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93 Download: 0

고전소설 속 죽음의 의미 탐구를 통한 문학교육 내용 연구

Title
고전소설 속 죽음의 의미 탐구를 통한 문학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al based on Meaning of the Death in Korean Classical Novels
Authors
강수빈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literature education method to help adolescents who usually do not have clear recognition between life and death, starting from a statistical data that suicide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among adolescents in Korea for several years. For adolescents in the phase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school education has emphasized knowledge education rather than the cultivation of values and attitude. Thus, it is assumed that school education direction in the future should seek to shift wrong values of learners and guide them to become healthy members of our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ducational investigations related to death in novels tend to focus on contemporary writers and contemporary works through reviewing the existing studies.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history which has been grounded on classical novel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research related to death in classical novels was insufficient. However, death in classical novels are significant texts to be newly interpreted from contemporary perspective, since the majority of classical novels with chronicle structures revealing the life and death of their main characters contain the viewpoints of ancient people at that time. In this sen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ath in classical novels included in school textbooks and discussed the consequent plans for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In Chapter Ⅱ,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 utilizing death in literature classes by analyzing 11 type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2012-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lso, this study classifi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ath in classical novels into cognitive aspects and definitive aspects to conduct preliminary analysis on 7 classical novels,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In Chapter Ⅲ, the implications and value of death in 7 classical novels included in literature textbooks were explored. The death in the novels was classified into ‘the devise of ordeal as a rite of passage’, ‘the resistance against social norms·regulations’, ‘the realization of people’s aspiration through punishment of the evildoers’, and were selected to present the death and revival as ‘the devise of ordeal as a rite of passage’, Regarding overcoming the crisis of death and exercising the willingness to survive and were selected. The death as ‘the resistance against social norms· regulation’ corresponded to women’s suicide. Several classical nove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ir suicide. The suicide by traditional marriage proceedings and fidelity appeared in . The suicide due to the position as a court lady and the restriction of freedom appeared in .
  • presented the death for chastity as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in spite of the ideology of free love. The death of evildoers appeared in Korean classical novels was interpreted as ‘the realization of people’s aspiration through punishment of evildoers’, Through the death of evildoers, and showed the criticism against corrupted officials and disloyal subjects. and criticized the irrationality of wife-and-concubine system. In Chapter Ⅳ, the aspects of characters’ reactions to the death of sub-charact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to the reactions of Simbongsa in who showed the willingness to survive against all odds, Ok Dan Choon in who showed the commitment and belief for an individual, court ladies in who refused to obey ultimate authorities by using statement, Li Saeng in
  • who died from lovesick and sorrow, this study explored a variety of aspects of characters’ reactions to the death of evildoers. Based on the aspects explained above and the implications and value of death in classical novels in Chapter Ⅲ, this study generated the educational contents to cultivate the values and attitudes of learners and literature knowledge. In the case of literature knowledge, the meaning investigation of death in novels enabled the understandings of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novels, topic analysis, the authors’ thoughts and perspectives on death and life. In the case of cultivating values and attitudes of learners, learners could establish their own values by comparing the death and reactionary methods of characters in classical novels to the actual aspects of learners. Furthermore, learners could foster the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actual problems similar to the circumstances in the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ethods to overcome grief due to death. The study on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meanings of death in Korean classical novels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develops the discussions on literature knowledge and values and attitude a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death in classical novels which have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Second,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lan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life directions and the formation of values of learners through the death and reactionary methods of characters in classical novels. Third, this study attempts to comprehend the topics of death in classical novels in a variety of dimensions and to find educational value. Keywords: Korean classical novel, death, death in classical novels,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본고는 수년간 한국 청소년들의 사망 원인 1위를 고수해온 원인이 자살이라는 통계에서 착안하여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불명확한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학교육 방안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시기의 청소년들에게 학교교육은 가치관과 태도 함양에 앞서 지식 교육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학교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학습자들의 그릇된 가치관을 전환시키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문학작품 속 죽음과 관련한 교육 연구는 현대 작가와 작품에 치우친 경향이 있음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사가 고전소설을 기반으로 그 기초를 닦은 데 비해 고전소설 속 죽음과 관련한 교육적 활용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고전소설은 인물의 삶과 죽음이 드러나는 일대기적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당대 조상들의 가치관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소설 속 죽음은 현대의 관점에서 새롭게 받아들이기에 유의미한 텍스트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속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2012 개정 교육과정과 11종의 문학 교과서를 통해 문학 수업 시간에 문학작품 속 죽음을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불어 고전소설 속 죽음의 교육적 가치를 인지적·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함으로써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일곱 개의 고전소설 작품에 대한 분석의 예비적 고찰로 삼았다. Ⅲ장에서는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일곱 작품에 등장하는 죽음의 문학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 다루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죽음을 ‘통과의례적 시련의 장치’, ‘사회적 통념·규제에 대한 저항’, ‘악인의 처벌을 통한 민중들의 욕구 실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통과의례적 시련의 장치’로서의 죽음과 재생(再生)이 동시에 나타나는 작품으로 <심청전>·<장화홍련전>을,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고 생(生)의 의지를 다잡는 작품에는 <옥단춘전>·<조웅전>을 선정하였다. ‘사회적 통념·규제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죽음에는 여성들의 자살이 해당되며, 자살의 원인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였다. 육례(六禮)와 정절이라는 사회적 이념에 의한 자살로는 <숙영낭자전>, 궁녀의 직분과 자유의 제약으로 인한 자살이 등장하는 작품에는 <운영전>, 자유연애 사상을 드러내면서도 유교 이념인 정절을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작품으로는 <이생규장전>이 있다.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악인의 죽음은 ‘악인의 처벌을 통한 민중들의 욕구 실현’으로 바라보았다. 악인의 죽음을 통해 <옥단춘전>·<조웅전>은 탐관오리 및 간신에 대한 비판을, <장화홍련전>·<숙영낭자전>은 처첩 제도의 불합리성에 대한 비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Ⅳ장에서는 주변인의 죽음에 대처하는 인물들의 대응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련에 굴하지 않는 생활력을 보여준 <심청전>의 심봉사, 개인에 대한 믿음과 헌신을 보이는 <옥단춘전>의 옥단춘, 초사(招辭)를 통해 절대 권력에 대항하는 <운영전>의 궁녀들, 이별의 슬픔을 이기지 못해 비탄에 빠져 죽는 <이생규장전>의 이생과 더불어 악인의 죽음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인물들의 모습과 Ⅲ장에서 살펴본 고전소설 속 죽음의 문학적 의미와 가치를 토대로 문학 지식 교육 및 학습자들의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문학 지식의 경우 작품 속 죽음의 의미 탐구를 통해 작품의 전개 및 구조, 주제 분석, 작가의 사상과 사생관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학습자의 가치와 태도 함양의 경우 고전소설 속 등장인물의 죽음과 대응 방식을 통해 현실의 내 모습과 비교하며 학습자 스스로 삶의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다. 더불어 작품을 통해 죽음으로 인한 비탄의 감정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하며 작품 속 상황과 유사한 현실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가능하다. 고전소설 속 죽음의 의미 탐구를 통한 문학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고전소설 속 죽음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서 문학 지식과 가치 및 태도 측면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둘째, 고전소설 속 인물의 죽음 및 대응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가치관 형성과 삶의 방향성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고전소설 속 죽음이라는 제재를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하고 그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키워드 : 고전소설, 죽음, 고전소설 속 죽음, 고전문학교육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