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사랑-
dc.creator김사랑-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44-
dc.description.abstractAn interrogative sentence refers to a form of sentence that invokes answers from listeners often by asking questions. A rhetorical question, as a special form of interrogative sentences, has grammatically the structure of a question but is not designed to elicit responses. In otherwords, although they use interrogative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are being differentiated from true questions in utterance meaning. Unlike 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are frequently used as communicative devices to make an assertion, emphasize, or to gain agreement. In this regard, the main function of a rhetorical question is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s and not to require a direct answer. Moreover, in many cases, rhetorical questions have multiple purpos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utterance. Since rhetorical questions are embedded within a context of utterance, it is important for both speakers and listeners to understand the utterance contexts when it comes to interpreting rhetorical questions. In general, the context of utterance consist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of contexts that speaker and listeners mutually share. In spite of overt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utterance, rhetorical questions have not been treated differently from interrogative sentences by the current practices of teaching grammar. Furthermore, rhetorical questions have been taught with less focus on the context of utterance. In this sense, the aim of the current thesis is two-fold: 1) to explore the use of rhetorical questions in mass media (e.g., TV, film, radio)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and 2) to analyze ten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in relation to methods for teaching rhetorical questions. Finally, some general advice for educating rhetorical questions will be discussed.;화자가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청자로 하여금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 유형을 의문문이라 한다. 그러나 서법 형태는 의문문이나 발화 의미는 물음이 아닌 의문문의 유형이 있다. 특수 의문문 또는 수사 의문문이 그것이다. 수사의문문은 형태적으로 의문문의 형식을 가지나, 질문의 기능을 담당하는 순수의문문과는 달리 정보획득을 목적으로 하거나 상대방의 대답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이에 담화 상황에서의 수사의문문 발화는 더 효과적인 의사 전달을 위한 수사적 표현 전략 중의 하나로 자주 등장한다. 특히 구어담화에서의 수사의문문은 담화 장면에 의해 발화 의미가 좌우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 모두 화맥(context)을 읽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담화에는 전제, 가정, 장면과 같은 담화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화용적 맥락 요소가 포함되며 이는 담화참여자 간의 공유하는 배경지식이 된다. 수사적 화행으로서의 수사의문문은 발화 기능 및 의미 해석에 화용적 맥락 요소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므로 담화참여자 간의 화맥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처리 양상을 살펴보면 수사의문문의 상황적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기술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는 주로 문장의 종결표현에 그 기능이 국한하여 기술하거나 아예 하나의 문법지식으로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정확히 짚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비롯하여 실제적인 국어생활과 문법지식 간에 간극을 줄이고자,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수사의문문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 내용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수사의문문 교육내용 기술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구어담화에서의 수사의문문 실현 양상을 분석하고 화용적 맥락 요소에 따른 수사의문문의 수사적 효과 및 발화 기능을 고찰한다. 먼저 수사의문문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수사의문문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였다. 수사의문문의 상위범주인 의문문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이론을 살펴 본고에서 다루는 수사의문문의 전반적인 이론을 재정의하였다. 이에 맥락을 통한 수사의문문의 다양한 발화 의미에 따라 그 개념과 기능을 살펴보고, 그 기능을 ‘강조’, ‘의심’, ‘감탄’, ‘비꼼/비난’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수사의문문의 유형을 네가지 의미 기능을 기준으로 ‘강조형’, ‘확인형’, ‘반복형’, ‘단언형’, ‘추측형’, ‘비동의형’, ‘감탄형’, ‘반어형’으로 세분화하여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고에서 정리한 수사의문문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구어담화에서의 수사의문문 실현 양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실제 담화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 행위를 들여다볼 수 있는 텔레비전, 영화 그리고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구어담화 자료 30편을 선정하였다. 수사의문문은 화맥에 따라 특정한 발화 전략으로 사용되므로 1) 논지 강화 발화 전략 2) 동의 촉진 발화 전략 3) 복수 기능의 발화 전략으로 설정하며, 수사의문문 발화 전략의 실현 양상 분석을 위한 화맥의 기본 요소는 담화 상황에 필수적인 담화의 물리적 장면, 화자(발화의도), 청자(청자의 유형)로 구분하였다. 화자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상대방에게 강조하여 전달하고자 수사적 질문을 통해 발화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게 드러 났으며, 세부적인 화용적 맥락 요소에 따라 수사의문문 발화 전략 또한 다양한 양상으로 실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사의문문의 발화 전략적 특징을 정리하자면 수사의문문은 상대방의 대답 혹은 반응을 기대하지 않는 형식적 물음으로 내용면에서 단언의 진술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자신의 논지를 강화하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재촉하여 자신의 의견에 대한 상대방의 반박 반응을 제한할 수 있는 발화 전략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아울러 장면에 따라 하나의 수사의문문이 두 개 이상의 발화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어 효과적인 표현 전략으로 작용하며 단언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문의 형태로 발화되기 때문에 청자의 체면 위협을 완화시킨다는 점에서 예절 전략의 발화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기술의 처리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화맥을 고려한 수사의문문 교육 내용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에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를 밝히며 학교문법에서 수사의문문의 처리 양상의 몇 가지 문제점에 주목하여 담화 차원의 문법지식으로서의 수사의문문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기술하였다. 문법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은 학습자로 하여금 정확한 문법지식을 밑바탕으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문법교육에서 다루는 문법지식은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표현 능력과 상대방의 발화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담화차원의 문법지식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국어교육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수사의문문의 문법지식에 대하여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기술을 검토하고 실제 국어생활을 반영한 재정립의 방향 모색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선행 연구 4 C. 연구의 내용과 방법 10 Ⅱ. 이론적 배경 12 A. 의문문의 개념과 유형 12 1. 의문문의 개념: 형식과 내용 12 2. 의문문의 유형 22 B. 수사의문문의 개념과 화용 의미 28 1. 수사의문문의 개념과 범주 29 2. 화맥과 수사의문문의 의미 46 Ⅲ. 구어담화에서의 수사의문문 사용 조사 및 분석 54 A. 자료수집 대상과 분석 방법 54 B. 화맥에 따른 수사의문문 발화 전략 실현 양상 62 1. 양상 분석을 위한 화맥의 기본 요소 설정 62 C. 분석결과 66 Ⅳ. 화맥을 고려한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 방향 85 A.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처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85 1.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기술 양상 85 2.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기술의 문제점 96 B.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 방향 제시 99 1. 수사의문문의 교육적 의의 99 2.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기술의 기본 원칙 101 C.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 재구성 106 1.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의 내용 106 2. 학교문법의 수사의문문 교육의 방법 110 Ⅴ. 결론 및 논의 115 참고문헌 119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96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화맥을 고려한 수사의문문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25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