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준-
dc.contributor.author이선아-
dc.creator이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462-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경제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단순히 품질이나 기능 위주로 제품을 구매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감성 또한 제품의 구매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기능성 뿐 아니라 인간의 오감 중 촉감각과 시감각으로부터 전해지는 감각이미지와 감성이미지에 의해 패션제품의 부가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학계와 패션 산업계에 걸쳐 전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패션제품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패션제품을 기획할 때 감성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이다. 패션 감성은 형태적 요소인 제품 자체와 소재에 의해 나타나므로 패션 감성과 소재자체의 감성은 구분해서 연구해야 한다. 최근 패션 아이템의 다양성이 보편화되면서 과시적 소비의 대상으로 통하던 모피의류는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각자의 개성에 맞게 선택하는 패션 아이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특히 인조 모피 소재는 합리적인 가격과 천연모피와 매우 흡사한 촉감으로 새로운 의류 소재로 각광받는 추세이다. 또한 동물 포획을 비롯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모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비건 패션(Vegan Fashion)의 영향으로 인조 모피는 점차 대중적인 패션 소재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모피소재를 활용한 감각평가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토끼털과 인조토끼털의 주관적 평가와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여 향후 인조 모피 의류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천연모피의 사용을 지양하고 인조모피를 추구하는 제품에 주목하여 환경보호라는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가지고,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련해 천연토끼털과 인조토끼털의 감각평가와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평가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천연/인조 모피 소재의 개념과 모피의 역사, 모피의 구조에 관련하여 조사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천연/인조 토끼털 시료의 감각평가를 진행하였고 분석을 위해 중량, 두께, 공기투과도, 광택, 압축, 접촉온냉감을 측정 후 물성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조토끼털 소재와 천연토끼털 소재의 주관적 평가에서는 외관상 천연토끼털과 인조토끼털 시료의 차이점이 뚜렷하지 않다는 평가가 도출되었다. 물성 실험에서는 접촉온냉감 실험결과 천연토끼털이 인조토끼털에 비해 약간 온감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는 인조토끼털 섬유의 구조적 디자인과 편성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섬유의 광택에 대한 현미경 분석결과에서 모피섬유의 스케일로 인해 천연 토끼털과 인조토끼털 시료에는 미세한 질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조토끼털의 경우에는 제조방법에 기인하여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광택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천연토끼털의 경우에는 스케일의 영향으로 각 스케일 표면의 반사에 의한 불연속적인 광택이 있고 이는 비교적 분산된 부드러운 광택으로 나타나게 된다.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광택감의 정량적 차이를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광택감의 질적인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설문조사가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최근의 패션트렌드 중 비건 패션(Vegan Fashion)의 비중이 점차 부각되는 경향에 부응한 인조 모피 의류 제품의 다양화 및 모피 소재 개발을 위한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As today’s consumers came to enjoy a better quality of life thanks to economic development, they are increasingly looking at emotional aspects of a product instead of only function and quality when making buying decisions. This trend rings truer for fashion items - what is important goes beyond the simple function over to the sensory and emotional images of a product that stimulate consumers by the touch and the sight. These tactile and the visual images are enhancing the added value of the fashion product, which illustrates a trend that has been well observed both by the academia and the fashion industry. Indeed, fashion items are a crucial means of self-expression, of manifesting one’s sentiments, which is why one should always keep the emotional factor in mind when planning a fashion product. At the same time, fashion sensibility manifests itself twofold - in the form of a concrete product and through the fashion material used. Fashion sensibility and emotions of the fashion material, therefore, need to be understood apart from each other as two separate concepts. Fur garment has long been the conventional symbol for luxury, or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as fashion items began to diversify as part of overall fashion trend, fur items are now more about individual taste and style than just lavishness. Synthetic fur is especially emerging as a new promising fashion material, with a touch almost like natural fur at an affordable price. Environmental awareness is also another factor that is changing consumer perception towards fur. As concerns for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poaching grow and trends like ‘Vegan Fashion’ emerge, synthetic fur is establishing itself as a popular fashion textile. In contrast, full-fledged research on sensory and emotional evaluation of fur still remains scant. In recognition of this gap,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subjective evalu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 and synthetic fur, whose results will further serve as basic data in developing synthetic fur materials. This study starts out with an awarenes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s a social responsibility, with a focus on products that try to replace real animal fur with synthetic fur. Keeping the dimens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nd, the study aims to carry out sensory and emotional evaluation on natural and artificial fur, and further compare their physical properti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ets out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 very concepts of natural and synthetic hair are explored, followed by fur fashion trends to date, history and structure of fur. Based on this knowledge, sensory and emotional evaluations are carried out on natural and artificial hair. For analysis, factors such as weight, width, air permeability, gloss and compressibility were surveyed to observe how they influence the physical proper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natural and artificial fur samples do not differ in conspicuous ways in appearance. Experiments on physical properties, specifically warm/cool touch experiment, show that natural fur has a slightly higher warm sensation than artificial fur. It also seems possible, however, to close this gap by modifying the design and weave structure of artificial fur. Gloss analysis conducted with a microscope revealed that there are subtl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fur. The artificial fur sample showed a distinct stream of gloss along the fiber length direction, which can be attributed to faux fur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natural fur has a somewhat discontinued gloss, as it is covered with animal scales that each reflect light on their surfaces. Light dispersing across the surface lends natural fur a milder gloss compared to artificial fur. Dur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subjects found it hard to state distinct quantitative differences in gloss. A survey as a means of assess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gloss seems to be necessary to complement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find many applications, especially with the rise of‘Vegan Fashion’in the diversification of fashion products made from synthetic fur an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synthetic fur materi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A. 모피 3 1. 모피의 개념 3 2. 모피의 역사 8 3. 모피의 종류와 특징 11 B. 감각평가 29 Ⅲ. 연구방법 및 내용 31 A. 시료의 선정 31 B. 실험 32 1. 중량 32 2. 두께 32 3. 공기투과도 32 4. 광택 33 5. 압축 34 6. 접촉온냉감 37 C. 감각평가 38 1. 평가자 38 2. 평가방법 38 3. 분석도구 및 방법 40 Ⅳ. 결과 및 고찰 41 A. 물리적 특성 41 1. 중량 41 2. 두께 42 3. 공기투과도 44 4. 광택 46 5. 압축 53 6. 접촉온냉감 54 B. 감각평가 56 C. 물리적 특성과 감각평가와의 상관성 분석 59 1. 압력 및 두께 측정결과와 감각평가 59 2. 접촉온냉감과 따뜻함과의 상관분석 62 Ⅴ. 결론 63 참고문헌 67 Appendix 1. 설문지 73 Appendix 2. 표면색 75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9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천연/인조 토끼털의 감각평가 및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Artificial Rabbit hairs-
dc.creator.othernameLee, Seon Ah-
dc.format.pagevii, 78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372-
dc.contributor.examiner유혜자-
dc.contributor.examiner박민정-
dc.contributor.examiner김종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