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Title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lysemy Textbook Development Plan Utilizing
Authors
김승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는 다의어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 구성 방안 마련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단어의 의미는 대부분 다의적이며 어휘력의 향상과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의 바탕이 되는 다의어 교육은 학습자에게 필수적인 내용 요소이다. 그러나 다의어 교육은 양적·질적으로 충분하게 다루어지지 않으며, 다의어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자료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고는 이야기를 활용하여 다의어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동기를 구성하고 다의어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다의어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의어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국어교육의 내용 요소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양적 ·질적으로 내용이 미흡한 현실이며, 단편적인 개념 기술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어렵고 단편적인 문법 지식을 암기하고 있는 학습자에게 맥락을 통한 다의어 교육 내용의 학습 이해와 학습동기 유발의 방안으로 이야기에 주목하여 교육 자료의 방안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문식성의 변화로 문법 교재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는 학습자의 사고 및 활동을 자극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본고는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Ⅲ장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한 기존 다의어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존 다의어 교재는 비제도권 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하여 출간된 책을 바탕으로 네 권을 선정하여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주제와 소재의 설정, 학습자의 동일시를 고려한 캐릭터 선정, 이야기의 개요와 지식의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교재 구성 방식, 이야기의 표현 형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주제와 캐릭터를 선정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라 학습 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등학습자를 위한 교재의 필요성을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의 실제 예시를 구성하였다. 다의어 교재의 구성 방안은 다의어의 의미에 따른 교재 내용을 선정한 것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활용한 다의어 교재 구성의 예시를 내용과 형식으로 나누어 구성하고자 한다. 앞장에서 분석한 방법과 동일하게 내용적 측면에서 다의어 지식 내용을 이야기로 구성할 때 주제와 소재를 선정하고 학습자의 동일시를 고려한 캐릭터 선정, 이야기의 개요와 다의어 지식을 구성하여 이야기를 제시하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이야기 표현의 형식에 따라 만화, 광고, 소설 등 다양한 표현 요소의 특징을 바탕으로 교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제작한 이야기 예시를 바탕으로 본문 텍스트와 학습활동 텍스트를 구성해 실제 수업의 주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다의어 교육이 다양한 이야기 표현 형식으로 구현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위해서는 문법 교육자와 전문적인 이야기 작가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다의어 지식의 특성과 이야기가 결합된 교재 구성 방안을 통해 다의어 교육의 다양한 학습 방법과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고 문법 교육에서 이야기 활용이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develop plans for polysemy textbook organization that utilizes narratives to promote interest and learning motivation for the learners in the field of polysemy education. The meanings of terms usually have multiple dimensions and polysemy education which becomes a foundation of the enhancing vocabulary and ability to use Korean is one of the essential education contents. However, polysemy education has not bee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ealt with in the previous studies. That is why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ysemy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plans to supplement such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values of polysemy education and plans for textbook organization in which polysemy knowledge can be constructed by learners themselves. Since polysemy improves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nd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learners,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a part of content ele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narratives as a means of educational materials to foster lear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motivation through contexts for learners who tend to only memorize partial and complicated grammar. Lots of changes have been made in grammar textbooks, such as the changes of literacy. Therefore, polysemy textbooks utilizing narratives are expected to stimulate the thoughts and activities of learners. Moreover, the plans which can be utilized as a main textbook of actual classes were prepared by developing content texts and texts for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narrative examples produc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 doing so, it was proved that polysemy education can be realized by various narrative expression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ighten the importance and various learning ways for polysemy through the organizational plans for texts with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olysemy knowledge and narrativ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fact that utilizing narratives has great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