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8 Download: 0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Physical Activity
Authors
이진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empirically the influence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upon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This can be given a significance in that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verified the effect not only in physical promotion but also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aspect.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objective. 1. What about the effect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2. What about the effect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on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To examine the influence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upon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basic physical strength and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40 children(experimental group with 20 children, comparative group with 20 children) aged 5 in full at P kindergarten where i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 tool, which was used in a study, was used a test tool of the basic physical strength comprising the fitness elements in agility, endurance, balance, flexibility, power based on the data of“a research on the standard of evaluating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by Ahn Eul-seop(2005) and of“a program of promoting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 of being done together with a fami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6). To measure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a test tool was used what Kim In-ho(2010) modified Park Sun-i(2000)'s“questionnaire on pleasure of physical activity”in line with children aged fully 5.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was formed on the basis of‘a program of promoting young children's physical strength together with a family’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6) and of‘data on phys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3). In addition, It examined many relevant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thereby having formed by including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strength element and physical-activity pleasure element based on the activity easy for being active at home.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was carried out totally 15 times for 5 weeks by 3 times a week, respectively, from October 12, 2015 to November 13, by being divided into the use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guidance and the use for the home-connected. First of all, the physical activity at kindergarten was involv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n was conducted totally 15 times with 3 times a week for about 30 minutes, respectively, on every Monday, Wednesday and Friday. The activity at home was allowed to be practiced by widely distributing the connecting sheet to home on the very day with the physical activity at kindergarten. The activity assessment sheet was allowed to be prepared and submitted totally 5 times by once a week. To figure out a change in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basic physical strength and physical activity, the pre-and-post tests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basic physical strength and physical activity were gauged with the same method.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upon young children's fitness,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was indicat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ll factors in flexibility, power, agility, endurance and balance among sub-factors of basic physical strength were shown to be enhanced.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 was indicated. This can be known to mean that what continued to regularly carry out the home-based activity of including elements causing an interest with being proper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in cooperation between home and kindergarten was effective and that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had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Second, in consequence of examining the influence in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upon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was shown to improve young children's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It was indicated to increase self-confidence, fun, health maintenance, and cooperative spirit, which are sub-factors of 'a pleasure of physical activity' that was executed in order to analyze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But in a factor of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ow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but was shown to have a limitation enough to gi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mplies that the home-based physical activity of promoting basic physical strength i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to exchange positive emotion together with family at home, to feel a pleasure and to form positive attitude.;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신체활동과 가정연계 활동의 효율적인 적용 방안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는 가정연계 신체활동이 신체적 증진 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P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안을섭(2005)의 ‘유아의 체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와 교육인적자원부(2006)의 ‘가족과 함께하는 유아체력증진프로그램’자료에 근거한 민첩성, 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순발력의 체력요소로 구성된 기초체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순이(2000)의 ‘신체활동 즐거움 검사지’를 김인호(2010)가 만 5세 유아에 맞게 수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은 교육인적자원부(2006)의 ‘가족과 함께하는 유아체력증진 프로그램’과 교육인적자원부(2003)의 ‘유아를 위한 체육 활동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외에도 여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가정에서 활동하기에 용이한 활동을 바탕으로 유아들의 기초체력 요소와 신체활동 즐거움의 요소를 포함시켜 구성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은 유치원 교사 지도용과 가정연계용으로 나뉘어 2015년 10월 12일부터 11월 13일까지 각각 주 3회씩 5주 동안 총 15회를 실시하였다. 먼저 유치원에서의 신체활동은 유치원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30분 정도 씩 주 3회 총 15회를 실시하였으며, 가정에서의 활동은 유치원에서의 신체활동을 한 당일 가정으로 연계지를 배부하여 실행 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활동 평가지는 주 1회씩 총 5번 작성하고 제출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기초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검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는비교집단 각각의 측정값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내 평균차이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집단간 차이분석을 위해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 대한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결과로 가정연계활동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행을 통한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 체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체력의 하위요인 중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지구력, 평형성의 모든 요인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들을 포함시킨 가정연계 활동을 가정과 유치원이 협력하여 지속적이고 규칙적으로 실시한 것이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하며, 가정연계 신체활동은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분석해 보기 위해 실시한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협동심에서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성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상승 폭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증진 신체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긍정적인 정서를 교류하고 즐거움을 느끼며 긍정적 태도 형성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