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혼합 연구 방법을 통해 본 협력적 글쓰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혼합 연구 방법을 통해 본 협력적 글쓰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Mixed Methods Study of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Writing on Chinese Learners' Korean Writing Ability
Authors
CONG, Ni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which level of Chinese learners' proficiency and how intimacy among learners are influenced most by collaborative writing, respectively by observing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of Chinese learners who studies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analyzing its result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suggested with its composition. In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a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nd reviewed. Firstly, the relevant theorie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are reviewed. Secon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writing are arranged. The elements such as process, team composition, and teacher's role in collaborative writing are also defined. Third, the theories related to writing tasks and activities are described. Fourth, theories about learners' writing output ability are also explained. And fifth, mixed methods suitable to this study are reviewed. In Chapter III, for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the participant, research instruments, and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are figured out, and the research instruments and sources such as consent sheet, questionnaire sheet, and writing task sheet used for the study procedure and experiment process, interview sources, and transcription data from recording ar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how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experiment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re also explained. In Chapter IV,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a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earch results on 72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of writing outputs between groups with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and those with personal writings. In the collaborative group, every aspect including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shows more excellent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For complexit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fluency and accurac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in Korean teachers' grading results, the collaborative group have higher point in every standard such as contents, structure, vocabularies, grammars, spelling as well as total point. Statistic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That is, collaborative writing has very positive influences on the outputs of Chinese learners' writing ability in Korean Language. Second, as a result to analyze fluency of writing outputs by proficiency, whether to collaborate does not affect advanced group as much as basic and intermediate groups. The result to analyze complexity by proficiency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collaborative and control groups. However,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to analyze accuracy by proficiency, basic and intermediate collaborative and control groups show very huge differences in accuracy. But for advanced learners, collaborative writing does not affect accuracy in wri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grades by Korean teachers' evaluation by proficiency, all three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collaborative groups have higher grades than their counterpart control groups. Third, when analyzing fluency according to intimacy, all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create more phrases and use more clauses during writing tasks as they are closer. As a result to analyze complexity of writing outputs,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intimacy are not huge. For accuracy, if proficiency level is basic, in every standard, group with higher intimacy shows higher accuracy in writing output than that with lower intimacy. In contrast, in case of advanced group, in most of analysis standards, averages of lower intimate group are a little higher than that with higher intimacy. Basic learners show huge deviation depending on intimacy with their peers while advanced learners do not show difference by intimacy. Fourth, frequency of form-focus LRE by proficiency, basic group show more interactions during collaborative writing tasks than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For frequency of metacognitive episodes by proficiency, advanced learners have more interactions than basic and intermediate learners. In addition, basic learners do not show comprehensively huge differences in LRE frequency of morph and syntax according to intimacy. In contras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how huge differences in LRE frequency of morph and syntax depending on intimacy. Though basic and advanced learners do not show comprehensively hug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metacognitive episodes depending on intimacy, intermediate learners show huger differences in frequency of metacognitive episodes according to it. In Chapter V, with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scussed and then suggestions and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are also made. This study has meaning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proficiency, not limiting learners with specific stag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intimacy by expanding more than the previous studies. But it is regretable not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repeated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본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의 협력적 글쓰기 활동의 수행 과정을 관찰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해서 숙달도가 어떤 수준인 학습자에게 협력적 글쓰기가 가장 효과적인지, 학습자 간의 친밀도가 어떤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다섯 영역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첫째, 협력적 글쓰기에 대한 관련 이론을 살펴보았다. 