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유치원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실행연구

Title
유치원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on the Methods to Support 4 Year-old Children’s speaking skills.
Authors
이미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실행 방안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공립 병설 나래유치원 누리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만 4세 누리반 유아 22명(남 14명, 여 8명)이다. 전체 연구 기간은 2015년 8월 24일부터 2015년 11월 30일까지 이며, 만 4세 누리반 학급 유아의 말하기 능력을 증진하고자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을 점검하고, 유아 예비 관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인식 한 후,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실행방안을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및 1차 실행 평가, 2차 실행 및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실행 과정에서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유아 관찰 기록, 유아 활동 결과물, 동료 교사 및 학부모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분석, 예비 관찰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1차 실행방안으로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기본 능력 형성을 지원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말하기에 요구되는 사회적 규범을 익히고 말하기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누리반 유아들이 말하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말하기에 동기 유발하기, 자료를 보여주며 이야기하기, 전이 시간 말놀이 활동에 참여하기로 실행방안을 선정하였다. 또한 말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말의 힘, 상태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며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고 긍정적으로 말하기의 중요성을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 실행 방안을 평가한 결과, 누리반 유아들이 말하기 규칙을 지켜 대화에 참여하고, 말하기에 소극적인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또래 간 친사회적인 말하기를 지원하고, 실제적이고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를 경험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2차 실행방안에서는 유아들간 친사회적인 말하기를 지원하기 위해 또래 간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며 또래의 행동을 칭찬하고 갈등 상황에서, 토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유아들이 그동안 익혔던 말하기의 지식, 기능, 태도를 실제적으로 활용해 볼 수 있도록 소집단으로 나누어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에 참여해 보도록 하였다. 둘째, 만 4세 누리반 유아들의 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누리반 유아들은 의사소통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학습하여 이전보다 능숙하게 또래와 대화하고, 또래 간 대화의 지속 시간이 길어졌으며, 불충분한 의사소통으로 인한 갈등 상황이 감소하였다. 말하기에 소극적이었던 유아들은 즐겁고 자신감 있게 자신의 생각, 의견 등을 표현하게 되었다. 또래 간 친사회적 말하기 지원을 통해 누리반 유아들간 우정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자연스럽게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교실 수업 활동에 유아들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에 따라 유아-유아, 유아-교사 간 생각, 지식의 공유가 활발히 일어나는 열린 수업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말하기 수준은 각 개인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유아가 더욱 효과적으로 말을 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며, 만 4세 유아들의 말하기를 지원하기 위한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 유아언어발달 이론 뿐만 아니라 초등교육의 말하기 교육 이론까지 폭넓게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말할 내용을 선정, 조직하는 사고의 과정에서부터 효과적으로 표현하기까지의 말하기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만 4세 유아들의 발달적 적합성, 개별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실행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기본이 되고 유아의 자기 표현 수단의 중심인 말하기를 현장의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만 4세 유아의 말하기를 지원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nd conduct the methods to improve the speaking skills of 4-year old children in class of public kindergartens, and review the effects of the method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s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 What methods can be used to improve the speaking skills of 4-year old children in class of public kindergarten? 2. What effects can the methods sought out from above bring to the 4-year old public kindergarten childre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Nuri Class at Narae Kindergarten,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an S city, Gyeonggi Province, and the subjects are 4-year old 22 children (of which 14 are boys and 8 girls) of the Nuri Class. The period of the study is from August 22, 2015 to November 30, 2015. For the study, the curriculum and academic environment have been reviewed, and the methods for improvemen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cknowledging possible problems with pre-examination, and followed by the study of relevant documents and literature. The procedure is as follows: acknowledging and searching out methods to solve the speaking problems of the 4-year old Nuri Class children, first conduct and review, second conduct and review, and the final review. Through the procedure, the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observation logs of children, results of children’s activities, interviews of colleagues and parents of children, etc. are collected,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view of the curriculum and academic environment, and pre-examination, problems are acknowledged and methods for improvement are sought out. The first conduct has reviewed the way of familiarizing social norm, whi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basic ability of communication of the 4-year old Nuri Class children, and relevant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s for verbal communication. Furthermore, to have the children get interested in communication, the subjects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verbal activities, had conversations with materials shown to them, and invited to verbal activities during transition times. Also, the subjects were led to acknowledge the value of speaking skill with effects to and reactions from others, and to sympathize the importance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subjects’ own speaking and positive speaking skill. As the result, the children in the Nuri Class had participated in verbal communications with rules, and some passive children had shown interests. However, it was necessary to lead the subjects to participate in more practical and various types of conversations, and to support the pro-social verbal communications among peers. Therefore, in the second conduct, the subjects were supported for pro-social conversations among peers in the Nuri Class to use appropriate words, and also supported to compliment peers, and solve conflictions through discussion. The subjects were also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small-groups for various types of conversations to use the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s that the subjects have learned. Second, the effects of the conducts above for improvement of speaking skill of the 4 year-old Nuri Class children are as follows: the subjects have learned knowledge, function, attitudes, and improved conversations with peers while lengthening the time of conversations, and conflicts resulted by insufficient conversations have decreased. The passive subjects have presented their thoughts and opinions merrily with confidence. Also, through the support for pro-social conversations, the subjects have built friendship among peers actively and as a result, pro-social activities have increased. By actively accepting the subjects’ stories into classroom activities, the class has changed into an open class where the thoughts and knowledge are vigorously exchanged between child and child as well as children and the teacher. This study raises that special academic efforts are required to help the 4 year-old children speak effectively due to the differences of levels of personal verbal skills, and has pointed the methods for speaking skill improvement for the 4 year-old children. This study has reviewed a wide range of literature and document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ories of preschoolers’ verbal development as well as speaking education theorie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4 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suitability, individual appropriateness to develop the speaking skills that include the process of how the children choose what to speak and organize, and how they effectively present themselv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epare for practical methods for teachers at the fields to effectively educate preschoolers the verb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to education and study as well as self-presentation, and to support the children’s speaking ski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