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희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As societies grow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ty, the scopes we consume are widening. In other words, beyond products and goods we can see, we are living in an age of intangible consume known collectively as service. Especially, all things such as meeting, time, communications, culture and leisure, we experience in the space has had a great impact on improving quality of our life and there are media known as coffee. When excluding primary purpose for people to take coffee for having caffeine. In order to keep one’s composure and to communicate with people, people consume coffee. Finally, in the scope of coffee culture, diverse values coexist side by side, connecting people with society and stimulating sensibility. Although a favor of coffee and marketing strategy are one of the significant elements in a coffee shop that has being existed a place for communication and culture, design elements that constitute spaces play important roles in stimulating five emotions and establishing one brand identity. We can know in survey that graphics that comprise a large portion of spaces make for people who are in coffee shop to feel more comfortable and easeful. Besides, by playing role of visual communication, graphic images can contribute for people to feel concrete brand identity. Take Starbucks that have a strong customer preference for instance. Starbucks’ brand images customers perceive are mostly delivered by wall graphics. Thus, through systemic and coherent graphic expression, Starbucks stimulate customers’ emotions in pursuit of brand identity. Therefore, in this paper I selected Twosome Place that is not enough to express their brand identity through graphic ways and means, though they have relatively definitive brand identity. In the customer survey, we make certain that wall graphics in coffee shop play great important role of realizing and instilling ideal brand image. When investigating wall graphic conditions on Twosome place, the concept of European desert café that Twosome Place has pursued is not expressed in space graphics. Moreover, diverse graphic elements that are derived from other brands are being used for space graphic, and thus images lacking coherent concept are taking up the spaces. Even graphic elements that reveal dessert cafe are not expressed.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main subject is assorted into three concepts, desert and coffee, based on brand slogan of Twosome Place. According to this concept I suggested wall graphic images to express these elements. On the basis of interior elements that constitute present spaces, materials, colors, furniture and lighting, images are composed of low saturation and mono tone to harmonize with entire atmosphere. Especially, in order to express European emotional images, I considered angles and focus of camera. And by using main color, red, I developed symbol and logotype using stamp design to apply for images. On the basis of these tries and suggestions, more active build of brand identity is needed, being developed into coherent and harmonious design including entire design elements. These efforts should make Twosome Place more special space reflecting dessert cafe.;현대는 21세기 정보화 사회로, 새로운 과학 기술과 문화 창조를 위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능동적으로 이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자주적인 시민을 양성해야 한다. 이에 전통적인 교육에서 주로 행해졌던 학생들의 자율적인 표현을 억압하는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서 학생들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최대한 계발시키고 그들 내면의 생각이나 경험을 표현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미술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 주도의 수업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력 계발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방법의 제시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고등학교 1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과 연관되는 개념인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고등학교에서의 학습자 중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초현실주의 미술 작품 제작하기’ 를 주제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측정도구로는 이석재(2003)가 개발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지’ 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기 결과물에 대한 평가도구로는 로웬펠드(1993)가 제시한 창의성 요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도는 현직 고등학교 미술교사 2인으로부터 검증받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구로구에 소재한 K고등학교 1학년 두 개 학급 총 6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34명씩 구성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시행하여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8차시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총 6차시로 교수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SPSS Ver. 2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수업 만족도 조사 및 자기평가에 응답한 내용을 수집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검증하고, 실기 결과물에 대한 창의적 표현력 평가를 통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은 사후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 점수의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교수자 중심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은 사후 검사 점수의 상승률이 낮았으며 몇몇 하위 항목에서는 그 점수가 낮아져서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로 실기 결과물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표현력이 높게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가져다주었음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