둘째, 객관적인 관점에서 협력적 글쓰기의 정의와 특성을 정리했고, 협력적 글쓰기 과정의 수행 절차, 팀 구성, 교사의 역할 등을 정리했다. 셋째, 쓰기 과제와 쓰기 활동과 관련한 이론을 기술했고, 넷째, 학습자들의 쓰기 산출 능력과 관련된 이론을 기술했다. 다섯째, 본 연구에 적합한 연구 방법인 혼합 연구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협력적 글쓰기와 관련된 선행연구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협력적 글쓰기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는 몇 가지 과제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비교하면서 분석하는 논의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연구 대상이 대부분 고급 학습자에 국한되어 있으며, 초급 수준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숙달도에 따라 적절한 쓰기 과제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숙달도와 친밀도에 따라 집단을 나누었으며, 각 집단별 협력적 글쓰기 활동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Ⅲ장의 연구 방법 및 절차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혼합 연구 방법을 참고하여 설계한 본 연구의 연구 도구와 자료 수집 방법과 자료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도구는 예비실험을 거쳐서 수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실험 도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자료 분석 방법을 밝혔고, 연구 절차와 실험 과정에서 사용할 쓰기 과제지, 면담 자료, 녹음 전사 자료와 같은 연구 도구 및 연구 자료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양적 및 질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Ⅳ장의 연구 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본 연구의 네 가지의 연구 문제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수행한 집단(협력집단)과 개인적으로 글쓰기 활동을 수행한 집단(비협력 집단) 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협력 집단은 유창성, 복잡성, 정확성의 모든 면에서 비협력 집단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복잡성 측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유창성과 정확성 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사 평가 점수 결과에서 협력 집단은 총점 뿐 아니라 내용, 구조, 어휘, 문법, 맞춤법, 총점 등 모든 기준에서 비협력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통계적으로도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쓰기 과제 수행 시 동료와의 협력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결과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글쓰기 결과물의 유창성 분석 결과, 협력 여부는 학습자 쓰기 과제 결과물의 문장 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작문 당 절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급 집단에게는 협력 여부가 초급과 중급 집단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숙달도별 복잡성 분석 결과는 초급, 중급, 고급 모두에서 협력 집단이 비협력 집단보다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고, 초급의 협력 집단과 비협력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중급과 고급에서는 협력 집단과 비협력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숙달도별 정확성 분석 결과의 경우, 초급, 중급, 고급 모두에서 협력 집단이 비협력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초급과 중급에서 협력 집단과 비협력 집단은 정확성 면에서 아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급 학습자들에게는 쓰기 과제 수행 시 동료와 협력 여부가 작문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별 한국어 교사 평가 점수의 분석 결과, 모든 기준으로 봤을 때 초급, 중급, 고급의 협력 집단은 모두 비협력 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유창성 측면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들 모두 협력적 글쓰기 과제 수행 시 친밀도가 높은 사이일수록 작문할 때 더 많은 문장을 산출했고, 더 많은 절을 사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쓰기 결과물의 복잡성을 분석한 결과, 중급에서는 친밀도가 낮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보다 친밀도가 높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 쓰기 결과물의 복잡성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초급과 고급의 경우, 친밀도가 높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보다 친밀도가 낮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 쓰기 결과물의 복잡성이 미세한 차이로 더 높았으나, 그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정확성 측면에서는 숙달도가 초급일 경우 친밀도가 높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 친밀도가 낮은 학습자와 짝을 이루었을 때보다 모든 기준에서 쓰기 결과물의 정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급의 경우, 대부분의 분석 기준에서 친밀도가 낮은 집단의 평균이 오히려 친밀도가 높은 집단보다 조금 더 높았다. 한국어 교사 평가 점수의 총점에서는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들 모두 동료와의 친밀도가 높은 집단의 총점의 평균이 친밀도가 낮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초급 학습자들은 동료와의 친밀도에 따라 큰 편차를 나타낸 반면, 고급 학습자들은 친밀도별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넷째, 숙달도별로 언어 관련 일화들(language related episodes)의 빈도를 보면, 초급 집단은 협력적으로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급 집단과 고급 집단보다 더 많은 상호작용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숙달도별 메타인지적 일화들(metacognitive episodes)의 빈도 분석 결과의 경우, 언어 관련 일화들의 분석 결과와 반대로 고급 학습자들이 초급과 중급 학습자들보다 더 많은 메타인지적 일화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초급 학습자들이 협력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LRE가 일어나는 빈도는 전반적으로 친밀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이 협력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LRE가 일어나는 빈도는 친밀도가 높은 집단이 친밀도가 낮은 집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급과 고급 학습자들이 메타인지적 일화들이 일어나는 빈도는 전반적으로 친밀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중급 학습자들이 협력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메타인지적 일화들이 일어나는 빈도는 친밀도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중급 학습자들이 협력적 글쓰기 과제를 완수할 때 동료와의 친밀도에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암시한다. Ⅴ장의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의 요약과 함께 본 연구가 가지는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 등 다른 제2언어교육 분야에서는 협력적 글쓰기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그리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제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쓰기 교육을 실시할 경우,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습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협력적 쓰기 활동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협력적 쓰기 교육과정 설계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