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라이프스타일숍의 점포속성에 따른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라이프스타일숍의 점포속성에 따른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ural Responses to Store Attributes of Lifestyle-Shop
Authors
김지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민정
Abstract
As consumers have come to spend more for themselve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a shopping complex that meets the circumstances or trends. Reflecting this consumer behavior to stores, retailers are developing new forms of spaces that are called lifestyle shops. During consumers’ time of st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influences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behavior.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responses, for characteristics are the crucial factors that determine consumer’s preference on the store. However, while there are changes in purchasing behaviours and consumption valu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es on ‘lifestyle shop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to find the effects of store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responses. Second, to analyse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on behavioural responses. Third, to study the effects of store characteristics on the emotional responses depending on type of lifestyle store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on behavioural responses. Fourth,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ore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response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nd how the emotional responses affect behavioural responses. Fifth, to understand gender effects on store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responses depening on marital status, and how the emotional responses affect behavioural responses. This research analyses such as secondary sources on the Internet, academic researches, readings, news, and online websites, to assort the types of lifestyle shops and to analyse shops that one currently open. Based on the items sold in the stores, there are 3 categories: household items, interior items, and fashion item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analyse consumers who have previous experiences at lifestyle shops. A total 471 responses were for utilized data collection. This research employs SPSS 19.0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edibility verification. Using AMOS 19.0, structure equating model verification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Result from the analysis is as below: First, it showed that the store characteristics, ‘variety of items’, ‘loc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ar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structure equating model verification. Also, that ‘store atmosphere’, ‘service quality of sales assistant’, and ‘price’ were factors that did not relatively produce positive influences. Meanwhile, ‘store atmosphere’, and ‘location’ ar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nd ‘variety of items’, ‘service quality of sales assistant’,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price’ do not relatively affect the emotions. Second, analysing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on behavioural responses, the factor ‘positive emotion’ positively influenced ‘time of stay’, ‘sto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of behavioural responses. The factor ‘negative emotion’ only negatively affects ‘intention of revisit’, while it does not affect ‘store satisfaction’ and ‘time of stay’. Also, ‘stor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ime of stay’ and ‘intention of revisit’. Third, the study compared differences among store characteristics, emotional response and type of lifestyle shop(household item, furniture & interior, and fashion). For Interior stores, ‘variety of items’ and ‘service quality of sales assistant’ resulted in positive emotions. For fashion stores, ‘service quality of sales assistant’ negatively affect ‘positive emotions’. For household item store type, both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were influenced by ‘location’. Also, for both store types, ‘time of stay’ was affected by ‘positive emotion’. Fourth, looking at the behavioural respons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married or single), it found that single respondents felt more positive towards ‘variety of items’ than married respondents. Married respondents, however, responded more positively toward ‘price’. Fifth, analysing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mal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factor ‘price’ to produced ‘negative emotion’, and female respondents tend to have higher levels of ‘intention to revisit’ due to ‘positive emotion’, while ‘intention to revisit’ of male respondents was not affected by ‘positive emotion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for building marketing strategies for unique competitive lifestyle stores on new market trends in which various types of lifestyle stores are increasingly opening due to demands. Also, the reported research further adds to academic findings providing practical analysis on the topic.;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함에 따라 자신을 위해 소비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고려한 복합쇼핑 공간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성향을 반영하여 유통업계에서도 ‘라이프스타일숍’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편집숍을 선보이고 있다. 라이프스타일숍의 점포속성은 소비자가 점포를 방문하는 동안 다양한 마케팅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소비자들의 점포만족도나 구매행동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점포속성은 소비자의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으로서 매장 내에서 경험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과 관련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점포속성은 구매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구매행동이 변하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숍은 매장 내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며 발전하고 있는 시점에서 라이프스타일숍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숍의 점포속성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둘째, 소비자가 경험한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숍 유형에 따라 점포속성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결혼여부 집단에 따라 점포속성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다섯째, 성별 집단에 따라 점포속성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숍의 유형 분류를 위하여 논문, 문헌조사와 뉴스, 관련 사이트 등 인터넷 자료 조사를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숍을 분석하였으며, 각 매장의 구성 카테고리를 토대로 생활용품 라이프스타일숍, 인테리어 라이프스타일숍, 패션 라이프스타일숍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설문을 위한 자료 수집은 라이프스타일숍을 경험한 일반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중심으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7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19.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AMOS 19.0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타일숍 점포속성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속성의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매장 내 다양한 상품 구색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다양성’, 매장 내 제품 선택이 용이한 진열의 ‘매장 분위기’,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판매원 서비스’, 찾아가기 쉽고 이용이 편리한 매장의 위치에 관한 ‘입지’, 제품의 질이 좋고 개성 있는 디자인의 제품이 갖추어 있는 ‘상품특성’, 제품 품질에 비해 적절한 가격에 관한 ‘가격’으로 명명 하였으며, 모두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점포속성의 ‘상품의 다양성’, ‘입지’, ‘상품특성’의 요인은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 속성의 ‘매장 분위기’, ‘판매원 서비스’, ‘가격’의 요인은 긍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장 분위기’와 ‘입지’의 요인은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 반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 속성의 ‘상품의 다양성’, ‘판매원 서비스’, ‘상품특성’, ‘가격’의 요인은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 감정’ 요인은 행동적 반응의 ‘체류시간’, ‘점포만족도’,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 요인은 행동적 반응 중 ‘재방문의도’에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 만족도’와 ‘체류시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포 만족도’는 ‘체류시간’과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숍 유형(생활용품, 인테리어, 패션)에 따른 점포속성과 감정적 반응, 행동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인테리어 유형은 ‘상품의 다양성’과 ‘판매원 서비스’가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라이프스타일숍은 ‘판매원 서비스’가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생활용품 라이프스타일숍은 ‘입지’ 요인에 따라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모두 영향을 받으므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또한, 생활용품과 인테리어 유형은 ‘긍정적 감정’에 따라 ‘체류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여부(기혼, 미혼)에 따른 점포속성과 감정적 반응, 행동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미혼 집단은 기혼 집단 보다 ‘상품의 다양성’에 긍정적 감정을 느끼며, 기혼 집단은 ‘가격’에 긍정적 감정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성별(남성, 여성)에 따른 점포속성과 감정적 반응, 행동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남성 집단은 여성 집단 보다 ‘가격’ 요인에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집단은 ‘긍정적 감정’에 따라 ‘재방문 의도’가 높아질 수 있는 반면, 남성 집단은 ‘긍정적 감정’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숍이라는 새로운 업태가 생겨나고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라이프스타일숍의 경쟁력과 뚜렷한 개성을 설립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라이프스타일숍에 관련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