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조주영-
dc.creator조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5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584-
dc.description.abstractThe key words 'city brand' began to appear for growing up as a international world-class city. People were interested in developing their city brand by the advance of local autonomy government period at late 1990's in this country. And the visual elements of the city brand like brand slogan, symbol and character etc., which have symbolic images of the local identity and vision, were begun to be introduced. Many cities in the country have developed city brand competitively, and many city brand related studies began to appear along with this. In this time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that the city brand pursuit and the color associated image to express color effectively as a visual element which is fit for the purpose of the city brand. So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urrent state of the city brand of 6 biggest domestic metropolitan cities and performed verifica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the city brand pursuit and the color along with theoretical research. The current state of the city brand(pursuing image, color), the associated color about pursuing image, and associated image about current color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in combin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below. First, the result of I.R.I image scale analysis about the city brand of 6 biggest metropolitan citie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ng image and the color in the symbol and slogan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slogan of ulsan metropolitan city is great. But the result shows other city brands have small or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ng image and the color. Second,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of the association image analysis about the city brand color and the association color analysis about the image the city brand pursuits shows that most of the cities use colors which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images the city brands pursuit. It is because, in most of the city brands, they don't use other colors rather than limited and standardized colors, because they consider only the clearness in vision and attraction without thinking about nature of the color. Third, the association of 4 colors, red, yellow, blue and green, appeared high according to the adjective images the city brands pursuit.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of frequent use of primary colors as association color is because the secondary colors(Y50R, R50B, B50G, G50Y) were less developed for human emotion than the primary colors. And the association appeared high in vivid, strong and bright tone according to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 It is because there are lots of positive, bright and active images in their pursuing image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ity brand. Fourth, there are difference of influence by the color and the tone according to the images the city brand pursuits. If the colors are applied to the pursuing imag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the color and the tone like this, I think the images with similar meanings would have differentiation. The color is important expressing element in the city brand because it has a delivery function as a visual language with stronger expressing ability than a form. But as we could recognize in this study, the color is being meaninglessly and indiscriminately used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of color in most of the city brands. And the association colo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ursuing image was appeared as biased, because the pursuing images of the cities are similar. So if the image with which the city's identity could be expressed is established first and use colors appropriate to that image, a quicker recognition and easier recollection would be possible due to reduced recognition interference, and it would be a city brand different from other cities.;대외적으로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도시브랜드’란 키워드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국내의 도시브랜드 개발은 1990년대 후반 지방자치시대의 도래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그 지역의 정체성과 비전을 함축하고 있는 상징적 이미지인 브랜드 슬로건, 심벌, 캐릭터 등의 도시브랜드의 시각적 요소들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의 많은 도시들은 앞 다투어 도시브랜드 개발을 해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들도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의 목적에 맞는 시각적 요소로서 색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연상이미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국내 6대 광역시 도시브랜드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브랜드 현황(추구하는 이미지, 색채)과 추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상색채, 현황색채에 대한 연상이미지를 각각 조사 분석하고 종합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6대광역시 도시브랜드의 I.R.I 이미지 스케일 분석 결과 국내 6대광역시 중 대구광역시 심벌과 슬로건 , 부산광역시 심벌과 슬로건, 울산광역시 슬로건은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의 도시브랜드는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의 연관성이 적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브랜드 색채에 대한 연상이미지 분석과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상색채 분석을 비교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대부분의 도시브랜드는 추구하는 이미지와 연관성 없는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도시브랜드에서 색채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한정된 색채만으로 명시성과 주목성만을 고려하여 획일화 된 색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형용사 이미지에 따라 red, yellow, blue, green 4가지 색상의 연상이 높게 나타났다. 원색이 연상 색으로 높게 나타남은 이차색(Y50R, R50B, B50G, G50Y)이 사람들의 감성에 원색에 비해 덜 발달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vivid, strong, bright 톤에서 연상이 높게 나타났다. 도시브랜드의 특성상 추구하는 이미지들이 긍정적이고, 밝고, 동적인 의미들이 많기 때문이다. 넷째, 도시브랜드의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색상과 톤에 의한 영향의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색상과 톤에 의한 영향의 차이를 고려하여 색을 적용한다면 각 도시브랜드마다 유사한 이미지들을 추구하더라도 다른 도시와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색채는 형태보다 표현력이 강한 시각언어로서의 전달 기능을 가지고 있어 도시브랜드에서 색채는 중요한 표현요소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도시브랜드는 이러한 색채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의미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시별로 추구하는 이미지가 유사하여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른 연상색채 특성도 편향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각 도시만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를 먼저 구축하고, 그 이미지에 부합하는 색채를 사용한다면 인지적 간섭이 적어짐으로 보다 더 빨리 인지하고 기억하기 쉬우며 다른 도시와의 차별성 있는 도시브랜드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도시브랜드와 색채의 연상이미지 4 A. 도시브랜드 4 1. 도시브랜드의 개념 4 2. 도시브랜드의 시각적 구성요소 5 3. 국외 도시브랜드 사례 7 B. 색채의 연상과 이미지 9 C. 도시브랜드 색채 11 1. 도시브랜드 색채의 기능 11 2. 도시브랜드 색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1 Ⅲ. 도시브랜드 색채와 연상이미지의 연관성 15 A. 국내 도시브랜드의 추구하는 이미지와 색채 15 B. 조사 방법 28 1. 조사 과정 및 분석 방법 29 Ⅳ. 도시브랜드 색채와 연상이미지의 연관성 조사 분석 38 A. 도시브랜드 색채에 대한 연상이미지 분석 결과 38 1. 단색에 대한 분석 결과 38 2. 배색에 대한 분석 결과 43 3. 현황과의 비교 분석 47 B. 도시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상색채 분석 결과 52 1. 연상색채 분석 결과 52 2. 현황색채와 연상색채와의 비교 분석 67 D. 분석 결과 요약 94 Ⅴ. 결론 및 제언 98 참고문헌 102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40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도시브랜드 색채와 연상이미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내 6대 광역시 심벌과 슬로건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ity brand colors and associated images : Focused on symbols and slogans of 6 biggest domestic metropolitan cities-
dc.creator.othernameCho, Ju Young-
dc.format.pageix, 103 p.-
dc.contributor.examiner박영경-
dc.contributor.examiner길영란-
dc.contributor.examiner이선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