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한국어 갬빗의 유형 분석 연구

Title
한국어 갬빗의 유형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alysis of Korean Gambits Types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t the concept of Korean gambits as a discourse strategy device, analyze the types, classify expressions according to functions, and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m to Korean speaking education. Gambits are colloquial expression that keeps the flow of discourse as one of strategic devices comprising discourse and concentrates on performing functions of topic unity of the discourse markers which play the role of natural change. The studies on discourse strategic devices under the notion of discourse marker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n education of the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until now. And the devices which perform a wide range of functions have been included and arranged in them. Therefore, this study extracted ‘gambits’ and analyzed the shapes by setting the concept of ‘Gambits’ which considered the Korean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discourse of TV debates and radio interviews, the speech data of spoken language of actual Koreans. The study is composed as follow: Chapter 1 drew subjects for inquiry by describing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the study and considering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is paper. Subject for inquiry 1 was to analyze Korean gambit types and how the gambits that belong to each type function in discourse. Subject for inquiry 2 was to research how Korean gambits are applied to Korean speaking education. Chapter 2 arranged the units and methods of conversation analyses used in the study theoretically, do the concept of discourse markers that can be a super ordinate concept of gambits and them, and establish the design and procedure of the entire study. In Chapter 3, the overall research plan and progress which includes the tool for data collection, process, methodology for analysis and others are described. Chapter 4 classified Korean gambit types into three things through the data analyzed by the study and described the contents that these results educationally imply. Finally, Chapter 5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putting the research results together. First, Korean gambits could b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of ‘signals to express consciousness’, ‘signals to structuralize meanings’, and ‘discourse context signals’ and done by total 21 detailed functions accordingly. Each gambit has found to be various variants in that it is used in spoken discourse even though they are the expressions which belong to the same functions. They could be classified by arranging them by a basic form. And it could be found that same expressions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discourse contexts. Second, it has found that the expressions which can be analyzed to be gambits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of the tea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Korean institutions are not concretely explained or separately arranged even though they are included in them. There were the parts which are briefly arrang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cluding expressions related to discussions or debates but arrangement of expressions except them was insuffici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oncept of ‘gambits’ which had not been done in the studies on Korean education and gained the foothold that can systematically study Korean gambits by analyzing the gambit expressions used in actual Korean spoken discourse.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at the gambits were classified by the data analysis in a limited extent. So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xpressions will be analyzed through broader-based data collection in next studies by supplementing this and furthermore, studies on use, awareness, and learning of gambits will be done.;본 연구는 담화 전략 장치로서 한국어 갬빗의 개념을 설정, 그 유형을 분석하고 기능에 따라 표현을 분류,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갬빗은 담화를 구성하는 전략 장치 중 하나로 담화의 흐름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고,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담화표지 중 화제 결속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구어 표현이다. 지금까지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의 연구에서는 ‘담화표지’라는 개념 하에 담화 전략 장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고, 여기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포함되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갬빗’의 개념을 설정하고 실제 한국인의 구어 발화 자료인 TV 토론과 라디오 인터뷰 담화를 분석하여 갬빗을 추출하고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본고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갬빗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속한 갬빗들이 담화 상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분석하는 것이었고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갬빗이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대화분석의 단위와 방법을 이론적으로 정리한 뒤 갬빗의 상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담화표지와 갬빗의 개념을 정리, 갬빗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정립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고에서 분석된 자료, 자료 분석 방법 등 전체 연구의 설계와 절차를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자료를 통해 한국어 갬빗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고 이 결과가 교육적으로 함의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어 갬빗은 ‘의식 표출 신호’, ‘의미 구조화 신호’, ‘담화 맥락 신호’의 세 기준에 따라 분석 가능하며 이에 따라 총 21개의 세부 기능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각각의 갬빗은 같은 기능에 속하는 표현일지라도 구어 담화에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변이형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이들은 하나의 기본형으로 정리하여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같은 표현이 담화 맥락에 따라 다른 기능으로 수행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재 한국어 기관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듣기’, ‘말하기’ 활동에 갬빗으로 분석될 수 있는 표현들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표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별도의 정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이나 토의와 관련된 표현 등 그 특성에 따라 간략하게 정리된 부분이 있었으나 이 외의 표현에 대한 정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정립되지 않았던 ‘갬빗’의 개념을 정립하고 실제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사용된 갬빗 표현들을 분석하여 한국어 갬빗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한적인 범위의 자료 분석으로 갬빗을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여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자료 수집을 통해 다양한 표현들을 분석하고, 나아가 갬빗 사용 및 인식, 습득에 관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