법 8 Ⅱ. 북한의 지능교육 정책 도입배경 13 A. 과학기술 중시 노선과 인재 양성의 필요성 13 B. 실리주의 교육과 수재 발굴의 중요성 15 C. 북한 당국의 새로운 교육정책 필요성 18 Ⅲ. 북한 지능교육의 내용 22 A. 지능교육의 개념 22 B. 지능교육의 목표 25 C. 지능교육의 과목별 내용 28 1. 기초과학 분야 교육 31 2. 외국어 및 한문 교육 35 3. 사회과학 분야 교육 36 4. 예능 교육 39 5. 체육 교육 40 6. 컴퓨터 교육 40 Ⅳ. 북한의 지능교육 정책 구현방법 41 A. 교사의 교수과정을 통한 지능교육 정책 41 1. 지능교육의 교수준비 단계 41 2. 지능교육의 교수활동 단계 47 3. 지능교육의 교수평가 단계 56 B. 매스미디어를 통한 지능교육 정책 58 1. 로동신문을 통한 선전선동 정책 58 2.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통한 대중화 정책 62 3. 교육정기간행물을 통한 교사 재교육 정책 69 C. 지능교육 정책 구현을 위한 선결과제 73 1. 교사의 자질과 역량 73 2. 학생의 잠재력과 열의 75 3. 교육환경 및 시설 정상화 76 Ⅴ. 결론 79 참고문헌 82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09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2000년대 북한의 지능교육 정책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ost-2000 Intelligent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Jung, Ho-jung-
dc.format.pageviii, 97 p.-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전미영-
dc.contributor.examiner조동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