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숙향-
dc.contributor.author임지현-
dc.creator임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81-
dc.description.abstract통합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장애학생들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사회적 통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쓰기는 일반교육의 중요한 내용교과 중 하나로서 전반적인 학업수행에 필요한 핵심적 요소이자 능동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자기표현 및 의사소통의 주요 수단이라는 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및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필수적인 학업도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적장애학생들은 쓰기에 대한 흥미가 낮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표현하는데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계획, 작문, 수정과 같은 전반적인 쓰기 과정 전략을 습득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러한 어려움은 통합교육 환경에 있는 장애학생들의 부정적인 자아개념 및 낮은 동기, 소극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들에게 독립적인 쓰기를 지도함으로써 동기유발과 학업수행 향상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학생의 쓰기지도에 효과가 입증된 전략 중에 하나는 과정중심 접근법인 계획하기, 내용생성하기, 내용조직하기, 작성하기, 수정하기, 출판하기의 과정별 전략에 대한 교수로서 인터뷰기사에 적용할 경우 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상황에 부합하여 흥미와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내용생성단계에서는 인터뷰를 통하여 또래와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출판단계에서 SNS를 통한 기사 게시와 댓글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는 쓰기능력의 향상 및 통합학급 학생들과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적 통합에 중요한 요소인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장애학생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급차원의 SNS를 활용하여 과정중심 접근을 인터뷰기사에 적용한 쓰기 교수를 실시함으로써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능력, 자아존중감 및 통합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지적장애 중학생 3명과 그들이 각각 속한 통합학급 학생 88명이다.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수행, 글의 내용 및 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통합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수용태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적장애 중학생 모두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를 적용한 후 쓰기능력과 관련된 쓰기수행률, 글의 내용, 글의 길이의 향상을 나타냈으며 중재종료 후에도 향상된 쓰기능력은 유지되었다. 또한 참여학생 1, 3에게 나타난 글의 내용의 향상은 중재종료 후 일기에 일반화되었으며 참여학생 1은 글의 길이의 향상도 중재종료 후 일기에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적장애 중학생 모두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를 적용한 후 중재 전에 비해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지적장애 중학생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를 적용한 후 중재 전에 비해 장애학생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사전-사후검사 간 차이에 대한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능력, 자아존중감 및 통합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수용태도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필수적인 학업도구인 쓰기능력의 향상과 사회적 통합에 중요한 요소인 자아존중감, 장애학생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태블릿 PC, SNS 등을 장애학생을 위한 쓰기교육에 접목시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학업수행 향상 외에 직업적, 사회적 참여에도 유용한 스마트기기의 활용능력을 증진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학업, 자아존중감, 장애학생수용태도와 관련하여 SNS를 활용한 프로그램 및 실행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할 것이다.;As inclusive education continues to emerg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ed into general public schools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and social inclusion. Writing, which is one of the main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an important tool in overall studies as well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for social inclusion in a society that highly valu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owever, mos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 little interest in writing, are limited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or feelings in writing, or face difficulties in acquiring and using general writing strategies such as planning, drafting, and revising. In particular, such difficulties may affect negative self-conception, low motivation, and passive personal rela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motivation, personal relations and self-esteem by teaching independent writing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s. A process-based approach,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with proven effects on writ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a teaching method including several writing strategies in each process such as planning, content creation, content organization, expression, revision, and publication. Thus, when applied to interview articles, this method is able to improve interest and writing ability in line with the situational demands of schools. In particular, the interviews in the content creation stage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peers, and articles and comments on Social Network Service(SNS) in the publication stage is advantageous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eer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a process-based interview article writing instruction using SNS on writ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attitudes of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ility,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social inclu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belong to a special classroom, and 88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to which they belong. To determine the effects on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content and length of the text, data was collected throughout the processes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using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Self-esteem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etest-posttest scores, an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determine attitudes of 88 peer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based interview article writing instruction using classwide SNS improved writing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the content and length of their article, which indicate the writing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mproved writing abilities rem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Moreover, improvement in the content of the text shown in Students 1 and 3 was generalized in the diary after the intervention, and improvement in the length of the text for Student 1 was also generalized in the diary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improved scores in self-esteem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intervention. Thir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s by participating as interviewees in the interview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ad, and by providing feedback to the articles written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paired t-test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uch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cess-based interview article writing instruction using classwide SNS had positive effects on writ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 with attitudes of their peers in toward disability, who studied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gether in inclusive classrooms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d the positive changes i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is a necessary learning tool in access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lso, the study proved the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peer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social inclusion. Furthermore, it ha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a successfu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helping them use computers, smart devices and SNS for their independent living in a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A. 지적장애학생의 쓰기능력과 과정중심 쓰기 교수 9 1. 지적장애학생의 쓰기 교수의 필요성 9 2. 쓰기능력을 위한 과정중심 쓰기 교수 10 B. 통합 환경에서의 학급SNS 활용 필요성 21 1.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21 2.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학생수용태도 24 C. 장애학생을 위한 학급SNS 활용 26 1. SNS(Social Network Service) 개념 및 특징 26 2. 장애학생을 위한 SNS 28 3. 학급SNS를 활용한 쓰기 교수 30 Ⅲ. 연구방법 34 A. 연구 참여자 34 B. 실험기간 및 장소 37 C. 실험도구 39 D. 실험설계 및 절차 43 E. 관찰 및 측정 51 F. 관찰자간 신뢰도 56 G. 중재충실도 57 H. 사회적 타당도 59 Ⅳ. 연구결과 66 A.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66 B.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9 C. 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가 통합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81 Ⅴ. 논의 및 제언 85 A. 논의 86 B. 제한점 96 C. 제언 97 참고문헌 99 부록 123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20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학급SNS를 활용한 인터뷰기사쓰기 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쓰기능력, 자아존중감 및 통합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Interview Article Writing Instruction using Classwide SNS on Writing ability and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ility-
dc.creator.othernameLim, Zihyun-
dc.format.pagevii, 14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419-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이숙향-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