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문지희-
dc.creator문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 교육의 장에서 중요한 교육재로 쓰이고 있는 문법교과서의 예시텍스트 표상 특성을 사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문법은 국어과 타 영역과 달리, 언어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는 영역의 특성으로 인해 설명문이라는 일관된 방식으로 교재화 되어 왔다. 문법교육은 국어교육에서 지향하는 올바른 언어생활과 언어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수적으로 교육되고 학습해야 할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에게 외면 받아온 면이 있다. 학습자들이 문법 과목을 싫어하거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에 대해, 그간의 문법교육이 걸어온 길을 되짚어 봄으로써 문법교과서의 설명 방식이나 내용의 문제는 없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과서의 본문텍스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법 내용 지식을 언어적 실현태로 표상하는 예시텍스트에 주목하였다. Ⅱ장의 A절에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예시텍스트 개념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본고에서 재개념화 한 예시텍스트는 ‘예시문’, ‘예문’, ‘예문텍스트’ 등으로 문(文), 즉 언어자료로만 한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 문식성의 변화와 검정교과서의 경쟁구도 하에서 문법 내용 지식을 표상하고 있는 예시텍스트의 형식이 언어자료 외에 비언어자료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Ⅱ장에서 예시텍스트 재개념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재개념화 내용을 정리하였다. Ⅱ장의 B절에서는 재개념화한 예시텍스트의 기능, 범주, 조건을 상세화 하고, 표상 내용 및 형식의 범주화를 통해 Ⅲ장의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 분석을 하기에 앞서 형식도 내용의 일부라는 선행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에 따라, 표상의 형식 범주에 분석 기준의 방점을 찍고 역대 고등학교 문법교과서의 예시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문법 교육 내용을 표상하는 방식은 설명문으로 일관하고 있던 시기도 있었고,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문법교과서 부터는 표상의 다양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형식 범주의 예시텍스트가 본문에 실리고 있었다. 이를 시작으로 검정 시기의 문법교과서에서는 표상의 다양화가 일반화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형식으로 문법 교육 내용을 표상하고 있었다. 또한 출판사별 표상의 특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 출판사의 시기별 변화 양상도 살필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법교과서의 내용 선정 방안과 표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내용 선정에 있어서는 본문에 수록된 예시텍스트가 교육 내용을 적절한 양으로 담아낼 수 있어야 할 것,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의 선정, 실제 언어자료를 활용하는 것과 자연적 예시텍스트를 보다 많이 활용하여 실제성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내용 선정이 문법 교육 내용의 ‘무엇을’ 에 해당한다면, 표상 방안은 선정된 내용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시텍스트의 형식 범주에 해당하는 단일/복합/통합 기호적 텍스트의 균형 있는 표상과 학습자의 가독성을 고려한 예시텍스트의 판짜기, 타이포그라피와 같은 표상의 형식적인 측면까지 고려해야할 점으로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example texts of grammar textbooks utilized as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field of grammar education. Unlike other Korean language subjects, grammar textbooks have been characterized as descriptive texts in a uniform way to teach linguistic knowledge. Although grammar education should be essentially educated and learned in order to cultivate correct linguistic usage and linguistic competence orient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tends to be alienated from learners. Regarding the phenomenon of the learners’ dislike or difficulties in the grammar subje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 problems of the explanations or the contents in grammar textbooks exist by exploring the history of previous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example texts in order to represent the grammar content knowledge into linguistic realization suggested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xample texts examined by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in Section A, Chapter Ⅱ, the example texts reconceptualiz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text materials(文) such as ‘example sentence’, ‘sample sentence’, etc. However,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the example texts and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reconceptualization, focusing on a variety of utilization of non-written materials in the formats of example texts representing the grammar content knowledge with the changes of learners’ literacy and the competitive circumstances of authorized textbooks. In Chapter Ⅳ, the plans for content selection of grammar textbooks and representa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rom Chapter Ⅲ. Regarding the content selection, the following plans were suggested: the example texts in the textbooks should contai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appropriate amount. The contents that can inspire the interest of learners should be selected. The reality should be contained by utilizing actual linguistic materials and natural example texts more. Given that the content selection corresponds to ‘what’ the grammar education content is, the representational method deals with ‘how’ to contain the selected cont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balanced representation of single/combined/integrated symbolic texts belonging to the format categories of the example texts, the framework of example texts considering the readability of learners and the formal aspects of representation such as typograp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9 Ⅱ. 문법교육용 예시텍스트에 대한 이론적 검토 14 A. 문법교육 예시텍스트의 재개념화 14 1. 문법교육 예시텍스트의 개념화 양상 14 2. 문법교육용 예시텍스트 재개념화의 필요성 17 3. 문법교육용 예시텍스트의 재개념화 내용 20 B. 재개념화에 따른 문법교육용 예시텍스트의 기능, 범주 및 조건의 상세화 23 1. 문법 내용 지식의 이해를 통한 학습동기 향상의 기능 23 2. 예시텍스트의 표상 형식 및 내용 범주 25 3. 예시텍스트 재개념화에 따른 조건 30 Ⅲ. 역대 고등학교 문법교과서의 예시텍스트 사적 변천 양상 분석 38 A. 고등학교 문법교과서 예시텍스트 분석의 관점과 기준 설정 38 1. 예시텍스트 분석을 위한 기본 관점 설정 38 2. 문법교육내용의 표상 범주화를 통한 예시텍스트 분석기준 설정 42 B. 예시텍스트의 표상 특성에 따른 변천 양상 분석 44 1. 국정 시기의 문법교과서 44 2. 검정 시기의 문법교과서 50 Ⅳ. 문법교과서 예시텍스트의 내용 선정 및 표상 방안 모색 66 A. 내용 선정 방안 66 1. 적절한 양의 문법 교육 내용 수록 68 2.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예시텍스트 70 3. 실제성을 가진 예시텍스트 73 B. 표상 방안 75 1. 표상 형식의 다양화 76 2. 가독성을 고려한 표상 전략 79 Ⅴ. 결론 83 참고문헌 85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12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고등학교 문법교과서 예시텍스트의 사적 변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example texts in grammar textbooks in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Moon, Ji Hee-
dc.format.pagevi, 90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63-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