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7 Download: 0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Authors
남아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is study presumes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as one of the measures that allow the realization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aims to explore its practicality. Especially,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characteristics, issues and implication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as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existing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discussed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deliber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Deliberative theory presumed that discussion on curriculum has complex and recursive properties, and accordingly, it is established through a process of deliberation by multiple subjects. In particular, there was a discussion that as one of these, student representatives’ direct participation would be necessary, but the practical aspects of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In addi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schoo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he aspects of students’ participation, too, were gradually evolving, but no exploration of the concrete realities of the actual field. Studies of cases of direct participation could be found in the preceding research abroad, which could be concretized by participation in the phase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operation. However, what were addressed in this process were limited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as a one-shot case and certain subject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what are the issue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elected two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s research subjects: Alternative Middle/High School A, in which recognizes students as participant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ctually students participate in it and Ordinary Public Middle School B, so as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in parallel, and one teacher and nine students in School A and two teachers and two students in School B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tried to find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the observation records, and other collected material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verif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 A, it took a form of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started from students’ hands, while in School B, it took a form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which student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In School A,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arly stage of curriculum development autonomously and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operation in a collaborative and active form. In addition, in this process, ongo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supported this, and students experienced a close link between learning and curriculum. School B, unlike this, was a structure in which opinions were reflected through student representatives, and as a key role, that of the school manager was brought into relief, which would make sa direct change that secures students’ participation. In addition, in this process, perspectives on students’ participation were not completely agreed. Lastly, students experienced a change in perceptions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overall curriculum and suggesting their opinions, too. Like th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participation could be concretiz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its methods. Second,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issues caused by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Various subjects of education often experienced a gap due to an unrealistic ideal in this process of participation. Teachers’ work burden made it difficult to support students’ participation, while students felt a constraint in participation because of practical aspects like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addition, if it was focused on participation through representatives as in School B, the incompleteness of student representatives emerged as an issue. With the lack of consistent frame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teachers and students alike complained about the difficulty and due to ambiguity of boundarie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issue of range also remains as a controversy in student participation. Third, implications of analysis on reality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lso presen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school-level curriculum; first, as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affect each other with inter-relativity in the student participation, there is a necessity of emphasizing the links between the categories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 sufficien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school fields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ecause without it, it is difficult to put student participation in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flicting situation occurring in of curriculum development as a process of improvement, not as a problem since excessive definition of it as a problem are likely to suppress participa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possibility was confirmed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stage of curriculum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student-centered curriculum by inducing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Especially,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students spontaneously made an effort to review and improve their learning, an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various aspect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before students’ participation became new issues of curriculum.;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교육과정 개발에서 학생이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를 통해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의 특징과 쟁점 및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론적 틀로서 숙의 모형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와 학교 단위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학생 참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숙의 이론은 교육과정 논의가 복합적이고 순환적인 성질을 가지며 이로 인해 여러 주체들의 숙고의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이 성립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참여 주체의 하나로 학생 대표의 직접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지만 학생 대표의 참여를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다른 한 편으로 학교 단위 교육과정 개발의 맥락에서도 학생들의 참여 필요성이 논의되어 왔지만 학생 참여에 관한 현장의 모습에 대한 탐구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발에서 학생 참여의 실제를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둘째, 학생들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한 쟁점은 무엇인가? 셋째,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의 사례가 학교 단위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에 실제로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의 대안학교 A 중·고등학교와 일반 공립학교 B 중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병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로서 A 학교의 교사 1인과 학생 9명, B 학교의 교사 2인과 학생 2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한 면담자료와 관찰 기록지, 그리고 기타 수집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 방식은 학교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보여주었다. A 학교는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학생이 보다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보였고 B 학교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학생이 활발히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A 학교의 경우, 학생들은 학생 자치활동에서 교과 수업으로의 연계로 자치활동에서 출발한 개인의 관심이 교과로 확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업활동의 재구성과 운영과정에서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 간의 계속적인 소통과 호흡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개별적 학습과 교과 교육과정 간의 긴밀성을 경험하였다. B 학교는 이와 다르게 주로 학생 대표에 의해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구조였으며, 학생 참여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직접적인 변화를 만드는 주축으로 학교 관리자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또 이 과정에서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자율성과 불분명함이 혼재하고 있음 역시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참여를 통해 교과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학생들의 참여는 참여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와 관련된 쟁점들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학생 참여의 과정에서 여러 교육주체들은 이상과 실제 현실 사이의 괴리감을 수시로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업무 부담은 학생 참여에 대한 지원을 어렵게 하였고 학생은 대학 입시 등 현실적 측면으로 인해 참여의 제약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B 학교와 같이 대표를 통한 참여가 중심이 되는 경우, 학생 대표가 갖는 불완정성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처럼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한 일관된 틀이 부재함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은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교육과정 개발의 경계에 대한 불명료성으로 인한 범위의 문제 역시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있어 쟁점으로 자리하였다. 셋째,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한 실태 분석의 시사점은 학교 단위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시사점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생 참여에 있어 교과와 비교과 간의 상호적인 관련성 하에 두 측면이 서로 영향을 주고 있기에 교육과정 개발의 범주 간 연계과정이 부각될 필요가 있었다. 둘째,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충분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학교 내외의 지원체계가 충분히 뒷받침되었을 때 마침내 실질적인 학생 참여를 담보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의 구성원 간의 갈등 상황을 문제가 아닌 개선의 과정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나친 문제로의 규정은 이를 실행함에 있어 참여를 억압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개발의 단계에서 학생의 참여는 능동적인 수업참여 및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를 통해 학생이 자발적으로 학습에 대해 점검하고 개선해나가는 노력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학생 참여 이전에 고려되지 않았던 여러 측면이 교육과정의 새로운 문제로 떠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