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순-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reator김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87-
dc.description.abstractStaring at something starts from observation, being a germination point of thinking and creation. Daily objects existing around us are one of the things that we see, and how they are treated depends on the viewer’s aspect and attitude. Since artists used to be inspired by staring at daily objects, objects reveal some meanings more than their original function in art history, as subject matters and materials of artworks. Daily objects sharing every moment of the life are the subject of ‘staring’for me, being a beginning of this study. I stared at surrounding objects deep down and silently, ever without all the distracted thoughts. As I concentrated on one object, my eyes stayed at the surface of the subject and reacted greatly on external tiny changes. It was the time to see ‘the existence itself’of the object, one step further from seeing the object just as an instrumental use or a thing some invisible meaning is involved. Once I contemplate the object free from all the restless thoughts, I could see even more than when I used it. This work is on purpose of presenting the daily objects I perceive around, and focuses on studying about the expression technique. Among numerous surrounding objects, I chose the things that exist in the place I usually stay and that share the moment of my special experience. The perception that came from staring the object was not forgotten easily, and especially the impressive distinctive parts of the object and the least form that enables the object to be recognized as itself remained clear. Accordingly I presented the actual object and its afterimage through‘wire drawing.’ As drawing is a technique that makes the artist’s inspiration revealed most directly, I could express the perceived object in most similar way. In addition, wire was an effective material to present the image floating as an afterimage in three-dimensional space. I made up the figure of the object by banding, connecting and cutting off the wire slowly with hands. Such process aroused the sensation of the moment I stared at the actual object, which made me able to face it once again. My work of wire drawing is installed at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object is likely to be in three-dimensional space, letting only the essential points fixed. With the color of the object disappeared and a blank space left, the work consisting only of lines appears much clear. Furthermore, the shadow made by the gap between the wire and the background and the change of light reveals variability of impression on the object and it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image which seems to be floating as afterimages changing over time. As a result, the space of presenting the surrounding daily objects I perceived appears. ;무언가를 바라보는 행위는 관찰에서 시작되어, 사유와 창조의 발아점이 된다. 주변에 존재하는 일상의 사물은 우리가 바라보는 것들 중 하나로, 이것은 주체자의 관점과 태도에 따라 다양하게 다뤄진다. 예술가들도 일상사물을 바라보며 영감을 얻곤 하기에, 미술사에서 사물은 작품의 소재 및 재료로써, 그것이 지닌 본래의 기능 그 이상의 의미를 발현하고 있다. 삶의 매 순간에 함께하는 일상사물은 본인에게 ‘바라봄’의 대상이자, 본 연구 작업의 시작이 된다. 산란한 모든 생각을 일체 그치고, 깊고 고요하게 주변의 일상사물을 그저 바라보았다. 하나의 사물에 집중할수록, 본인의 시선은 대상의 표면에 머물며, 외형의 미세한 변화에 크게 반응했다. 이것은 사물을 도구적인 쓰임새나, 비가시적인 의미가 이입된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에서 나아가, 사물의 ‘존재 그 자체’를 바라보는 시간이었다. 무념의 상태에서 사물을 관조할 때면, 대상을 사용하고 있을 때보다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작업은 본인이 지각한 주변의 일상사물에 대한 현시를 목적으로 하며, 그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주변에 있는 수많은 일상사물들 중, 본인이 주로 머무는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과 특별한 경험의 순간을 함께한 사물을 선택하였다. 사물을 바라보며 지각한 것은 쉽게 잊히지 않았고, 그 중 대상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특징적인 부분과 대상이 대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최소한의 모습은 선명하게 남아있었다. 이에 본인은 실제 대상과 잔상을 함께 쫓아 이를 ‘철사 드로잉’으로 현시하였다. 드로잉은 예술가의 영감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기법으로, 본인이 지각한 사물을 최대한 유사하게 표현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철사는 잔상으로 유영하는 이미지를 3차원의 공간에 나타낼 수 있는 효과적인 재료였다. 천천히 두 손으로 철사를 굽히고, 엮고, 끊어내며 사물의 상을 만들어 나갔다. 이러한 과정은 실제 대상을 바라보았던 당시의 감각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다시 한 번 대상과 본인이 마주할 수 있는 순간이었다. 이렇게 제작된 작품은 3차원의 공간에 실제 대상이 있음직한 위치에, 꼭 필요한 지점만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사물의 색(色)이 사라지고, 여백이 드러남으로써 선으로만 이루어진 대상이 더욱 더 선명하게 보인다. 또한, 철사와 배경 사이에 떠 있는 간격의 차이와 그 공간에 광선의 변화로 드리워지는 그림자는 사물의 인상에 대한 가변성을 드러내며, 이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잔상으로 유영하는 듯한 이미지의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본인이 지각한 주변의 일상사물에 대한 현시로서의 공간이 나타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미술사에 나타난 일상사물 3 Ⅲ. 작업의 전개 11 A. 관조적 시선으로 바라본 주변의 일상사물 11 B. 철사 드로잉 13 Ⅳ. 작품 표현 및 분석 17 Ⅴ. 결론 37 참고문헌 39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99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관조적 시선으로 바라본 주변의 일상사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aily Objects stared with Contemplative View-
dc.creator.othernameKim, Su hyun-
dc.format.pagev, 42 p.-
dc.contributor.examiner원인종-
dc.contributor.examiner박일순-
dc.contributor.examiner김종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