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윤정-
dc.contributor.author이은해-
dc.creator이은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실습의 장점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Dewey의 경험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는 한국 한 사범대학 사회교육전공자들이 작성한 교육실습일지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첫째, 사회과 교육실습의 현황을 분석하고, 둘째, 교육실습경험이 예비교사들의 교직 적성과 교사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지, 셋째, 교육실습의 한계점 및 보완해야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3년간 교육실습을 경험한 사회과 예비교사 286명이 작성한 실습일지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Dewey의 경험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연구대상학교의 교육실습 목표를 분석의 틀로 삼아 총 22,253장의 분량의 교육실습일지를 분석한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교육실습, 예비교사, 사회과 교사교육;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Framed by theory of experience, this study chose one college of education and its student teaching program and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what preservice social studiees tea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tudent teaching programs were, (b) if and how they were able to learn, develop, and reflect on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experiences, and (c) what drawbacks were noticed in such service learning programs. This qualitative research analyzed reflective essays that were written by 286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ver the course of the past three years (2012-2014).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generating further discussion on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udent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Key words: Student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5 1. 이론적 배경 5 2. 선행 연구 7 Ⅲ. 연구 방법 11 1.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 11 2. 질적 자료의 정리와 지표화 15 3.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현황과 유형 16 Ⅳ. 연구 결과 21 1. 사회과 교육실습의 긍정적 효과 21 가. 사회과 수업참관을 통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이해 21 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한 반성적 성찰 27 다. 교직 및 교사의 다양한 역할의 현실적 이해 및 체험 31 라. 학생 상담을 통한 학습자에 대한 이해 고취 35 2. 사회과 교육실습의 한계점 39 가. 사회과에서 강조되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없는 상황과 제도 39 나. 사회과 교사양성 프로그램과 교육현장의 괴리와 교육현장의 현실 순응 42 다. 교육실습생을 예비교사로 인정하지 않는 학교 현장의 분위기 46 Ⅴ.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72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실습의 장점과 한계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일지 질적 분석-
dc.title.translatedPossibilities and limits of Student Teaching : Qualitative Research About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dc.creator.othernameLee, Eunhae-
dc.format.pageiii, 54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75-
dc.contributor.examiner김성훈-
dc.contributor.examiner최민식-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