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7 Download: 0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남·여창 가곡 지도 방안

Title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남·여창 가곡 지도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singing of Ga-Gok : Based on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Authors
이아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연구는 보드만(E.Boardman)의 생성적 음악교수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과정의 가곡 가창지도방안을 계획한 것이다.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은 인간의 음악적 경험을 토대로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내면적 느낌의 음악경험을 추구한다. 이는『시가요곡』,『가곡원류』등과 같이 가집을 보며 노래 부르고, 필요에 따라 자신만의 기호로 음악적 표현을 기입하여 음악을 기억하는 구전심수(口傳心授) 교육의 가곡 가창교육과 상통한다. 이를 위해 생성적 음악교수이론과 가곡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가창영역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17종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가곡 제재곡을 찾아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지도안을 작성하고, 나아가 이를 실제현장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제재곡은 17종 교과서 중 15종 교과서에서 제시된 곡으로, 남창가곡 반우반계 편락 ‘나무도’와 여창가곡 계면조 편수대엽 ‘모란은’ 그리고 남녀창가곡인 계면조 태평가 ‘(이랴도) 태평성대’ 등이다. 이는 가곡의 장단인 10점16박 장단과 10점10박 장단이 모두 들어간 곡이다. 학습활동은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가창위주의 활동이며, 학습대상은 중학교 1-3학년으로 제한하였다. 지도안은 각 곡 당 4차시로 총12차시이며,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따라 신체를 활용한 작동적 양식, 영상·사진 등의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적 양식, 악보를 활용한 상징적 양식의 순서로 가창활동을 구성하였다. 남창가곡 반우반계 편락 ‘나무도’ 1차시에는 작동적 양식으로 신체를 활용한 10점10박 장단놀이, 2차시에는 영상적 양식으로 가사의 내용을 그림 그려보는 활동과 말붙임새 표현 활동으로 계획하였다. 3차시에는 상징적 양식으로 정간보 또는 오선보를 보면서 노래 부르기, 4차시에는 상징적 양식으로 정간보 또는 오선보를 보며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등이다. 여창가곡 계면조 편수대엽 ‘모란은’ 1차시는 작동적 양식으로 제재곡 감상하며 덩, 덕, 쿵 신체표현 활동하기, 2차시는 영상적 양식으로 제재곡 감상하며 꽃그림 색칠하기 활동하기와 말붙임새 익히기 활동 등으로 구성하였다. 3차시는 상징적 양식으로 정간보 또는 오선보 보며 노래 부르기와 가사창작하기 활동, 4차시는 상징적 양식으로 모둠별로 장단역할, 가수역할 나누어 연주하기 등의 활동을 계획하였다. 남녀창가곡 계면조 태평가 ‘(이랴도) 태평성대’ 1차시는 작동적 양식으로 제재곡 감상하며 덩, 덕, 쿵 신체표현하기와 10점16박 장단 신체표현하기 2차시는 영상적 양식으로 제재곡 감상하고 Stick 아이콘 보며 말붙임새 불러보기, 3차시는 상징적 양식으로 정간보 또는 오선보 보며 노래 부르기, 4차시는 모둠별로 노래 녹음하고 음반제작하기 활동 등을 계획하였다. 작성한 학습지도안은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도안을 수정·보완하였다. 완성한 지도안은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서울 A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음악활동은 가곡 지도에 적절한 교수이론이었다. 둘째, 가곡의 음악활동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우리나라 문화의 소중함과 자긍심을 느끼게 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본 연구수업을 통해 문학과 음악의 통합적 아름다움을 경험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느긋하고 여유로운 마음을 갖게 되었다. 다섯째, 인사하기, 바른 자세하기, 워밍업, 덩,덕,쿵 신체표현활동 등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예절을 경험하게 했다. 여섯째, 남창가곡 반우반계 편락 ‘나무도’는 3장까지, 여창가곡 계면조 편수대엽 ‘모란은’은 전체 한 곡, 남녀창가곡 계면조 태평가 ‘(이랴도) 태평성대’는 초장까지 가창활동이 가능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는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가곡의 가창활동이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기르게 하며, 문학과 음악의 통합예술을 경험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느긋하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예절을 이해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way to teach middle schoolers singing Ga-Gok, which is Korean classic song, by E.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researcher investigated E.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and Ga-Gok, and 2009 Revis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lso, after selecting Ga-Gok pieces on 17 kinds of music textbooks for Korean middle school, the researcher made teaching methods for singing Ga-Gok. Further, the researcher applied the methods to music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elected songs are "Semi Ujo/Gyemyeonjo Pyeonrak for man", "Gyemyeonjo Pyeonsudaeyeop for woman", and "Gyemyeonjo Taepyeongga for man and woman". The teaching methods have four steps per a song, to have twelve steps in tota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enactive representation involving an activity of using students' bodies, iconic representation using video, image and the like, and symbolical representation using musical notes. Firstly, students learned "Semi Ujo/Gyemyeonjo Pyeonrak for man" with four steps. Each part is performed with enactive representation by performing body beat game, iconic representation by drawing a picture of contents of lyrics, and symbolical representation by singing the song and by reading notes (Junggandbo: Korean traditional score) at the same time, and by singing the song in tune while reading notes. Secondly, students learned "Gyemyeonjo Pyeonsudaeyeop for woman" with four parts. Each part is performed with enactive representation by performing physical expression with activity named "Dong-Duck-Kong Playing" and listening "Gyemyeonjo Pyeonsudaeyeop for woman", at the same time, iconic representation by coloring a flower picture with crayons and creating lyrics, symbolical representation by singing "Gyemyeonjo Pyeonsudaeyeop for woman" and creating lyrics and another symbolical representation by dividing class into singer group and tuning group and performing each part to play the song. Lastly, students learned "Gyemyeonjo Taepyeongga for man and woman" with four parts. Each part is performed with enactive representation by performing physical expression with activity named "Dong-Duck-Kong" and listening "Gyemyeonjo Taepyeongga for man and woman" at the same time, iconic representation by listening the song and creating the lyrics while watching Stick Iconic, and symbolical representation by singing "Gyemyeonjo Taepyeongga for man and woman" and recording the song. Three experts read the teaching guides, and gave their opinion. They said that the study fi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 includes various beneficial activities for music classes. Also, it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and stimulate their interest, they said. The researcher applied the teaching guides to music classes for middle school, and following is collected results through questions for descriptive answers. Firstly,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classes to which teaching singing of Ga-Gok with E.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is. Secondly, through the steps, to which the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and pride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rdly, through singing Ga-Gok, the students showed interested in the poems which are lyrics of Ga-Gok. Lastly, students said that through activities for example "How to exchange greetings", and "Straighten up one's posture", they learned how to behave with propriety and how to be considerate to others. As a result, the researcher expects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great manners and feel proud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rough singing Ga-Gok. Furthermore, they could realise how beautiful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is, and enjoy the poem which is lyrics of Ga-Gok through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