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김혜란-
dc.creator김혜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18-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깔개와 휘장에 관한 연구로 직물과 모피, 모직물, 완석으로 만든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삼국시대부터 사용이 확인되는 깔개와 휘장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난방방식의 변화와 직조기술의 발달, 유행의 흐름에 따라서 재료와 사용방식도 변화하였다. 삼국시대는 침상과 의자를 사용하는 입식생활을 했으며 부분 난방을 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냉기를 차단하기 위한 휘장과 깔개의 사용이 보편적이었을 것이다. 또 단일 기능의 건물을 지어 용도별로 사용했던 주거생활의 특성 상 건물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휘장과 병풍 등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본다. 고려시대는 삼국시대의 생활방식을 계승하면서 좌식생활도 병행되었다. 고려시대의 휘장은 실내의 공간 구획과 방한의 목적 외에도 장식품으로 이용되었다. 붉은 비단이나 각종 문양을 수놓은 화려한 휘장들은 실내외의 공간을 장식하며 그 장소의 위상을 높이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비해 문헌자료가 풍부한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깔개의 명칭이 등장하지만 주재료의 종류에서 보면 고려시대와 비슷하다. 그러나 교역이 자유롭고 제직기술이 발달하였던 고려시대에 비해 조선시대에는 조공무역으로의 전환과 함께 각종 문단의 수입이 제한되면서 깔개와 휘장의 재료는 국내에서 생산한 주와 무명을 사용할 것이 권장되었다. 직물이나 모직물의 사용이 국내 무역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었던 것에 반해 모피는 대체로 국내 생산이 가능하여 고대부터 꾸준히 의복이나 깔개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의 모피 깔개 호 · 표피는 특별히 사신신앙과 벽사의 의미가 더해져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수단이 되었다. 깔개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의 휘장도 사치금제로 인해 재료의 사용과 용도에 변화가 생겼다. 주로 수입에 의존하였던 화려한 문단과 수를 놓아 만든 휘장들은 공개적인 장소나 실외에서 사라지게 되고 사적인 공간을 장식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실외에서 사용하는 휘장들은 실용성과 검약을 중시하여 문양이나 장식이 없는 삼승이나 무명으로 만들었다. 또한 17세기 이후 온돌이 서민에게까지 보급되면서 방 안에서 휘장을 사용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생겨 침상 주위에 두르던 방식 대신 사면의 벽이나 창문, 문에만 설치하는 방식의 사용이 많아졌다.;This syudy is to examine the rugs and drapes of Korea targeting the works made of fabrics, fur, wool and wanseok. Rugs and drapes which have been confirmed to use from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Goryeo period to Joseon period have been continuously used and their materials and usage have been changed depending on the changes of heating system, the development of weaving techniques, and the trends. Traces of the stand-up lifestyles using beds and chairs and of sedentary lifestyles were foun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was the era in which rugs and drapes might be universally used in order to keep the cold out along with the partial heating system as Ondol heating system did not come into use. In order to divide inside space of struc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life; building with single functionality and use for certain purposes, rugs and drapes seems to be actively used. It is confirmed through literatures that the life styles of three Kingdoms were passed down to Goryeo period along with sedentary life styles. Drapes of Goryeo period, on top of their usages to divide the inside space and to keep the cold out, are found to function the ornaments whose usages were to deco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with the various colorful patterns embroidered on red silk or drapes and to raise the statue of the space. Although names of various rugs appeared in the Joseon period of rich literature materials compared to those of three Kingdom period and Goryeo period, the kinds of the main ingredients are like those of Goryeo period. However, the ingredients of the rugs and drapes were recommended to use the domestic silk and cotton with the import restriction of various silks along with the switch to tributary trade in Joseon period compared to Goryeo period in which the free trade was prevalent and weav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While the use of fabrics and wool had changed depending on the domestic trade situation, fur which, could be produced domestically in general, had been steadily used as the ingredient of clothes and rugs since the ancient times. The skin of tiger and leopard were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fur rugs in Joseon period and to be the symbol of the dignity and authority with the meanings of serpent worship and apotropaic practices added. Likewise rugs, the usage of ingredients and their purpose of drapes in Joseon had changed due to the ban on costume and luxury. Colorful silks and embroidered drapes which depended heavily on the imports disappeared and were used only to decorate the private space. Drapes used outdoors were made of hemp cloth or cotton without pattern or decor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emphasis on frugality and practicality. Changes in using the drapes were made from the way of putting the drapes around the beds into the way of putting the drapes only on the four walls, windows, and doors, which were commonly spotted, and with Ondol heating system spread to the ordinary people since 17th centu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II. 조선시대 이전의 깔개와 휘장 사용 4 A. 삼국시대 5 1.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깔개와 휘장 5 2. 三國史記에 나타난 깔개와 휘장 6 3. 깔개의 수입과 수출 10 4. 깔개 제작 관청 15 B. 고려시대 18 1. 주거생활에 따른 깔개와 휘장 18 2. 대외 교역품 속에 나타난 깔개와 휘장 21 III. 조선시대의 깔개와 휘장 25 A. 깔개의 종류 25 1. 왕골자리[莞席] 26 2. 직물 깔개 33 3. 모피류 깔개 52 B. 휘장의 종류 74 1. 사용처별 휘장의 종류 75 2. 형태별 휘장의 종류 83 IV. 결론 91 참 고 문 헌 94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86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우리나라의 깔개와 휘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ugs and drapes of Korea-
dc.creator.othernameKim, Hye-Ran-
dc.format.pageix, 101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진-
dc.contributor.examiner김동은-
dc.contributor.examiner홍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