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0 Download: 0

현장체험학습 사후활동을 위한 디지털 지도 편집도구 설계 및 구현

Title
현장체험학습 사후활동을 위한 디지털 지도 편집도구 설계 및 구현
Other Titl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Map Editing Tool for Follow-up Activity
Authors
온보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양희
Abstract
초·중등 교육의 현장체험학습은 실제 3단계, 즉, 학습 주제를 설정하고 준비하는 사전설계(Pre-visit preparation), 활동을 진행하는 현장학습(Activity), 학습내용을 정리하는 사후활동(Follow-up Activity) 단계를 포함한다. 본 논문은 수개월간 다양한 교과 분야의 교사 및 학습 연구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사항(needs)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경험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확인하는 ‘사후활동’단계의 가치에 특히 주목하였다. 요구분석 및 문헌연구 결과 이 단계는 기억을 강화하는 교육적 효과가 크며(Anderson et al., 2007;Anderson, 1999; Farmer et al., 1995; Falk et al., 1990), 학습자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압축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구성주의적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 입장에서는 학습자가 정리 또는 재구성한 사후활동 결과물을 통해 학습자의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어 단지 사후활동으로 그치지 않고 재차 교실 학습이나 추후 현장체험학습에 반영되는 순환적 파급의 가치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현장체험학습은 대개 종이나 노트 등 일반 필기구를 이용해서 이루어지고 그것으로도 가치가 크지만, 디지털과 웹 기술을 이용할 경우 대부분의 현장 활동에서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로 수집되는 디지털 정보들, 즉, 사진들이나 음성 인터뷰 녹음, 그리고 기록된 장소 정보(GPS, 방위 등)들이 사후활동물 구성에 쉽게 연동되고 기록, 장기적인 저장과 공유 및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활동 보고서를 비롯하여 신문이나 지도 제작, 포스터 제작, 일기 기록, 잡지 편집 유형 등 교육현장의 사후활동 유형들을 조사하였다. 특히 현장성, 이동성에 의한 장소 기반의 경험을 표현하는 ‘지도’의 가치에 주목하였고, 이를 반영한 디지털 지도 편집도구 설계 및 구현을 목표로 한다. 현장체험학습이라는 특성과 교사의 요구분석으로 얻어낸 자기주도력, 협동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의 교육적 기대 역량을 중심으로 사후활동의 사례, 특히 지도 유형의 학습자 제작 사례와 일반 지도의 대조 분석 및 이론 분석을 통해 (1)시공간적 학습맥락의 반영 (2)사용자 개인화(customizing) 제작 (3)협동학습에 유리한 사후활동으로서의 지도 편집도구의 필요 요소 및 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바탕으로 편집도구 프로토타입 ‘MapFollow’를 구축하고 교육적 의의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한 결과 문제해결력을 제외한 자기주도력, 협동력, 창의력 및 추가적 요구사항인 현장맥락 확인과 계속적 재사용 측면에서 긍정적 답변을 얻어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종이 위에서 이루어지는 사후활동과 비교하여 현장 맥락을 반영하는 지도 및 디지털을 이용한 활동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었고, 앞으로 사후활동을 위해 현장맥락 중심의 재구성을 지원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A field trip activity of secondary school generally consists of 3 parts : pre-visit preparation, field activity, and follow-up activity.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follow-up activity that has an educational effect by reinforcing the learner’s memories and experiences (Anderson et al., 2007;Anderson, 1999; Farmer et al., 1995; Falk et al., 1990).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gathering from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in various subjects, the value of ‘post- activity’is to let the learners organize experience themselves and to unleash their creativity and self-directedness in a variety of contexts. However, existing follow-up activities are typically depending on pen and paper work and thus difficult to be reused for future classes. This study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collaborative map making as a way of follow up activity in class after the field trip. Recent popular usage of smartphone among students in Korea enables acquisition of digital photos with time stamps and geographical trajectory during the field-trip. These digital data can be reusable, supporting placement in a map, easily being integrated into computer or web environment, and thus be able to support further sharing and teacher’s another trip planning. In that aspect, we investigated existing digital map making tools such as Google My Map and Mappler. However, their map have standard categories and visually undetailed descriptions. They lack expressing learner’s self-directed records and spatio-temporal context to support field trip follow up activities in class. The study attempts to propose a novel web-based map composition tool that can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map making tool and adding further value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xt within follow-up collaborative class activity. The main concentration of proposed map composition tool are : (1) learner-driven spatio-temporal context reconstruction (2) supporting the learner’s own map customization (3) supporting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se purpose, this paper proposed a web based map editing prototype called ‘MapFollow’ that allows a group of students time-sharing cooperative map making. The prototype is tested and evaluated by actu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most noticeabl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tends to give students positive effect in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on learning capability. Second, the construction of field context and the patterns of reusing students own data collection reveals positive aspects in helping teacher’s analysis of learner styles. Finally, the evaluation showed that ‘MapFllow’ prototype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ducationally motivated prototype for the follow-up activity design embracing each student’s own experience context and it is superior or at least complementing existing pen-and paper based or general map making t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