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 기준 개발 연구

Title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 기준 개발 연구
Other Titles
Establishing criteria for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Authors
김미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과학 기술의 발달로 매체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의사소통 방식이 달라졌으며, 그에 따라 생산하고 수용하게 되는 텍스트의 형태 역시 변화하였다. 기존의 텍스트는 인쇄매체와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한 줄글 형태의 텍스트였다면, 이제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양식이 결합한 복합양식 텍스트가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생활 속에서 수용하고 생산하는 텍스트의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쓰기 교육 및 평가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새로운 형태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교육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생산한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해서 복합양식적 관점으로 평가하는 것 역시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제작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를 중심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2.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각 평가 기준별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우선 기존의 논의들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들을 설정하여 범주화하였다. 다음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설정된 평가 기준 및 범주에 대한 타당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을 최종적으로 수립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과 단일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은 일반적인 텍스트의 평가에 해당하는 기준들도 포함하고 있지만,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위해 새롭게 설정된 것들도 있다. 이처럼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위해 수립된 기준이 기존의 평가에서는 발견되지 않던 새로운 기준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곧 전통적인 텍스트와 구별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독자성을 나타낸다. 둘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위한 기준 중 텍스트의 목적에 따라 달리 중요하게 여겨지는 평가 기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에서 정보의 적절성과 신뢰성 범주와 표현의 적절성 범주는 정보 전달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범주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텍스트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기준들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위한 기준 중 텍스트의 목적과 관계없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평가 기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에서 독자 고려 범주에 해당하는 평가 기준들과 글과 그림의 유기적인 의미 관계를 평가하는 기준은 높은 타당도와 중요도 점수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 시 필자의 독자 고려 능력과 함께 텍스트 내에서 사용된 양식 간의 관계를 중요하게 평가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는 기존의 단일양식 텍스트 평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복합양식 텍스트는 문자언어 중심의 단일양식 텍스트와는 달리 하나의 텍스트 안에서 의미를 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양식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한 텍스트이다. 따라서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시에는 텍스트 내에서 사용된 양식간의 관계와 각 양식의 효과적인 사용이 중요한 평가 요소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는 해당 텍스트의 목적에 따라 다른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문자언어 중심의 텍스트에서뿐만 아니라 복합양식 텍스트에서도 해당 텍스트의 목적은 평가 기준의 수립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위한 각 기준은 텍스트의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중요도 또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평가할 때에는 해당 텍스트의 목적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 기준은 완성된 복합양식 텍스트 자체를 대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텍스트 제작의 전 과정에서 활용되어야 한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를 통해 능동적인 의미 구성자로서의 학생들이 텍스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사고 과정을 거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제작 중 이뤄지는 평가는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복합양식 문식성을 길러가기 위한 비계가 되어줄 것이다. 넷째, 위계적으로 구성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다양한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교과서 또는 교사용 지도서에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명시하는 것은 교사에게 지침이 되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피드백을 주어 의미 있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을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다섯째, 복합양식 텍스트의 올바른 평가를 위한 교원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의 장에서 평가는 현재의 상태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대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관점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 재교육 연수와 더불어 예비 교사 교육을 위한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에 복합양식 문식성을 기반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기존의 문자언어 중심의 텍스트와는 차이를 가지는 복합양식 텍스트를 수용하고 생산하기 위한 학습자의 복합양식 문식성 발달을 위해서는 복합양식적 교육 내용이 위계적으로 포함된 체계적인 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생들이 접하고 생산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형태 역시 보다 다양한 양식 및 매체들을 활용한 텍스트로 확대된다면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을 확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일곱째, 학생들이 복합양식적 관점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수용하고 생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 복합양식적 관점을 가지고 다양한 지원을 통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와 부모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여러 양식들의 의미 있는 결합체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질 때, 비로소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피드백과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식성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와 텍스트, 양식과 기호의 경험을 위한 의사소통 환경을 구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가 부족한 상황 중 복합양식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은 곧 좋은 복합양식 텍스트의 요건이 되기에 본 연구에서 수립된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 있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기준은 문헌 연구 및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수립된 데에서 그쳤으므로 요인 분석을 통해 보다 타당화하고 정교화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 전달 복합양식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초등학생이 제작한 아날로그 복합양식 텍스트를 위한 평가 기준만을 수립하였다는 점에서 계속적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사적인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평가 기준 연구, 학교급 또는 학년 특성을 고려한 평가 기준 연구,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제작한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 연구, 평가 기준을 활용한 복합양식 텍스트 평가와 루브릭 없이 직관적으로 수행한 평가의 결과 비교 연구, 복합양식 텍스트의 각 평가 기준에 대한 교사 집단과 학생 집단의 중요도 인식 연구, 복합양식 텍스트의 평가 기준에 대한 교사 또는 학생 집단의 인식에 대해 후속 조치를 취하였을 때의 교육적 효과 확인 연구 등이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As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the way of communication has changed and the form of text people produce and receive has changed accordingly. Previous form of text was traditionally print-based prose text with written language, but now, multimodal texts made by various mediums are being used in everyday life. Thus, due to the change of the form of texts people receive and produce in real life, necessity for change in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has also been raised. The ways of understanding and producing the new form of texts need to be educ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text produced by students needs to be evaluated in multimodal perspective. Despite these kinds of needs, there are little discussion about the evaluation of multimodal texts.