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노고은-
dc.creator노고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312-
dc.description.abstractThe prupose of this thesis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overt narcissism, internet addictio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95 students(261 men, 134 women) drawn from 4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region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s except the path from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 separately. In addition, the dual-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have trouble in internet addiction caused by covert narcissism.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초고속 인터넷의 발달과 휴대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다양한 기기의 발달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및 중독 위험군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자기에게 지나치게 큰 가치를 부여하고 웅대한 자기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과다사용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은 거대화된 자기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고 쉽게 수치심을 느끼지만 이를 적응적인 방식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인터넷을 통해 이러한 자기애를 표현한다고 한다. 특히 청소년기는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자아개념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이고, 따라서 이때 일관되고 통합된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 등을 인식하게 되면서 타인이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 시기로, 타인이 자신을 보는 관점과 타인의 평가에 민감해지면서 사회불안이 형성되기 쉬운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청소년기에 중요한 두 변인인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라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고, 다음으로 구조 방정식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뒤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 간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변인들 간의 경로는 내현적 자기애에서 인터넷 과다사용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자기개념 명료성을 통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와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을 통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가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을 순차적으로 거쳐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개념 명료성이 떨어지고, 이는 인터넷 과다사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타인의 평가에 지나치게 민감하고, 이에 따라 적응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할 기회를 제한하게 되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은 일관되고 통합된 자기개념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풍부한 정보가 있는 인터넷을 통해 자기의 개념을 찾으려 시도한다. 또한 높은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불안을 높이고, 이는 인터넷 과다사용 증가로 이어지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평가를 미리 걱정하고 그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늘 과민한 모습을 보여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렇게 높은 사회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비교적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쉬운 사이버 공간에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자기개념 명료성이 낮아지고 이는 사회불안의 증가로 이어져 인터넷 과다사용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높은 내현적 자기애를 가진 인터넷 과다사용 청소년들을 위한 개입전략 마련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인터넷 과다사용 6 B. 내현적 자기애 7 1. 자기애 7 2.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 9 3.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 11 C. 자기개념 명료성 13 1. 자기개념 명료성 13 2.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료성, 인터넷 과다사용 15 D. 사회불안 17 1. 사회불안 17 2.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 인터넷 과다사용 18 3. 자기개념 명료성, 사회불안 19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대상 21 B. 측정 도구 23 1. 인터넷 과다사용 척도 23 2. 내현적 자기애 척도 24 3.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 24 4. 사회불안 척도 25 C. 연구 절차 26 D. 자료 분석 26 IV.연구 결과 2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2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27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29 B.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료성, 사회불안,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 31 1. 측정모형의 검정 31 2. 구조모형의 검정 33 3. 구조모형의 분석 34 4.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검정 36 V. 결론 및 제언 37 A. 결과 요약 및 논의 37 1.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37 2.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료성, 사회불안,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 38 3.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4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2 참고문헌 44 부록 56 영문초록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3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Addiction :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dc.creator.othernameNo, Goeun-
dc.format.pagevii, 65 p.-
dc.contributor.examiner노경란-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