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김혜령-
dc.creator김혜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1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5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취약성인 자기비판성 및 의존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뒤,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우울취약성 변인들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우울취약성(자기비판성, 의존성), 자기침묵,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존성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자기침묵은 의존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으며 자기비판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자기비판적 우울취약성이나 의존적 우울취약성이 높은 대학생들은 자기침묵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것이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적인 문제를 유발하는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의존성이 높은 이들이 지니는 자기침묵성향이 대인관계문제를 유발하며, 자기비판성이 높은 이들은 자기침묵성향을 보이지 않아도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통해 자기침묵 행동이 대인관계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 사용하는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부적응적인 문제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의견을 숨기고 감정을 억압하는 것만이 관계의 질을 높이는 것이 아님을 뜻하며,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경험하는 내담자들에게 적절한 의사소통훈련이 필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울취약성향이 높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정서나 의견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게 하여 긍정적인 대인관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model of the mediating mechanism of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61(201 men, 160 women) undergraduates universities in Seoul, Gyung-gi and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sequence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mong the depressive vulnerability(self-criticism, dependency), self-silencing, interpersonal problem demonstrat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 from dependency to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the results of the Sobel Test whi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howed that self-silencing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 and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riticism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conclusion,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self-critical and dependent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re likely to show the self-silencing behavior and which may have an impact on causing maladaptive problem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specially, the self-silencing which is idenfied among those who have high level of dependency lead to the interpersonal problem and those who have high level of self-criticism, although they have no self-silencing behavior, are highly likely to experience the interpersonal problem. From these findings, it is found that self-silencing, in spite that it is adopted as a strategy for the positive effect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evitably may lead to maladaptive problem. It means that hiding one’s opinion and surpressing one’s emotions are not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eople and the proper communication practice is required for those who suffer the probl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high level in depressive vulnerability, the positive expression of one’s opinion and emotion may lead to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우울취약성 5 1. 우울취약성 5 2.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 6 B. 자기침묵 8 1. 자기침묵 8 2. 자기침묵과 대인관계 9 C. 우울취약성과 자기침묵, 대인관계문제 10 Ⅲ. 연구 방법 12 A. 연구 대상 12 B. 측정 도구 13 1. 우울 경험 질문지 13 2. 자기침묵 14 3. 대인관계문제 14 C. 자료분석 16 Ⅳ. 연구 결과 1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와 상관 1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17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18 B. 측정모형 검증 20 C. 대학생의 우울취약성, 자기침묵,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23 1. 연구모형, 경쟁모형 검증 23 2. 매개효과 검증 27 Ⅴ. 결론 및 제언 28 A. 요약 및 논의 28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1 참고문헌 34 부록 39 영문초록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3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자기비판적, 의존적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침묵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and Dependent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dc.creator.othernameKim, Hye Ryeong-
dc.format.pagevi, 52 p.-
dc.contributor.examiner노경란-
dc.contributor.examiner설경옥-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