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riteria for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this study sets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can be evaluation criteria for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2. How important is each evaluation criteria for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bove, this study has gone through a series of process. First, for preliminary evaluation of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criteria were set and categorized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Then, two rounds of Delphi study were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set evaluation criteria and categories. Lastly, expert opinions acquired through the Delphi studies wer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final evaluation criteria of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aimed at elementary students. Below is the achieved conclusions through this establishment proces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iteria for multimodal and mono-modal text evaluation. While some of the criteria established in this study include those of general text evaluation, some others are newly designed specifically for multimodal text evaluation. The fact that the new criteria have what has not been found in existing means of evaluation shows the originality of multimodal texts, making them distinct from traditional ones. Second of all, there were criteria whose importanc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purpose of the text.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in this study for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the category of appropriateness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of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are set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evaluating informative texts. This suggests that when evaluating multimodal texts, evaluation criteria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ext’s purpose. Lastly, there were criteria whose importance stayed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 text.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e category of audience consideration or of organismic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s remained high in both validity and importance. From this it follows that the writer’s ability to consider aud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in which the text is composed have to be examined with a great importance in multimodal text evaluation. This study’s results suggest a number of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multimodal text evaluation should be fulfill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form of mono-modal text evaluation. Multimodal texts, unlike mono-modal texts oriented in written language, consist of different types of forms organically combined in order to construct meanings in a text. Therefore, when evaluating multimodal texts, there should be great weight put on relations among forms used in the text and on effective usage of each form. Second, multimodal text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ext’s purpose. The purpose of a certain text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whether for multimodal or existing, written-language-oriented texts. Thus, the settings and importance of each criterion for multimodal text evalu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xt’s purpose, enhancing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text’s purpose in multimodal text evaluation. Third, multimodal text evaluation criteria set in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not just for complete multimodal texts, but also for the overall process of text production. It is because it’s important to see what kinds of thought processes students, as active meaning constructors, go through when producing multimodal texts. Also, the assessment during the text production will act as a scaffolding by giving students concrete feedback, enhancing their multimodal literacy. Fourth, teachers need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using multimodal texts, based on a multimodal literacy curriculum organized hierarchically. Specifying such information in textbooks or teacher’s handbooks will provide teachers with helpful guidance and students with concrete feedback, enabling meaningful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Fifth,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be educated about proper evaluation of multimodal texts. Assessment is important because of its function of confirming learners’ current learning status and providing guidance for future learning, so the assessor needs to have appropriate awareness and perspective for accurate evaluation. Therefore, multimodal text evaluation needs to be included in universities’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ixth, in order to develop learners’multimodal literacy for producing multimodal texts, distinct from the existing type of written-language-oriented tex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includes its educational contents in a hierarchical manner. Also, if the forms of multimodal texts that students learn and produce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it would be a great help for them to enhancing their multimodal literacy. Seventh,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practiced in home and school with support and multimodal perspective, in order for students to embrace and produce multimodal texts in a multimodal perspective. Students will not receive any helpful feedback until parents and teachers become able to see multimodal texts as a meaningful corporate body,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forms. Furthermor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re diverse materials, texts, forms and symbols can be experienced, is necessary in order for students to get more active and creative in literary activities.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stablished evaluation criteria for multimodal texts which existing discussions lack. Because multimodal texts’ evaluation criteria can be considered as conditions for a well-composed multimodal text, the evaluation criteria of multimodal texts which this study has established will be a specific and concrete guide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However, these criteria need to be more validated and elaborated through factor analyses because they were established based only on literature reviews and Delphi studies. Not only that, this research should be constantly expanded because it has targeted informative multimodal texts only and has established evaluation criteria for multimodal texts produced by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more developed with follow-up studies. Some examples are studies of evaluation criteria for multimodal texts that are narrative or produced using digital devices. Other examples include a comparative study of multimodal text evaluation with evaluation criteria and intuitive evaluation without any rubric, a study of teachers or students’ importance awareness of each criterion of multimodal text evaluation, and a study ascertaining the educational efficacy of follow-up measures for awareness of each criterion of multimodal text evaluation in teacher or student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