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이민영-
dc.creator이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37-
dc.description.abstractThanks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s converting to individualized instruction system worldwide. In keeping with these trends Korean are also developing digital textbook since 2007, and making an effort for dissemination of digital textbook throughout the country from 2018. According to Scherpers and Wetzels(2007), individual variable, technology related variable, and condition variable effect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Objects of this study are all model school using digital textbook. They are all in the same situation, therefore condition variable was out of setting. And set quality of digital textbook as technology related variable, and personnal innovativeness as individual variable. This study us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s theoretical background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mong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sonal innovativeness, user satisfaction, us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digital textbooks.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ing: 1. In digital textbook using environment, doe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personnal innovativeness effects user satisfactoin? 2. In digital textbook using environment, doe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sonnal innovativeness and user satisfaction effects use of digital textbook? 3. In digital textbook using environment, does user satisfaction and use of digital textbook effects perceived performance? To identify research problem,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re in grade 4 and 5 in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model school using digital textbook in Gyeonggi province. After getting rid of poor response, 229 cased were used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After varifying suit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measurement model, that of structual model was varified. Follow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effected user satisfaction. Second,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effected use of digital textbook. Third, user satisfaction and use of digital textbook significantly effected perceived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after proving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digital textbook is needed, strategies to improve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digital textbook are presented. Second, in class that uses digital textbook,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affected perceived performance indirectly was varified. Lastly, it is meaningful because after checking that user satisfaction and use of digital textbook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promotion strategy to enhance those variable was built.;테크놀로지의 발전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맞춤형 교육방식으로 교육방식이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부터 디지털교과서를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디지털교과서를 전국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Scherpers와 Wetzels(2007)에 의하면 새로운 테크놀로지 수용에는 개인속성 변인, 기술관련 변인과 상황변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 중 상황변인은 연구대상이 모두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라는 같은 상황에 놓여 있기에 별도로 설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의 품질을 기술관련 변인으로, 개인혁신성을 개인속성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학습자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난 후의 지각된 성과 수준을 최종 변인으로 선정하고 정보시스템성공모형(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ISSM)을 통해 디지털교과서의 정보품질 및 서비스품질, 그리고 학습자의 개인혁신성이 사용 및 만족을 통해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 디지털교과서 사용 환경에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디지털교과서 사용 환경에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개인혁신성 및 만족도는 디지털 교과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3. 디지털교과서 사용 환경에서 만족도 및 사용은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의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두 곳의 4학년과 5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대답을 제외한 229명의 응답 자료를 가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토대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그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후에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조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과 디지털교과서의 서비스품질은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과학교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사용은 지각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족도 및 디지털교과서 사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및 개인혁신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의 정보품질을 높이기 위해 풍부하고 최신의 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서비스품질을 증진 전략으로는 학습자와 개발자가 서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혁신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를 사용함에 있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기반 놀이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종 결과변인인 지각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만족도와 디지털교과서 사용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영상 및 이미지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또래 학습자들과의 의견 공유 기능을 활성화한다면 만족도가 증진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교 수업 외에도 자기주도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방법을 알려준다면 사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정보품질 및 서비스품질을 높여야 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개인혁신성이 지각된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후 학습자의 만족도 수준 및 사용 수준이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촉진시키는 전략을 세웠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리 3 Ⅱ. 이론적 배경 7 A. 디지털교과서 7 1. 디지털교과서의 발전단계 7 2. 과학교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8 3.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10 4. 디지털교과서의 해외 연구 14 B. 정보시스템성공모형 20 1. DeLone과 McLean(1992)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 20 2. Pitt, Watson과 Kavan(1995)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 21 3. DeLone과 McLean(2003)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 22 C. 관련 선행연구 24 D. 연구 가설 및 모형 설정 31 Ⅲ. 연구방법 33 A. 연구대상 33 B. 연구맥락 33 C. 측정도구 35 1. 정보품질 측정도구 35 2.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35 3. 개인혁신성 측정도구 35 4. 만족도 측정도구 36 5. 디지털교과서 사용 측정도구 36 6. 지각된 성과 측정도구 36 D. 연구절차 37 E. 자료 분석 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8 B. 측정모형의 검증 41 C. 구조모형의 검증 44 Ⅴ. 결론 50 A. 모형검증 50 B. 직접효과의 검증 51 C. 시사점 53 D.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4 참고문헌 56 설문지 62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46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개인혁신성, 만족도, 사용 및 학습자의 지각된 성과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al Relationship among Quality Factor and Individu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Perceived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using Science Digita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Lee, Min Yeong-
dc.format.pagevi, 66 p.-
dc.contributor.examiner임규연-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contributor.examiner주영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