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Title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Controlling Effect of gratitude of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Authors
김연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경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의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중등학교의 명예퇴직율은 다른 학교 급에 비해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이유 중 53%를‘직무스트레스’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교사로 하여금 심리적 소진을 유발할 수 있다. 유발된 심리적 소진은 교육의 질 전반을 하락시키고, 교사의 중도탈락률을 증가시킨다. 이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판단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현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감사성향과 소명의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자들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척도의 기술 통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와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감사성향, 소명의식의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총점과 심리적 소진의 총점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왔지만,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들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변인들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소명의식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심리적 소진은 감사성향, 소명의식과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사성향, 소명의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설명력은 56%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감사성향이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의 고저와 감사성향수준의 고저에 따라 심리적 소진의 정도가 일어나는 정도가 달라짐이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낮을 때는 감사성향 수준이 높으면 심리적 소진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때는 감사성향 수준이 높으면 심리적 소진이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이를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소명의식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을 때 소명의식이 높은 집단은 심리적 소진이 낮아지는 효과성을 명백하게 발휘한다. 이는 교사의 소명의식 수준이 높으면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하더라도 심리적 소진의 정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의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학의 대두와 함께 주목되고 있는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이이 조절변인으로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중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감사성향과 소명의식이라는 의미 있는 조절변인을 통해 중등교사 심리적 소진 예방을 위한 개인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This study verified the controlling effect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within the inte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The percentag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voluntary resignation was higher than teachers in other categories and 53% answered ‘job stress’ as a main reason of this circumstance. Being constantly exposed to this job stress can cause psychological burn out. Furthermo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 out makes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downgraded and teacher wastage rate increased. Therefore, the prevention of the teachers’ psychological burn out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task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To verity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of 197 second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using scales of job stress, psychological burn out,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As methods for study, I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sample of 197 survey subjects and confirmed technology statistics of each scale. For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among all variables, I analyzed their corelation and I also did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ntrolling effect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examined the relation among job stress, psychological burn out, gratitude disposition, perceiving a calling, it is found that a total score of job stress and that of psychological burn out have no relevance each other, but the lower factor of job str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ower factor of burn out and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ing a calling. Psychological burn ou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confirmed the effects of job stress,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on psychological burn out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multiple factor analysis, it had 56% power of explanation and the main impact of job stress towards psychological burn out was not meaningful but the impact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research regarding whether gratitude disposition controls th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resulted tha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burn out happening varied according to whether the levels of job stress were high or low and whether the levels of gratitude disposition were high or low. When the level of job stress was low, high level of gratitude disposition act as regulating factors making psychological burn out low, while when the level of job stress was high, high level of gratitude disposition resulted that psychological burn out rather high. Forth, the study regarding whether perceiving a calling w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found perceiving a calling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When the level of job stress was high, a group which was on a high level of perceiving a calling significantly activate as a controlling variable of lower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burn out. It indicates although job stress was high, if the teachers’ level of perceiving a calling was high, the degree of psychological burn out would be lowered.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controlling effect of gratitude of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with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considers as a basis for developing a personal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psychological burn out through the meaningful regulating factors of gratitude of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receiving attention on the rise of positive psychology,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of gratitude of disposi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in the regulation factors of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