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김민숙-
dc.creator김민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7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7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정서지능, 문제행동 관리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 대상은 서울 · 경기 지역의 공 · 사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로, 임의 표집한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 · 회수하였고, 그 중 총 358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측정도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다. 문제행동 관리능력은 문제행동 인식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문제행동 인식능력 중 문제행동 유형인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ehar와 Stringfield(1974)의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를 신희경(2012)과 양수영(2014)이 유아교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문제행동 원인인식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Heo, Cheatham과 Hemmeter(2011)의 도구를 신희경(2012)과 양수영(2014)이 수정 보완 한 것을 사용하였고,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분려(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조영란, 김희화, 공유경(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정서조절 모든 요인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상관정도는 정서활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조절 순으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관계가 있었다. 문제행동 관리능력을 문제행동 인식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으로 나누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문제행동 인식능력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의 하위변인인 예방을 위한 실제, 개별화된 중재, 사회정서 전략, 반응적 상호작용 모두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의 상관정도는 예방을 위한 실제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개별화된 중재, 사회정서전략, 반응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문제행동 관리능력 중 지도전략 사용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 보다 상대적으로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개별화된 중재, 정서활용, 자기정서인식 순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of teachers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that purpose. For the above purpose, the three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2-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to perceive problem behavior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2-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3.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on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rveyed 358 teachers with careers teaching 3-5 years old children in Seoul and kyungki area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Measuring tool to evaluate th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as used,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Th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is to look into the ability to perceive problem behavior and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To measure the ability to perceive the problem behavior's types was use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aire developed by Behar and Scringfield (1974) and that was modified and used by Hui-gyeong, Sin(2011) and Su-young, Yang(2014). To investigate the ability to perceive problem behavior's causes and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was used the tools developed by Heo, Cheatham & Hemmeter(2011) that was modified and used by Hui-gyeong, Sin(2011) and Su-young, Yang(2014). To measure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used that Bun-ryeo, Lee(1998)'s study was modified and used by Youngran, Jo(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 emotional appraisal, others' emotional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use of emo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ividing th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into ability to perceive problem behavior and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there's no correlation between ability to perceive behavior problem and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the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sub-factors(Classroom Preventive Practices, Responsive Interactions, Social Emotional Teaching Strategies,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showed correlation at all. Among the sub-factors, classroom preventive practice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followed by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social emotional strategies and responsive Interactions.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exerted an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was higher than the ability to use intervention methods. Among the sub-factors,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followed by self emotional appraisal, use of e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정서지능 7 1. 정서지능의 개념 7 2. 정서지능의 모형 및 구성요소 9 3.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11 B. 문제행동과 문제행동 관리능력 13 1. 문제행동의 개념 13 2. 문제행동 관리능력 15 C.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22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연구 도구 26 C. 연구 절차 30 D. 자료 분석 31 Ⅳ. 연구 결과 32 A.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32 B.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33 C.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문제행동 관리능력의 상대적 영향력 36 Ⅴ. 논의 및 결론 39 A. 논의 39 B.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58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15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an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Min Sook-
dc.format.pagev, 68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40-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contributor.examiner김은영-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