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김성은-
dc.creator김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7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7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 학원 영어 강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강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강사의 개인적 배경 중에서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영어 학원 강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위 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한 이유는 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는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반면, 강사의 빈번한 이직은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습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등 영어 사교육장에서 강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면서 동시에 이직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위해 A 프랜차이즈의 영어 교육기관에서 초등 영어 교육을 담당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80부의 설문지 중에서 122부가 회수되었고, 유효부수는 총 104부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이고, 독립변수는 개인 배경 변수와 학원 조직 특성 변수이다. 직무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5개의 하위 영역, 즉 업무 만족도, 보수 만족도, 승진 만족도, 동료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로 나누었다. 독립변수의 배경 변인은 개인 배경 변수와 학원 조직 특성 변수로 나누었다. 개인 배경 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최종 학력, 학원 조직으로 나누었으며, 특성 변수로는 근무 학원의 유형, 지도 학생층, 월평균 소득, 학생 수 규모, 입사 과정으로 나누었다.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직무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는 보수 만족도의 경우에만 29세 이하의 강사와 30세 이상의 강사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 강사가 미혼 강사에 비해 업무 만족도와 보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최종 학력에 따른 직무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 영어 강사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원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승진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와 전체 직무 만족도에는 근무 학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재 재직 중인 학원에서 입사 과정에 따라 초등 영어 강사들의 직무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보수 만족도, 승진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와 전체 직무 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지도하는 학생층에 따라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 따라 직무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보수 만족도, 승진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 그리고 전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원의 학생 수 규모에 따라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수 만족도, 승진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 그리고 전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이직 의도를 분석한 결과, 근무하고 있는 학원 유형이 초등 영어 전문 학원인지 아닌지에 따라 이직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적 배경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강사의 결혼 여부가 직무 만족도의 하위 요소 중 업무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쳤고, 근무 경력 기간이 보수 만족도, 승진 만족도, 동료 만족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 및 전체 직무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강사의 직장에서의 근무 경력 기간이 길어질수록 직무 만족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영어 강사의 결혼 여부, 현 직장에서의 근무 경력 기간, 총 경력 기간 그리고 총 근무 기관 수는 모두 강사의 이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직 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수 만족도 및 동료 만족도의 유의성은 약하지만 강사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두 만족도 또한 높아질 필요는 있다. 반면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와 전체 직무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직 의도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로는 이직 의도의 총 변화량의 약 42%가 업무 만족도, 승진 만족도, 보수 만족도, 동료 만족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업무 만족도를 향상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며, 반면에 상사와의 관계 만족도는 유의하지 않아 제외되었다.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로는 업무 만족도, 보수 만족도 그리고 동료 만족도가 낮을수록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여줌으로서 이직 의도를 낮춘다면, 교사의 이직으로 인해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가 낮아지는 부작용 등을 줄일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초등 영어 강사의 성별이 여성에 치우쳐 있다는 점과 A 프랜차이즈 영어 교육기관의 초등 영어 강사만을 상대로 자료 수집을 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is recognized by most people in Korea. Since the late 1990s, English education started to change from reading comprehension based teaching by rote to conversational English based teaching under the motto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English wa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the private English education marke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ew outrageously, and the number of English instructo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loded. The English instructo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teach English as a tool of communication and not to teach it by rote, and since their students tend to be influenced highly not only in learning English but also in the formation of their character and temperament, the role of English instructors seem to be very important. Currently in Korea, private school instructors are not required to meet any institutional qualifications, therefore the teaching position at the private schools are considered as a temporary job rather than a specialized job.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s of 2014, 10.2% of the college graduates choose their first job as private instructors, and this explains high turnover rate among the private instructors. This study analyz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occupational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Since the influence of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upon their students in studying efficacy is high, and their turnover may affect highly on the students in their character and sensibility as well, different variables in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have been analyz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04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8 male and 96 femal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all over the country and analyzed. As a dependant variable, occupational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5 subordinate scope which are the satisfaction levels of work, wage, promotion, co-workers,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and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background paramete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variable of the workplace;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are assorted by sex,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variable of workplace by the type of school, the student group, average monthly income, the size of school, and the process of employment. The first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of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and for this, T-account method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re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sex showed that among the 5 areas of subordinate scope, only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female instructors a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male instructors and the others such as the income, promotion, co-workers, the relationship with boss, general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he analysis o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by marital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upon job satisfaction and wage satisfaction, while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the age and education leve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includ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variable of the workpla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atisfaction level upon promotion, supervision, general occupa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analysis of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occupational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atisfaction level in the wage, promo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and the general occupation.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level did not differ from the level of the students they teach. The analysis of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ize of the students group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income, promotion, s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and the total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nalyze the second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that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the influence on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occupational satisfaction upon the turnover intention,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as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becomes decreases, which means that the solution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level of the instructors, it was obvious that their job satisfaction should be higher.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come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as not explained to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level, the wage satisfaction and the co-workers satisfaction, since the amount of change was between 9% and 12%.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that 42% of the change amount of the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job, promotion, wage, co-workers in a row, therefore they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satisfaction level was not considered because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 Lastly,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rivate factors of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 and their private factors suggested that the job satisfaction level is influenced by the total amount of career, the wage satisfaction, by the number of Korean instructors they work with and the amount of employment perio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workers, by the number of foreign instructors and the total amount of career,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and the general occupational satisfaction level, by the number of the foreign instructors they work with and the amount of career at the current workplace. On the other hand, none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by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instructor suggested any significant influences. As above, this study brought the result that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 influences the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ly. Therefore, from this result, a rational basis of the possibility that the turnover rate could be lowered if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the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would be enhanced. However, though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round the country,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research subject is inclined to female instructors; The total respondents is comparably small in number; Many of the respondents were from the same school. Therefore, a follow-up study could be suggested with a greater number of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as responde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English curriculum of each individual educational institu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초등 영어 강사 5 B. 직무 만족도 10 C. 이직 의도 14 D.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16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 설계 19 B.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2 C. 분석 방법 및 측정 도구 24 Ⅳ. 연구 결과 28 A.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직무 만족도 차이 분석 28 B.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에 따른 이직 의도 차이 분석 43 C.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4 D. 초등 영어 강사의 개인 배경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9 E. 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9 Ⅴ. 결론 57 A. 요약 및 제언 57 B. 연구의 한계점 60 참고 문헌 62 부록. 설문지 66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9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 영어 강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English Instructors Occupational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dc.creator.othernameKim, Sung Eun-
dc.format.pageviii, 76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기-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